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0px" |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 bordercolor=#feeecd,#322201><tablecolor=#373A3C,#DDDDDD> 소속 |
|
|||
유닛 |
|
|
|
|||||
멤버 | 아사카 카린 | 우에하라 아유무 | 나카스 카스미 | |||||
미야시타 아이 | 오사카 시즈쿠 | 코노에 카나타 | ||||||
유키 세츠나 | 엠마 베르데 | |||||||
텐노지 리나 | ||||||||
음반 | 정규 앨범 · 유닛 싱글 · 솔로 싱글 | |||||||
라이브 |
Nijigasaki First Live 러브 라이브! 페스 - 러브 라이브! 시리즈 9주년 |
|||||||
이벤트 | 스쿠페스 감사제 · 교내 매칭 페스티벌 | |||||||
미 디 어 믹 스 |
잡지 | 전격 G's magazine · LoveLive! Days | ||||||
라디오 | 보이는 라디오 · 점심 시간 방송실 · 아침 시간 방송실 ·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올 나이트 닛폰 GOLD | |||||||
방송 |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생방송 · AbemaTV 울트라 게임즈 이미지 걸 결정전 | |||||||
소설 | ||||||||
코믹스 | 4컷 만화 | |||||||
애니 | 러브 라이브! 니지동 애니메이션 · 스페셜 드라마 | |||||||
게임 |
스쿠페스(일본 ·
글로벌 · |
|||||||
관 련 문 서 |
용어 | 스쿨 아이돌 · 당신(아나타) · 니지가사키 학원 | ||||||
팬 | 러브라이버 · 럽폭도 · 럽까 | |||||||
팬덤 | 네이버 카페 · 루리웹 · 인벤 · 러브라이브 선샤인 갤러리 | |||||||
2차 창작 | ||||||||
기타 | 선전 활동 ( 전격 · 패미통 · 스쿠페스) · 러브 라이브! 시리즈 9주년 발표회 |
러브 라이브! 신시리즈 프로젝트(가칭) |
나무위키 프로젝트 |
- 일본어 : スクールアイドル
- 영어 : School Idol
1. 개요
러브 라이브! 시리즈에 등장하는 용어. 스쿨 밴드의 일종이다.2. 상세
쉽게 말해 현실의 '댄스 동아리' + '노래 동아리'에게 프로 '아이돌' 수준의 팬을 부여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물론 팬이 없는 무명 스쿨 아이돌도 있지만, 작중에 주요로 등장하는 인물 대다수는 인기를 끌고있다.작중에서 러브 라이브를 "스쿨 아이돌의 고시엔"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스쿨 아이돌이 전국적으로 제법 많이 활동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μ’s와 A-RISE는 수도권인 도쿄 지역의 스쿨 아이돌인데 비해, Aqours와 Saint Snow는 지방의 스쿨 아이돌이다. 특히 아쿠아는 아예 시골 동네 출신.
작중에는 프로 '아이돌'도 엄연히 존재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인기라고 하며 아예 전국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스쿨 아이돌도 있다. 힘들게 데뷔 과정을 거치고 벅찬 스케쥴을 수행해야 하는 프로 아이돌에 비해, 동아리 활동마냥 가볍게 활동할 수 있으면서도 성공하면 프로에 준하는 인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스쿨 아이돌 활동이 인기를 얻는 요인인 듯하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스쿨 아이돌인 만큼 모든 멤버가 길어야 3년 이상 활동할 수 없으며, 세 학년이 골고루 섞여있다면 똑같은 멤버로는 1년밖에 활동할 수 없다. 그래서 졸업 후 프로 아이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경우가 많고, 아예 프로 아이돌 제의를 받는 경우도 있다.[1]
작사, 작곡, 의상, 안무 등 활동에 필요한 것들은 보통 외부의 도움을 받지 않고 팀 내에서 스스로 해결한다. 중학생들은 스쿨 아이돌 활동을 할 수 없는지, 애니메이션에서 유키호와 아리사가 고등학생이 되면 스쿨 아이돌 활동을 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애니메이션 기준으로 뮤즈 시절 스쿨 아이돌 랭킹에 엔트리된 그룹은 약 천 팀 가량이었고, 그로부터 5년 후인 선샤인에서는 7천팀[2] 정도로 늘어났다. 스쿨 아이돌 특성상 한 그룹이 오래갈 수 없는데, 줄지도 않고 오히려 7배가 늘었으니 대단히 많아진 것이다.[3]
애니메이션은 물론 다른 매체에서도 여성으로만 이루어진 스쿨 아이돌이 나왔을 뿐 남성/혼성 스쿨 아이돌은 나오지 않았다.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ALL STARS 스토리 2장 1화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그룹 활동하는 스쿨 아이돌이 대다수이며, 솔로나 듀오 활동하는 아이돌은 Saint Snow 등 없는 것은 아니지만 드물다고 한다.
많은 부분에서 고시엔과 유사한 부분들이 보인다. 대회가 여름과 봄 대회로 열린다는 점,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 프로 지망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그 시기를 빛내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 작중에서 결승 이상으로 지역 예선 돌파에 비중을 두는 부분조차도 닮아있다.[4]
아래 비판점들 중에서도 고시엔( 야구 만화)= 러브라이브(스쿨 아이돌 페스티벌)로 치환하면 설명되는 부분이 어느 정도 있다. 니시키노 마키가 야구복을 입은 적이 있기도 했고.
3. 비판점
작중에서 묘사되는 어라이즈의 실력을 보면 AKB나 케야키자카와 같은 일본식 설정 자체는 독특해서 눈길을 끌 만하지만 딱 거기까지이다. 우수한 프로 아이돌도 많은데 아마추어일 터인 스쿨 아이돌이 너무나도 쉽게 인기를 모은다는 설정이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비판받는 설정이다. 실제로 현실의 인디 밴드의 예를 들어도 뮤즈나 어라이즈만큼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경우는 없다. 또한 전문적인 강사진이 붙어 밤낮 없이 몇 년을 연습하고 뒤에 자본이 따라줘도 실패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 아이돌 업계에서 목숨걸고 노력하는 프로가 있는데, 어떻게 아마추어 아이돌인 스쿨 아이돌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끄는지 전혀 설명이 없다.[5]물롱 한일간에 '아이돌'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른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실 프로아이돌들이 혹독한 연습을 거쳐 실력을 갖춘 존재라는 인식은 한국, 정확히는 일본 바깥에서 통용되는 것이고, 적어도 일본(정확히는 일본식 아이돌 팬덤)에서 생각하는 아이돌은 어디까지나 프로 연예인으로 가는 육성과정이지 이미 실력을 갖춘 존재여야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일본식 아이돌 팬덤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자본도 전문적인 인력도 없는 고등학생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아이돌로 활동하는지 전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있다. 그저 SNS나 동영상 사이트에 PV 몇 개 투고하기가 전부는 아닐 테고... 뮤즈와 아쿠아의 경우 부잣집 딸인 니시키노 마키, 쿠로사와 다이아[6], 오하라 마리가 있고 특히 마리는 애니메이션에서 학교 운영에도 어느 정도 발언권이 있는 캐릭터로 등장하지만 모든 스쿨 아이돌이 세 캐릭터처럼 부자라는 보장도 없으니 말이다.[7]
또한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여러 미디어에서 스쿨 아이돌 활동을 '빛난다(輝く)'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당최 뭐가 빛난다는 말인지 제대로 설명이 나오지 않는다. 굳이 쉽게 생각해보자면 아이돌처럼 음악 활동을 하면서 수많은 팬을 모으는 것일 수도 있고, 고등학교 3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무언가를 목표로 청춘을 바쳐 노력하는 것일 수도 있다. 실제로 러브라이브 극장판에서 프로로 전향할까 말까를 고민하는 장면에서 이와 관련된 언급이 나온지라 애니메이션에서는 후자 쪽에 의미를 두는 듯하다.[8] 그러나 러브라이브 본가든 선샤인이든 그 점에 대해선 설명이 없고 그저 "스쿨 아이돌은 반짝반짝해!", "스쿨 아이돌은 빛나!" 같은 대사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뿐이라 비판을 받는다.
4. 문서가 있는 스쿨 아이돌 목록
[1]
어라이즈의 경우 UTX 자체가 프로 진출을 목표로 스쿨아이돌을 육성하는 곳이라는 설정이 있다.
[2]
이 수치는 2018년 기준 일본의 모든 종류의 남녀공학&여자고등학교의 수를 다 합쳐도 넘을 수가 없다고 한다. 한 학교에
2개 이상의 팀(혹은 개인)이 결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지만...
[3]
이는 2회 대회의 우승자였던 뮤즈의 활약으로 러브라이브 대회의 판이 커진 결과이기도 하다.
[4]
실제로 뮤즈 때도 아쿠아 때도 결승 이상으로 상세한 도전과정을 그리는 것은
지역
최종
예선이었다.
[5]
러브라이브의 많은 부분을
고시엔에서 따왔음을 생각하면,
프로야구가 있는데도 따로 고시엔이 인기 있듯, 같은 맥락으로 인기를 끈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한국 시청자들의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정서이지만,
일본 시청자들의 입장에서는 당연시되는 정서이기도 하다. 조금 다른 설명이긴 하지만 한국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TV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는 연예인들이 따로 있음에도 인터넷 크리에이터들의 개인 방송이 별개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프로는 프로대로 개인은 개인대로 보는 이유가 다르기 때문.
[6]
동생
쿠로사와 루비와 자매다.
[7]
일부 동인작에서는 이런 스쿨아이돌 스폰서를 전문적으로 서주는 기획사가 있다는 설정을 쓰기도 한다. 그리고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스폰을 이어나가기 위해...
[8]
이 역시
고시엔의 인기에 깔린 정서와 상당히 맞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