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튜어트 전차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M3 및 M5스튜어트는 구조가 워낙 단순하기도 하고 가격도 저렴해 제2차 세계 대전 기간과 냉전시기 공산주의 확산을 경계한 미국과, 잉여차량을 수도 없이 공여받았던 영국, 프랑스 등의 국가들에서도 벌크 가격으로 팔아치우거나, 혹은 거의 무상이나 다름 없는 가격으로 뿌리면서 수도 셀 수 없이 많은 수량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나라들로 수출되었다.
개중에는 이 전차를 현재까지 사용하는 나라들도 몇몇 존재한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
미 육군 제1기갑사단 "Old Ironsides" 박물관 소장 M3A1[1] |
|
미 육군 제3기갑사단 33기갑연대 3대대 C중대의 M5A1 초기형 3051254-S번차 네임드 차량 "캐롤" |
2.1.2. 캐나다 자치령
|
오샤와 군사 산업 박물관 소장 M3A1 "레오" |
|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M5A1 |
2.2. 카리브
2.2.1. 쿠바
|
쿠바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2] |
쿠바 공화국에 지원된 M3 스튜어트들은 아바나의 콜롬비아 연대에 편제되었으며, 1950년대 쿠바 혁명 당시 M3 스튜어트는 정부군의 주력이었으며, 피델 카스트로 정권이 들어서고 살아남은 18대의 M3 스튜어트는 역시 마찬가지로 혁명에서 살아남은 M4A3E8들과 같이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소련제와 체코슬로바키아제 T-34-85를 들여오며 퇴역하였다.
2.2.2.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 소속 M3A1 |
2.2.3. 아이티
|
7E 벨뷰 샤도니에르 위치 국립 경찰 아카데미 소장 아이티 육군 소속 M3A1 |
2.3. 중앙아메리카
2.3.1. 멕시코
|
멕시코 육군 소속 M3A1 |
|
멕시코 육군 소속 M5A1 |
2.3.2. 엘살바도르
|
산살바도르 군사 박물관 소장 엘살바도르 육군 소속 M3A1 |
2.4. 남아메리카
2.4.1. 브라질
|
제1전차연대 기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네임드 차량 "더비 클럽" |
2.4.2. 칠레
|
칠레 육군 소속 M3 |
|
육군 기병 차량 전차 박물관 소장 M3A1 |
2.4.3. 볼리비아
|
제1기갑기병연대‘Calama’기지 소장 볼리비아 육군 소속 M3A1 |
2.4.4. 콜롬비아
|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 육군 사관학교 소장 콜롬비아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
2.4.5. 파라과이
|
파라과이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
2.4.6. 에콰도르
|
에콰도르 군사 퍼레이드의 에콰도르 육군 제11기병여단 "갈라파고스" 소속 M3A1, 2018년 |
2.4.7. 우루과이
|
우루과이 4기병기계화연대 기지 소장 M3A1 |
3. 유럽
3.1. 동유럽
3.1.1. 소련
|
애국 공원 소장 M3 경형[3] |
|
애국 공원 소장 M5 |
다만 소련 전차병들은 스튜어트를 싫어했는데, 그 이유는 T-70과 다를게 없는 주제에 장갑은 더 약하고, 4명이나 타서 비좁은데다 피격 시 탈출도 어렵다는 점이었다.
소련은 전후 반환요청이 들어온 스튜어트들을 전시 중에 전량 격파되었다며 시치미를 때며 미국에 반환하지 않았다.
3.2. 서유럽
3.2.1. 영국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스튜어트 VI T271197호차 "핫헤드" |
3.2.2. 프랑스
|
개인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3A3 네임드 차량 "히레스" 16번 403526호차 |
3.2.3. 네덜란드
|
아머스포트 군사 박물관 소장 네덜란드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네임드 차량 "암바라와" 5959번차 [5] |
3.3. 중부유럽
3.3.1. 나치 독일
|
Pz.Kpfw. M3 740(a) |
3.3.2. 폴란드 망명정부
|
자유 폴란드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스튜어트 VI |
3.3.3. 헝가리 왕국
|
헝가리 왕국군 소속 스튜어트 |
3.3.4. 루마니아 왕국
소련군으로부터 최소 5대를 노획해 사용했다.3.3.5. 체코슬로바키아
3.4. 남유럽
3.4.1. 이탈리아 왕국
3.4.2. 그리스 왕국
|
그리스 왕국군 소속 스튜어트 V Recce |
3.4.3.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베오그라드 군사 박물관 소장 M3A1[6] |
|
베오그라드 군사 박물관 소장 M3A3 |
3.4.4. 포르투갈 제2공화국
|
엘바스 군사 박물관 입구의 M5A1 |
|
리스본 전쟁 박물관 소장 M5A1 |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중화민국
|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3A3 |
|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5A1 |
4.1.1.1. 중화인민공화국
|
베이징 군사 박물관 소장 M3A3 스튜어트 "6019번차"[7] |
한국전쟁 당시에도 M5A1와 M3A3를 사용했다는 설이 있으나 이에 관한 자료가 부족해 정확하지는 않다.
1962년 중인전쟁에서도 인도군으로부터 소수의 M3A3을 노획하여 아크사이친의 험악한 지형에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4.1.2. 일본
4.1.2.1. 일본 제국
|
일본 제국 육군 노획 M3 스튜어트, 1942년 필리핀 |
추가로 코레히도르 상륙작전 당시에는 M3 스튜어트 1대와 치하 2대가 상륙군 선봉을 맡기도 했으며, M3 스튜어트를 본 미군 보병들은 흔비백산하게되어 코레히도르 요새는 며칠만에 함락된다. 또한 상륙과정에서 치하가 높은 언덕에 못올라가자 M3 스튜어트가 대신 견인해주는 활약도 한다.
일본 제국 육군 제14전차연대는 M3 스튜어트로만 이루어진 소대도 있었으며 제14전차연대 소속의 어느 M3 스튜어트는 임팔 작전 당시 영국군의 M3 리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후 1944년 사이판 전투와 1945년 루손 섬 전투 당시 일본군이 유기하고 간 M3 스튜어트를 미군이 발견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결전병기용으로 필리핀에서 노획한 M3 스튜어트를 10대가량 비축하기도 했다.
4.1.2.2. 일본국
|
육상자위대 소속 M5 트랙터 |
4.2. 동남아시아
4.2.1. 인도네시아
|
사트리아 만달라 박물관 소장 인도네시아 육군 소속 M3A3[8] |
4.2.2. 필리핀
|
필리핀 재향 박물관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5A1 |
|
필리핀 육군 소속 M5 |
4.2.3. 베트남
|
하노이 군사 박물관 소장 M5 |
4.2.4. 미얀마
|
국토 방위 박물관 소장 M3A1 |
4.3. 남아시아
4.3.1. 인도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3A1 |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5A1[9] |
4.3.2.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M3 하이브리드 |
4.3.3. 파키스탄
|
파키스탄 육군 박물관 소장 파키스탄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10] |
4.4. 서아시아
4.4.1. 튀르키예
|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터키 육군 소속 M3A1 |
4.4.2. 레바논
|
1972년 군사 퍼레이드에서 155mm Modele 50 곡사포를 견인 중 인 레바논 육군 소속 M5A1 트랙터 |
4.4.3. 이스라엘
|
이스라엘 방위군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4 트랙터 |
5. 오세아니아
5.1. 오스트랄라시아
5.1.1. 호주
|
호주 기갑 & 포병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
5.1.2. 뉴질랜드
|
뉴질랜드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
6. 아프리카
6.1. 서아프리카
6.1.1. 가나
|
쿠마시 요새 가나군 박물관 소장 가나 육군 소속 M3 |
6.2. 남아프리카
6.2.1. 남아프리카 연방
|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M3A1[11] |
6.2.2. 로디지아
|
그웨루 군사 박물관 소장 로디지아 육군 소속 M3A1(2파운더) |
[1]
일련번호 8614. 독일 Baumholder에서 구조된 차량으로 추정된다.
[2]
1959년 촬영된 사진이며, 사진의 차량은 무장이 탈거되어 임시로 장갑차로 사용했다고 한다.
[3]
일련번호 U.S.A. W-3011743.
[4]
라틴문자권에서는 M3 лёгкий을 M3L 또는 M3 light로 표기한다.
[5]
일련번호 6960. ACF에서 생산된 차량이다.
[6]
일련번호 8770 혹은 8776
[7]
1962년
중인전쟁 당시 중국군이 인도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다.
[8]
뒤에 있는 전투기는
MiG-21이다.
[9]
M3A3라고 오기되어 있다.
[10]
우측의 차량은
셔먼 V 크랩이다.
[11]
일련번호 10380. American Car & Foundry에서 생산된 차량이며, 남아프리카 연방군 내에 등록된 차량번호는 U4694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