관련 문서: 오역/애니메이션
,
오역/게임
,
오역/만화
,
오역/소설
,
오역/영화
,
오역/일반사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CCCC , #00a495)" 음성 합성 엔진 {{{#!wiki style="margin-top: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2px; margin:0 -1px -11px; word-break:keep-all" |
<tablewidth=100%> 소프트웨어 | VOCALOID ( 틀) · CeVIO ( 틀) · UTAU · Synthesizer V ( 틀) · VOICEROID · 보카리나 ( 틀) · DeepVocal · NEUTRINO · A.I.VOICE · VOICEVOX · ACE Studio · VOICEPEAK · Voice Engine · Vocoflex |
악곡 | 오리지널 곡 ( 하츠네 미쿠 · 카가미네 린·렌 · GUMI · IA · 시유 · 유니 · 합창) · 프로듀서 · 미디어 믹스 ( 정식발매) | |
전당입성 | VOCALOID ( 2007~2010 · 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CeVIO · Synthesizer V · VOICEVOX · NEUTRINO | |
전설입성 | VOCALOID · CeVIO · UTAU · Synthesizer V · NEUTRINO | |
신화입성 | VOCALOID | |
랭킹 및 차트 | 주간 VOCAL Character ( 1위 목록) · 주간 UTAU 랭킹 1위 · Billboard JAPAN 니코니코 VOCALOID SONGS · VOCALOID 프로듀서 · 오리지널 곡 재생수 순위 | |
반주기 수록곡 | 한국 노래방 · 일본 가라오케 | |
기타 | MikuMikuDance · 오역 · 조교 · 논란 및 사건 사고 · 관련 웹사이트 · 동인설정 · 나무위키 음성 합성 엔진 프로젝트 | }}} 음성 합성 엔진 분류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0 -10px -3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2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white> 공식 | 엔진 · 가수 · 발음기호 표( 日 · 韓 · 中 · 英 · 西) |
악곡 | 프로듀서 · 오리지널 곡 · 전당입성 · 전설입성 · 신화입성 | |
차트 및 랭킹 | 주간 VOCAL Character 랭킹( 1위 목록) · Billboard JAPAN VOCALOID | |
반주기 수록곡 | 일본 가라오케 · 대한민국 노래방 | |
문화 | 역사 · 위기론 · 동인 설정 · 관련 웹사이트 | |
기타 | 미디어 믹스( 정식발매) · MikuMikuDance · 오역 | }}} 음성 합성 엔진 전체 둘러보기}}}}}} |
1. 개요
국내에서 자주 통용되는 음성 합성 엔진 콘텐츠의 오역들과 틀린 음차를 서술한 문서이다. 노래의 경우 제목의 오역만 기술한다.2. 뜻이 달라지는 케이스
-
高音厨音域テスト :
고음 주음역 테스트 →
고음충 음역 테스트
여기서 ~ 충은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되는 인터넷 신조어의 의미와 같다. 한국에 알려질 때, 아예 뜻이 달라진 사례.
-
恋愛勇者 :
연애용사 →
연애용자
용사와 용자 문서를 열람하면 알겠지만 이 둘은 엄연히 다른 것을 지칭한다. 거기다 작중 내용상에서 말하는 것 부터가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미미한 패러디다.
-
男の娘メモラブル : 여장남자 메모라블 →
오토코노코 메머러블
'男の娘( 오토코노코)'는 이미 국내에서 고유명사로 자리잡고있다. 또한 ' 오토코노코'의 대체제는 ' 여장남자'가 아니다. 그러므로 설령 현지화 한다 해도 '여장남자'로 번역하는건 명백한 오역이다. 또한 'メモラブル'은 '메머러블'로 표기해야 하는데 발음기호도 안 지켰다.
-
星屑ユートピア :
별들의 유토피아 →
별가루 유토피아
VOCALOID 오리지널 곡 중 은근히 자주 등장하는 이 '星屑'는 호시쿠즈라 읽으며 '별들'이 아니고 '별가루'나 '별무리'가 더 정확하다.
-
細菌汚染 - Bacterial Contamination - : 세균감염 →
세균오염
한자를 오염(汚染)에서 감염(感染)으로 잘못 읽었다. 그전에 Contamination도 오염이라는 뜻.
-
猿マネ椅子盗りゲーム :
원숭이 흉내 의자 뺏기 게임 → 무의미한 의자 뺏기 게임
猿マネ란 원숭이가 사람을 흉내내듯 아무 생각없이 무의미하게 하는 행동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번역은 '무의미한 의자(자리) 뺏기 게임' 정도가 될 것이다. 참고로 통용되는 영어 번역 타이틀은 'Amiless Imitation Chair Stealing Game'이다. 가사에 원숭이의 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긴 하지만, 그건 전설일 뿐 원숭이가 흉내를 내고 있지는 않지 않으니.
-
心做し :
마음 짓기/
마음 없음 →
마음탓
'마음 짓기'는 한자를 직역한 것이고 '마음 없음'은 발음이 똑같은 '心無し( 코코로나시)'의 뜻으로 해석한 것이다.[1] 心做し는 부조사 か와 함께 쓰여 '마음 탓인지, 그렇게 생각한 탓인지'의 의미로 쓰인다. 그러므로 '마음 탓'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할 것. 통용되는 영어 번역 타이틀은 'Somehow'로 마음을 짓는 것이나 마음이 없는 것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다만 '心做し'는 명사로써의 의미를 지니고 'Somehow'는 부사로써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이 역시도 엄연히 따지자면 정확한 번역은 아닐 듯 하다.
3. 번역하지 않고 음차로 적은 케이스
-
どえむ : 도엠 → 초엠
혹은 초엠으로 해야 좀 더 정확한 번역이다. 이 단어가 탄생한 초창기엔 그대로 도엠으로 역된 예가 있지만 요즘은 다 올바르게 '초'로 번역한다.
-
ネトゲ廃人シュプレヒコール :
넷게임 폐인 슈프레히코르 →
온라인 게임 폐인 슈프레히코어
많이 틀렸다. 일단 'ネトゲ(넷게임)'는 ' 온라인 게임'이며 'シュプレヒコール(Sprechchor)'는 독일어로, 국내에선 슈프레히코어로 표기한다. 유일하게 폐인 하나만 맞았다. 문제는 이런 오역이 국내에서 자주 통용된다는 점. 올바른 번역명의 보급이 시급하다.
-
夢喰い白黒バク :
꿈을 먹는 흑백 바쿠 →
꿈을 먹는 흑백 맥
'バク'를 '바쿠' 그대로 음차로 썼다. 작중 말하는 '바쿠'란 인간의 악몽을 먹고 산다는 중국의 영수이다. 중국의 고대 상상 속의 동물이니 국내에선 '맥' 그대로 독음해야 하므로, '꿈을 먹는 흑백 맥'이 맞다.
4. 한자를 음독한 케이스
-
化物宇宙 : 화물우주 → 괴물 우주
이렇게 치면 괴물 이야기는 화물 이야기 혹은 화물어가 돼버린다. 'リンネ'처럼 매우 희귀한 케이스도 아닌데 오역으로 통용된다는 점이 이상하다. 또한 띄어쓰기도 지켜지지 않았다.
-
心壊サミット :
심괴 서밋트 →
마음 붕괴 서밋
'심괴'라는 단어는 한국인이 이해할 수 없는 단어니 대체제로 풀어 써야 한다. '마음 붕괴' 혹은 ' 멘탈붕괴'(물론 의미는 좀 다르다.) 로 번역해야 그나마 정확하다. 또한 왜 'サミット'는 명백히 일어사전에 '서밋' 이라고 나와있는데 서밋트라는 콩글리시도 아닌 재플리시도 아닌 요상한 단어를 채용한지 의문, 보컬리시?
-
粘着系男子の15年ネチネチ :
점착계 남자의 15년 끈적끈적 → 집착남의 15년 끈질김
"점착계"(粘着系)는 한 이성에게 끈질기게 집착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신조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면 "집착남"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끈적끈적"은 점착계 남성이 끈질기게 집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어이므로 "끈질김"으로 자연스럽게 번역할 수 있다.
-
龍ノ啼ク箱庭拠リ : 용이 우는 모형 정원의 거리 →
용이 우는 모형 정원에서
'~에서'의 'より'의 'よ'를 한자 '拠'(근거 거)로 썼다고 그대로 한자는 독음해서 '거리' 로 오역해버렸다. 가장 우습게 된 케이스.
-
人柱アリス :
인주앨리스 →
히토바시라 앨리스 / 희생자 앨리스
일본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다.[2] 역시 대체 번역이 전무하므로 니코니코 대백과에서 지원하는 독법, '人柱' 부분을 '히토바시라'라고 표기해야 한다.거기다 띄어쓰기도 안됐잖아.후자의 경우는 人柱라고 쓰고 인주라고 읽는 단어는 없다. 人柱(히토바시라)는 인신공양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므로 번역하자면 "인신공양 앨리스" 정도가 될 것이다. 라는 의견.
-
置き去り月夜抄 :
방치된 월야초 →
버려진 달밤 이야기
'置き去り'의 의미는 '내버려 두고 가 버림.', '抄'는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고전의 주석서.' 등의 의미가 있다.
5. 외국어 표기 오류
-
でぃすこ☆しょこらてっく :
디스코☆초콜라텍 →
디스코☆쇼콜라텍
제작자가 지향하는 언어풍을 무시했다. 초콜릿과 쇼콜라는 지칭하는 대상은 같으나 언어가 다르므로 '디스코☆쇼콜라텍'이 더 정확하다.
-
ハローラフター : Hello Rafter → 헬로 라프터
Rafter는 '서까래'라는 의미다. 가사 속에 '스마일(スマイル)', '웃음(笑顔)' 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웃음소리' 라는 뜻의 'Laughter' 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
ヘイセイカタクリズム : 헤이세이 카타쿠 리듬 →
헤이세이 캐터클리즘
후속곡들(벌레 먹은 사이키델리즘, 영혼의 뒤틀림 테러리즘)의 제목을 봐서 노래 제목은 '대재앙'을 뜻하는 '캐터클리즘(Cataclysm)'이다. 대체 카타쿠 리듬은 뭔말인지 번역기를 사용해서 잘못 나온 결과가 퍼뜨려진 예. 곡의 프로젝트를 주제로 한 노벨 앤솔로지에서도 영문으로 heisei cataclysm 이라고 표기 되어 있다.
-
ジャバヲッキー・ジャバヲッカ :
쟈바옷키 쟈바옷카 →
재버워키 재버워카
ジャバヲッキー・ジャバヲッカ를 쟈바옷키 쟈바옷카로 그대로 음차했다. 본래는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시인 재버워키를 비튼 제목. 유튜브 상에서 영문 검색시 결과 또한 Jabberwocky Jabberwocka인 점으로 확실히 알 수 있다.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로 단간론파 2의 ジャバウォック島(쟈바우옷크 시마)가 재버워크 섬으로 무난하게 번역된 사례가 있다.
-
ハイドアユートピア : 하이도어 유토피아 → 하이드 어 유토피아
하이도어(Hidoor)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으며, 가사중에 숨어서 사라진 나의 이상향(隠れ去った私の理想郷) 이라는 부분을 봐도 하이도어 유토피아(Hidoor utopia)가 아닌 하이드 어 유토피아(Hide a utopia)임을 알려준다.
6. 고유명사 표기 오류
-
ハロ/ハワユ : 헬로우
(헬로)/하와유 →
하로/하와유
작중 건담 시리즈에 나오는 ' 하로'가 나오며 원제의 'ハロ'에도 장음 'ー'이 없으므로 하로/하와유가 맞다. 작중 의미하는 게 헬로이긴 하다.
-
メカクシコード : 눈 가리기 코드 →
메카쿠시 코드
작중 등장하는 단체인 메카쿠시단을 뜻하므로 고유명사로 봐야 한다. 국내 정발된 아지랑이 데이즈와 메카쿠시티 액터즈의 제목에서도 '메카쿠시'로 표기되었다.
-
コノハの世界事情 :
나뭇잎의 세계사정 →
코노하의 세계사정
곡명의 코노하는 작중 등장인물인 '코노하'를 뜻하는데 이걸 나뭇잎이라고 번역해버렸다. 인명일 경우 고유명사로 취급되므로 번역하지 않아야 정답이다.
-
トワイライトプランク :
트와일라잇 프랭크 →
트와이라이트 프랭크
원제의 トワイライト는 Twilight의 L을 R로 바꾼 'Twiright(트와이라이트)'로, 세계관 내 등장인물인 세트 트와이라이트와의 말장난이다. 그리고 애초에 Twilight도 '트와일라잇'이 아닌 트와일라이트가 옳은 표기다.
7. 이중 의미
-
しゅうまつがやってくる! :
주말이 다가온다! &
종말이 다가온다! → 종말이 다가온다!
제목과 가사의 'しゅうまつ'는 '주말'과 '종말' 모두 다 의미한다. 둘 다 포함한 단어로 번역해서 의미를 살리는 게 좋겠지만 그게 힘든 경우에는 근본적인 의미로 번역하는 게 그나마 차선책이다. 이 노래는 sasakure.UK의 라라라 종말론.[3] 시리즈에 들어가며 해당 노래의 가사에도 종말이라는 단어가 더 많이 나오므로 종말을 우선시 하는 게 좋다.
-
なんだかとっても!いいかんじ :
왠지 정말! 좋은 느낌 & 왠지 정말! 좋은 한자 → ????
위 곡과 마찬가지로 제목의 かんじ는 '(감정)느낌'과 '한자' 모두 다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근본적인 의미로 번역한다는 기준으로 가기 애매하므로 (정발이 없다면) 적당한 제목으로 붙이는 게 좋을 것이다. 아니면 글자가 안맞지만 ~느낌(이 있는/드는/의) 한자로 번역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