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6:02:57

엥겔 계수

엥겔 지수에서 넘어옴


1. 개요2. 설명3. 영향 요소4. 유사 개념
4.1. 제2 엥겔 계수4.2. 식단 구성 비율
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엥겔 계수(Engel's coefficient), 또는 '엥겔 지수'[1]는 총지출에서 식료품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 수치이다. '식비/총소득'이나 '식비/총지출비', '식비/(총소득-저축)' 식으로 계산한다.

2. 설명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은 "소득의 증가에 따라 지출 중 음식비 지출의 비중이 감소한다"라는 엥겔의 법칙을 발견했다.
The poorer is a family, the greater is the proportion of the total outgo [family expenditures] which must be used for food. (...) The proportion of the outgo used for food, other things being equal is the best measure of the material standard of living of a population.
가계가 가난할수록 음식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총 지출[가계 소비]의 비율이 커진다. (...) 식량에 사용되는 지출의 비율은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인구 집단의 물질적 생활 수준을 가장 잘 측정하는 척도이다.
Zimmerman, C. (1932), “Ernst Engel’s law of expenditures for food”.[2] Anker, R (2011)[3]
때문에 '엥겔 계수가 높다(지출 중 식비의 비율이 높다) → 소득이 빈곤한 편이다'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음식이라는 재화의 특성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1. 음식은 생물의 생명 활동에 꼭 필요하므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항상 필요로 한다. 즉, 아무리 가난하더라도 아예 안 먹고 살 수는 없다.[4]
  2. 소비할 수 있는 상한선이 정해져 있다. 1과는 반대로, 아무리 부자라도 하루에 10끼씩 먹을 수는 없는 일이다.[5] 때문에 소비가 갑자기 치솟거나 하는 일이 흔치 않다.
  3. 식재료는 부패로 인하여 유통기한이 짧아 보관이 까다롭다. 따라서 즉각적으로 소비하는 것이 권장되며 물량을 통제했다가 나중에 갑자기 푸는 등의 공급 조절을 하기 어렵다.[6]
  4. 소모성 재화이기 때문에 고급품과 저급품의 가격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다. 매우 비싼 식자재나 요리가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한 번 먹으면 사라지기 때문에 , 과 같은 지속재에 비해서는 가격차가 적은 편이다.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해보자면, 하우스 푸어 카푸어는 있어도, 오늘만 사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한 번 쓰고 말 식품에 전재산을 투자할 순 없다. 후술하듯이 취미 생활로까지 여겨지는 미식 계열 요리보다는 매일 먹는 주식일수록 고급품과 저급품의 가격 차이가 제법 크지 않은 편이다.

2017년 기준으로 한국의 엥겔 계수(외식비 포함)는 27.4%이다. #

3. 영향 요소

  • 소득이 많더라도, 식사량이 많은 대식가이거나[7] 아니면 맛있고 비싼 음식만 골라 먹는 미식가라면 엥겔 계수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프랑스가 좋은 반례에 속한다. 프랑스는 명실상부한 선진국이지만 입맛이 고급이라 엥겔 계수가 꽤 높다.
  • 식량을 자급자족하는 경우는 식비를 노동력으로 대체하므로 가난한데도 엥겔 계수가 낮게 나올 수 있다. 그나마 농사나 목축업 등을 한다면 그 비용을 따질 수는 있겠으나, 정말 극단적으로 가면 뒷산에서 나물만 캐서 먹는 등 정말 명시적 비용이 0이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농경 중심의 사회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면도 있다. 이를 보완하려면 자급자족이 낳은 가치도 따져야 한다.
  • 식재료 물가가 높으면 같은 양을 먹어도 엥겔 계수가 높아진다. 가령 대한민국은 여타 경제대국과 비교했을 때 식량자급률이 낮아 식재료 물가가 높으며 이에 따라 엥겔 계수가 더 높을 수밖에 없다.[8] 반대로 식량 대국들은 식량의 유통비가 덜 들므로 같은 양을 먹더라도 엥겔 계수가 더 낮기 마련이다.[9] 또한 산업화가 미진한 국가들도 기본적인 식재료의 물가만은 강력히 통제하여[10] 엥겔 계수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하곤 한다.[11]

4. 유사 개념

가계의 소비 지출 중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슈바베 계수라는 척도도 있다.

엥겔, 슈바베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가계 필수 지출'이란 개념이 있다. 식비를 포함해서 수도, 난방, 의료 보건 등 가계에서 꼭 필요한 품목을 구입한 지출의 비중을 뜻한다. 전체 지출에서 이 필수 지출의 비중이 클 수록 엥겔 계수처럼 가계의 소득이 빈약함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월 수입의 차이가 크게 체감되는 이유기도 한데, 예를 들어서 월수입 200만원이며 필수 가계 지출이 150만원인 사람 A와 월수입 300만원이며 필수 가계 지출이 200만원인 사람 B를 비교하면 분명 월 수입 차이는 1.5배인데 실질적으로 쓸 수 있는 가용소득이 2배나 차이 난다. 또한 구 공산권 국가의 경우 월수입 100만원인데 무료급식과 무상의료 등을 받는다 치면 가용소득은 100만원이다.

이름이 비슷한 '엔젤 계수'라는 지표도 있는데, 이는 가계 총소득에서 교육비의 비율을 말한다.

4.1. 제2 엥겔 계수

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개념으로, 전체 식비 대신 '전분류[12] 식비의 비중'을 중점으로 하는 '제2 엥겔 계수'도 있다. 식비 중에서도 특히 이 전분류는 가장 기초적인 식단이라서 지출의 변화가 작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던 프랑스에 그대로 적용하면 '제2 엥겔 계수'가 상당히 감소된다. 물론 여전히 유럽에서 가장 높은건 사실이다.

그러나 이 계수는 맹점이 크다. 무엇이 사치품이고 무엇이 기초 식단인지는 문화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제2 엥겔 계수로는 이와 같은 문화적이거나 경제적인 식단구분에 대해 전혀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 포도주는 타 국가에서는 사치품일지 몰라도 프랑스에서는 한국 김치와 비견되는 기초 식단이다.
  • 한국을 예로 들어보자. 배추가 포함된 채소류와 젓갈등의 해산물들은 사치성 상품으로 분류되는데 그렇다고해서 엥겔계수에서 김치 등 반찬을 전부 빼고 쌀값만으로 식비를 계산하면 아무리 저소득층이라도 밥에 물만 말아 먹지는 않는다. 더욱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쌀소비량의 차이가 거의 없고 부식에서 막대한 비용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걸로 계층별 엥겔지수를 판단하게되면 한국의 현실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
  • 몽골 같은 내륙 유목국에선 반대로 고기가 주식이고 곡류는 매우 비싸기에 제2 엥겔 계수는 매우 높게 나타나는 왜곡이 발생한다. 동남아시아 해상, 해안 부족들의 역시 식단의 대부분은 생선이며 곡물은 비싸서 매우 소량만 소비한다. 한편 아르헨티나는 농업이 발달해서 전분이 싸긴 하지만 목축업도 마찬가지로 매우 발달해 쇠고기도 매우 싸고 그에 따라 소비량이 매우 높다.

이렇듯 문화적 요인을 다 제하고 나면 이 계수가 타당성을 지니는 것은 정말 옥수수 전분을 물에 타서 먹는 것이 기초 식단인 아프리카 저소득 국가만이 남게 된다. 엥겔 계수 같은 척도를 산출하는 것은 저축이나 생활 여력을 계산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런 지역에서만 효력을 발휘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런 곳들은 말 그대로 "입에 풀칠하는 게 감지덕지"라서 그렇게 먹는 것이니 딱 봐도 식비 외의 소비력이 없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4.2. 식단 구성 비율

고기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가난한 곳에서는 오히려 신선한 야채를 구하기 어려운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식품에서 고기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도 소득 수준을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다. 다만 이 역시 식문화나 농업, 축산업의 규모와 성격 등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다.

국토 상황상 서구 국가들만큼 고기를 생산하기 어렵고 예전부터 야채류를 많이 소비해 밥상에 고기 없이 풀만 있는 것을 가난의 상징으로 생각하는 한국 일본의 경우 이해하기 어려울지 모르나 미국과 같은 경우 소득이 낮은 지역에서는 야채와 과일보다 고기와 감자, 밀가루가 더 싸서 동네 마트에서 야채와 과일 찾아보기 어려운 지역이 꽤 많다. 곡물과 육류는 대량생산과 유통을 통해 값을 크게 낮출 수 있는 반면 채소-과일 등 신선식품은 유통비와 보관비가 비싸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쌀은 대충 몇 포대 창고에 던져두고 몇달쯤 방치해도 그만이지만, 김치 등 보존처리를 하지 않은 생 채소의 경우 냉장고에 넣었더라도 1-2주면 시들시들해진다. 이에 따라 유통업체와 식품매장 등도 저소득층 상권에서는 잘 안 팔리는 채소류를 아예 취급하지 않아버리고, 이렇게 저소득층은 채소에 접근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야채와 과일이 비싸다보니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싸고 포만감이 오래가는 고기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하게 되고 이것이 높은 비만률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 아예 food desert('식품 사막')이라 하여 이렇게 신선한 채소와 같은 식품을 구하기 힘든 지역을 뜻하는 단어도 있다. 미국에서 비만율,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과 같은 건강 지표가 소득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도 이와 연관이 있다. 그 외 아프리카 등지의 저소득 국가들도 역시 생각보다 신선한 야채류를 구하기 힘들다고 한다.

5. 여담

먼나라 이웃나라 프랑스 편에서 엥겔 계수가 소개된 바 있다. 엥겔 계수를 간단히 소개한 뒤 위에서 말한 대로 프랑스는 이것의 반례라는 식으로 언급한다(새 먼나라 이웃나라 기준 31-32쪽). 여기서는 '엥겔 지수'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6. 관련 문서


[1] 대체로 ' index'는 '지수'(指數), 'coefficient는 ' 계수'(係數)로 번역되는 편이다. 원문은 coefficient이니 '계수'로 번역되는 것이 더 적합하지만 경제학에서 각종 지표들을 '지수'로 자주 언급하다 보니 이것도 '엥겔 지수'라고 할 때가 좀 더 많은 편이다. [2] Zimmerman, C. 1932. “Ernst Engel’s law of expenditures for food”.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47, No. 1 (Nov.), pp 78-101. [3] Anker, R (2011). "Engel's Law Around the World 150 Years Later". Political Economy Research Institute. 247. Retrieved March 21, 2021. [4] 이 특성의 정반대편에 있는 것이 사치품으로, 애초에 사치품은 정의부터가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과시하려는 목적으로 존재하는 상품"이다. 음식 중에서도 사치품에 속하는 것이 없지는 않으나 전체 음식에 비하면 지극히 일부이다. [5] 고대 로마의 부자들처럼 연회 중에 먹은 음식을 토하면서 계속 먹는 일화가 전해지곤 하지만, 그렇게까지 해가면서 계속 먹는 일은 매우 드물다. 또 다른 예로 현대의 폭식가인 푸드파이터들은 일반인의 상한선보다 훨씬 많이 먹기는 하지만, 이는 돈을 벌기 위한 직업 활동이지 생존을 위해 먹는 것이 아니니 논외이다. [6] 가공식품이나 보존식품은 몇 달에서 몇 년은 저장할 수 있지만 그래도 공산품에 비하면 -상품 가치를 유지하면서- 오래 보관하기 어렵다. [7] 그런 이유로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식품 가성비에 좀 더 민감하다. 남자가 여자보다 좀 더 많이 먹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초 음식은 싸고 양 많은 음식이 꽤 포진해있는 편이다. [8] 때문에 역으로 추산하면 엥겔 계수가 비슷한데 물가가 높다면 그쪽이 좀 더 부유한 국가라고 할 수 있다. [9] 이런 예로는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유명하다. 두 국가 모두 오랜 중진국 함정에 빠져있지만 전세계를 주름잡는 소고기 생산국이기 때문에 경제력이 더 높은 대한민국보다도 소고기를 더 자주 먹을 수 있다. [10] 대한민국 역시 짜장면이나 라면 등의 품목은 강력한 가격 통제가 이루어지곤 한다. # [11] 가령 동남아시아 중진국의 월급은 대한민국보다 훨씬 적지만 식재료 물가도 낮아 기초적인 생활은 가능하다. 그러나 일상에 필요한 식재료 등을 제외한 공산품들은 이런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기에 월급 대비 훨씬 비싸다. 일례로 자동차는 이런 국가들에서 매우 비싸며, 선진국이 대체로 50%에 달하는 보급률을 보이는 반면 베트남은 5%에 지나지 않는다. # [12] 녹말류. , 등의 주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