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ed800>
스탈린주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0000> 이념 | <colcolor=#000,#ddd> 반서방 · 반파시즘 · 마르크스-레닌주의 · 군국주의 · 대러시아 · 소비에트 내셔널리즘 · 일국사회주의론 · 전체주의 | ||
분파 | 현실사회주의 · 반수정주의 ( 마오주의 · 주체사상 · 호자주의 · MLM) · 국민공산주의 · 카스트로주의 · 곤살로 사상 | |||
정당/조직 | 소련 공산당 · 몽골 인민당 · 독일 통일사회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루마니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알바니아 노동당 · 중국공산당 · 조선로동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 |||
군사 조직 | 소련군 · NKVD | |||
인물 | 이오시프 스탈린 · 허를러깅 처이발상 · 발터 울브리히트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 클레멘트 고트발트 · 라코시 마티아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엔베르 호자 · 마오쩌둥 · 김일성 ·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 |||
국가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몽골 인민 공화국 · 독일 민주 공화국 · 폴란드 인민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헝가리 인민공화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관련 주제 | 적색 파시즘 | |||
공산주의 · 소련 · 마오쩌둥 사상 | }}}}}}}}} |
1. 개요
Stalinism / сталини́зм스탈린주의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이오시프 스탈린 체제 하에서의 소련의 체제, 이념을 가리키며 스탈린식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거나 유사한 권위주의 내지 전체주의 통치를 하는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다른 사회주의자들[1]에 의한 경멸적 표현으로도 쓰인다.
2.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라는 용어를 전혀 별개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나 마치 반스탈린주의자인 것처럼 스탈린을 비판하면서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이탈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술했듯이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스탈린이 자신의 이념적 노선을 칭하는 용어였다.스탈린주의라는 말은 그냥 스탈린 시절의 정책을 의미하는 경우를 말하기도 하지만 스탈린이 마르크스와 레닌의 사상을 분석해 본인 입맛에 맞추어 분석, 종합해서 제시했고 그것을 정석 공산주의 이론인 것처럼 포장하여 각지의 공산당에 보급한 것이 '마르크스-레닌주의\'다. 따라서 스탈린주의라는 것은 니키타 흐루쇼프의 비판(소위 수정주의[2]) 따위로 사라지지 않았다. 흔히 흐루쇼프는 반스탈린주의자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그가 스탈린의 권위를 격하하는 연설에서 다음처럼 언급했다는 사실은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https://www.marxists.org/archive/khrushchev/1956/02/24.htm
우리는
당이
트로츠키주의자들 우익들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과 격렬한 투쟁을 벌였으며, 레닌주의의 모든 적들을 이데올로기적으로 무력화시켰음을 확언해야 합니다. 이 이데올로기적 투쟁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고 결과적으로 당을 강화하고 단련시켰습니다. 여기서 스탈린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당은 당과 사회주의적 대의에 적대를 표방하는 반레닌주의 논지를 주장하는 당원들에 대한 거대한 정치 투쟁을 이끌었습니다. 이것은 고단하고 어려운 싸움이었지만 필수적이었습니다. 트로츠키-지노비예프파와 부하린파의 정치 노선은 실제로 자본주의로의 복고를 의미했으며 세계 부르주아에 대한 항복으로 향했기 때문이었습니다.[3]
당은 당과 사회주의적 대의에 적대를 표방하는 반레닌주의 논지를 주장하는 당원들에 대한 거대한 정치 투쟁을 이끌었습니다. 이것은 고단하고 어려운 싸움이었지만 필수적이었습니다. 트로츠키-지노비예프파와 부하린파의 정치 노선은 실제로 자본주의로의 복고를 의미했으며 세계 부르주아에 대한 항복으로 향했기 때문이었습니다.[3]
그러나 스탈린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어가 완전한 동의어라고 볼 수는 없다. 보통 스탈린주의보다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더 폭넓게 사용된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원본인 스탈린주의(호자주의 포함)와 흐루쇼프의 수정주의 이후 브레즈네프의 현실사회주의, 변형인 마오주의 및 주체사상을 포함하고 넓게는 티토주의 등의 스탈린에 비판적이지만 일국사회주의를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국가이념을 모두 포함한다. 즉, 흐루쇼프 이후의 (알바니아를 제외한) 동구권은 스탈린주의 체제로 불리지는 않지만 마르크스-레닌주의 체제로는 불린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관료주의, 일국사회주의론, 일국혁명, 통일전선이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3. 같이 보기
4. 둘러보기
러시아 보수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left;" |
<colbgcolor=#0070C8><colcolor=#fff>주요 이념 |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 범슬라브주의 · 유라시아주의( 두긴주의) · 정교회 우파 · 푸틴주의 | |
연관 이념 | 가부장적 보수주의 · 가족주의 · 국가주의( 국가자본주의) · 국민보수주의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반동주의 · 반서방주의( 반미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제국주의 · 초보수주의 | ||
과거 이념 | 군주주의( 검은 백인대 · 차르주의) · 범슬라브주의 | ||
연관 개념 | 군국주의 · 러시아 정교회 · 실지회복주의 · 울트라내셔널리즘 · 차르 | ||
주요 정당 | <colbgcolor=#0070C8><colcolor=#fff>제정 러시아 | 10월 17일 연합 · 러시아 인민연합 | |
소련 | 소련 자유민주당 | ||
러시아 연방 | 우리 집 - 러시아 · 러시아 자유민주당 · 로디나(2003년) · 민족 볼셰비키당 · 진실을 위하여 · 통합 | ||
현존하는 정당 | 공정 러시아 · 로디나(2012년) · 성장당 · 시민 연단 · 통합 러시아 | ||
정치인 | 니콜라이 1세 · 니콜라이 2세 · 드미트리 로고진 · 라브르 코르닐로프 ·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 뱌체슬라프 볼로딘 · 보리스 글리즐로프 ·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 · 블라디미르 푸틴 · 알렉산드르 3세 · 알렉산드르 콜차크 · 옐레나 미줄리나 · 유리 루시코프 | ||
인텔리 | 니콜라이 카람진 · 이고리 샤파레비치 · 이반 일린 · 알렉산드르 두긴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알렉산드르 프로하노프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
단체 | 과거 | 백군 | |
현재 | 전러시아 인민전선 | ||
그 외 | Z(군사 표식) · 대러시아 · 러시아 파시즘( 민족 볼셰비즘) · 소비에트 제국( 소비에트 내셔널리즘) · 스탈린주의( 신스탈린주의) · 유라시아 | ||
보수주의/분파 | }}}}}}}}} |
[1]
소위 '
반스탈린주의 좌파'라고 불리는
트로츠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신좌파,
민주사회주의 계열 등등
[2]
스탈린에 대한 격하를 표현하는 탈스탈린주의라는 용어는
소련 붕괴 이후에나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고 흐루쇼프 자신도 스탈린 정책상 몇 가지 측면을 변경했을 뿐 이념 자체를 바꾸지는 않았다. 스탈린주의자들 사이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수정주의라고 불렸다.
[3]
여기서 흐루쇼프는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트로츠키를 반레닌주의자로 언급하는데 레닌주의라는 용어는 사실 레닌 사후 고위 공산당원들 사이에 권위를 획득하려는 용도로 광범하게 사용되었던 용어였기 때문이다. 여기서 그가 말하는 레닌주의가
누구의 레닌주의인가는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을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