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20:07:10

사사키 가즈히로

사사키 카즈히로에서 넘어옴
사사키 가즈히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타이요 훼일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
1965 ~ 1977년
<rowcolor=#20272c,#d3dade>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오카 마사미츠 마츠오카 코스케 야마시타 리츠오 (1) 코타니 타다카츠 노무라 오사무
<rowcolor=#20272c,#d3dade>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아라카와 타카시 (5) 노구치 요시오 타케우치 히로아키 나가사키 케이이치 야마시타 다이스케
<rowcolor=#20272c,#d3dade>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네모토 타카시 타무라 마사오 사이토 아키오 카도타 후미아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78년 ~ 1992년
<rowcolor=#20272c,#d3dade>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타카모토 쇼이치 (1) 스기나가 마사노부 (1) 히로세 신타로 (1) 미기타 카즈히코 오오하타 토오루
<rowcolor=#20272c,#d3dade>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쵸시 토시오 (1) 송광훈 나카야마 히로아키 토모리 유이 (1) 모리타 코키 (1)
<rowcolor=#20272c,#d3dade>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타니시게 모토노부 사사키 카즈히로 미즈오 요시타카 사이토 타카시 코히야마 마사히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3년 ~ 2011년
<rowcolor=#20272c,#d3dade>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카와하라 류이치 (2) 키다 쇼이치 호소미 카즈시 (2) 카와무라 타케오 (2) 타니구치 쿠니유키
<rowcolor=#20272c,#d3dade>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후루키 카츠아키 (1) 타나카 카즈노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하타 유지 (1) 무라타 슈이치 (2)
도이 류타로 (2)
<rowcolor=#20272c,#d3dade>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요시카와 테루아키 (2)
모리 다이스케 (2)
나스노 타쿠미 (2)
소메다 켄사쿠 (2)
야마구치 슌 (3)
타카미야 카즈야 (2) (4)
키타 아츠시 (1) (3)
타카사키 켄타로 (2) (4)
타나카 켄지로 (1) (3)
코바야시 후토시 (1) (4)
<rowcolor=#20272c,#d3dade>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마쓰모토 게이지로 쓰쓰고 요시토모 스다 코타 키타가타 유조 (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2년 ~
<rowcolor=#20272c,#d3dade>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시라사키 히로유키 (1) 카키타 유타 (1) 야마사키 야스아키 (1) 이마나가 쇼타 하마구치 하루히로 (1)
<rowcolor=#20272c,#d3dade>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아즈마 카츠키 카미챠타니 타이가 (1) 모리 케이토 이리에 타이세이 코조노 켄타
<rowcolor=#20272c,#d3dade> 2022년 2023년 2024년
마츠오 시온 와타라이 류키 타케다 유 (1)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3) 고교생 드래프트, (4)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5) 지명 후 미입단
}}}}}}}}}

파일:YokohamaBaystars98champion.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1998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8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MVP
후루타 아츠야
( 야쿠르트 스왈로즈)
사사키 가즈히로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노구치 시게키
(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5~1998년 센트럴 리그 최다 세이브 투수

파일:2001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2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01 2002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카를로스 벨트란
( 캔자스시티 로열스)
사사키 가즈히로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등번호 22번}}}
와카나 요시하루
(1987~1988)
사사키 가즈히로
(1990~1999)
라파엘 베탄코트
(2000)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22번
브라이언 헌터
(1999)
사사키 가즈히로
(2000~2003)
호세 로페즈
(2004~2005)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등번호 22번}}}
요시미 유지
(2001~2003)
사사키 가즈히로
(2004~2005)
타카사키 켄타로
(2007~2017)
}}} ||
파일:external/trend-comment.com/628x474.jpg
사사키 가즈히로
佐々木 主浩 / Kazuhiro Sasaki
출생 1968년 2월 22일 ([age(1968-02-22)]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미야기현 센다이시
학력 도호쿠 고등학교(미야기) - 도호쿠복지대학
신체 193cm / 100kg
포지션 마무리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89년 드래프트 1라운드 ( 요코하마)
소속팀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1990~1999)
시애틀 매리너스 (2000~2003)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4~2005)
기록 단일 이닝 4삼진 (2003.4.4)

1. 개요2. 선수 경력
2.1. 요코하마 베이스타즈2.2. 시애틀 매리너스2.3. 다시 요코하마로, 그리고 은퇴
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연도별 성적6. 마주 활동7. 모터스포츠 활동8. 기타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했던 전 프로야구 선수. 일본프로야구 통산 43승 38패 252세이브, 메이저리그 통산 7승 16패 129세이브의 성적을 기록한 마무리 투수로, 이와세 히토키, 다카쓰 신고의 뒤에 위치한 일본 통산 세이브 3위 기록 보유자이다.[1] 미일 통산 총 381세이브를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이와세 히토키[2]의 뒤를 잇는 2위 기록이다.

또한 32세라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메이저리그로 진출했음에도 신인왕에 오르는 등 활약을 이어갔고 MLB 아시아인 역대 최다 세이브 기록(129개)도 보유하고 있다.

별명은 '대마신(大魔神)'. 다이에이사의 특촬물 대마신의 주인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별명이다. 이 별명은 미국에서도 'DAIMAJIN'이라는 명칭으로 이어지게 되고, 후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마무리 투수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작은 대마신'으로 계승했다.

2. 선수 경력

2.1.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6c4d222b.jpg

한국 야구팬들에겐 생소할 수 있는 다이요 훼일스 시절의 젊은 사사키의 피칭. 사사키의 주무기인 포크볼도 보인다.

도호쿠 복지대학[3]에서 활약한 뒤 1989년 드래프트에서 다이요 훼일즈에 1순위로 지명받았다.[4]

입단 초기에는 팀의 대투수였던 엔도 카즈히코 마무리 투수를 맡고 있어서 중간계투와 땜빵 선발 투수로 뛰었으나, 엔도의 부진으로 91년부터 본격적으로 마무리로 전향하게 된다. 91년 6승 9패 17세이브 평균 자책점 2.00의 좋은 성적을 올리며 92년부터 요코하마의 풀타임 마무리로 뛴다. 93년에는 20세이브 평균자책점 3.27을 올렸지만 팀에서는 200만 엔이 삭감된 연봉을 제시하자 분노하며 자신의 트레이드를 요청하는 사태도 있었지만, 당시 감독이던 곤도의 설득으로 잔류를 하게 된다. 이후로는 94년 부상으로 잠시 마무리를 내려 놓은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 요코하마의 특급 마무리로 이름을 날렸다. 특히 1996 ~ 1998년에는 4년 연속 최우수 구원투수상을 따내고, 1997, 1998년에는 일본프로야구 단일시즌 세이브 기록을 경신(38세이브, 45세이브)하게 된다.이렇듯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최전성기의 중심으로 활약했으며, 1998년 일본시리즈 우승의 주역이 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활약으로 1998년 센트럴리그 MVP마저 수상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낸다. 이 시기 사사키와 경쟁했던 마무리 투수들로 선동열, 다카쓰 신고, 사사오카 신지[5] 등이 있었지만, 당시 리그에서 가장 압도적인 마무리가 사사키라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었다.

그러나 1999년 시즌에는 중간에 부상을 당하게 되었고, 그대로 시즌을 마치게 된다. 문제는 부상으로 인해 시즌 중간에 수술을 받게 되자 요코하마 구단은 사사키의 몸상태를 의심하게 되었고, 사사키 또한 구단의 이러한 행보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더욱이 전 해 전성기를 보낸 사사키는 1998시즌 후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고 싶다고 했다가 구단이 만류한 적이 있었고, 1999시즌이 끝나자 FA를 취득한 사사키는 뒤도 안 돌아보고 메이저리그로 떠나게 된다.

2.2.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2762C9D1-E558-4A2D-9E0F-961DAFB43F2B.jpg

32세라는 적지않은 나이에 시애틀 매리너스의 마무리 투수가 된 그는[6] 약물 시대였던 2000년 첫 해 신인으로서 37세이브를 올려 당시 역대 신인 최다 세이브를 기록하며[7] AL 신인왕[8]과 매리너스 구단 MVP를 수상하게 된다.

파일:8EF8DD10-B08F-4935-9A83-8B1C25CA3661.jpg

그리고 스즈키 이치로가 동료로 합류한 2001년에도 뛰어난 활약을 이어가 4월에 이주의 선수 선정, 올스타전에서도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며 아시아인 최초로 올스타전 세이브를 기록한다. 또한 당시 구단 신기록인 45세이브[9]를 달성했으며 천하의 마리아노 리베라와 세이브왕 경쟁을 펼쳤지만 5개 차이로 밀려 세이브왕을 놓치게 된다.

2002년에도 37세이브를 거두며 대마신의 명성을 이어나갔다. 당시 해설진이 아서 로즈[10], 제프 넬슨[11]과 함께 묶어 '뉴 내스티 보이즈'[12]라고 칭할 정도.

무엇보다도 근 10여년 간 마무리 투수 문제로 골치를 앓았던[13] 시애틀 입장에서 혜성처럼 나타난 사사키의 존재는 정말 구세주나 다름없었다. 특히 당시는 대약물 시대의 한가운데로서 미칠듯한 타고투저를 보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정규시즌 퍼포먼스로 2001년 시애틀이 MLB 단일시즌 최다승인 116승을 올리는데 큰 공을 세우며[14] 시애틀의 수호신으로 군림하였다.


메이저리그 역대 최다승인 116승의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잡는 사사키

그러나 2002시즌 후반기부터 팔꿈치를 다치는 등 고생했고, 그 해에 블론세이브도 차츰 기록하면서 조금씩 불안감이 쌓이기 시작했다. 2003년에 팔꿈치 연골 제거 수술을 받고 재활에 성공했으나, 이번에 닥쳐온 건 오른쪽 허리 통증. 그리고 복귀하여 또 어느 정도 던지다가 6월에 호텔에서 가방 싸다 넘어져서 오른쪽 옆구리 부상. 어찌어찌 돌아오긴 했지만 팀의 마무리 자리는 이미 동료 일본인 투수인 하세가와 시게토시가 잘 메워주고 있었고, 그렇게 남은 시즌을 중간계투로 보내게 된다. 결국 더이상 예전처럼 활약하기는 힘들 것 같다고 생각한 사사키는 2003시즌 이후 남은 계약과 돈을 자진해서 포기하고, 일본으로 복귀하게 된다.

파일:203F3ED3-500F-49A9-929A-7604D6B926D6.jpg
스즈키 이치로와의 올스타전에서...

그가 3년반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그것도 스테로이드 시대의 전성기였던 당시 시애틀에서 기록한 129세이브는 현재까지도 시애틀 매리너스의 프랜차이즈 기록으로 남아있으며 2017년 시애틀 타임즈가 뽑은 시애틀 매리너스의 위대한 선수 역대 19위[15]에 선정되었다. #

파일:47DDFACD-E93E-4B22-BDCF-378725ABAF31.jpg

사사키가 메이저리그에서 남긴 또하나의 기록이 있다면 바로 스트라이크 낫아웃으로 1이닝 4탈삼진을 기록해보기도 하였다. #

2.3. 다시 요코하마로, 그리고 은퇴

2004년 사사키는 당시 일본프로야구 내국인 선수 역대 최고 연봉인 6억 5천만 엔에 친정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로 돌아온다. 첫 해에는 떨어진 구위를 포크볼과 안정된 제구로 메우면서 그럭저럭 성적을 냈지만, 후반기부터 힘이 빠지게 되었고 2군을 들락날락하게 되면서 19세이브로 시즌을 마감. 2005년에는 전설의 250세이브[16]를 달성했지만, 부상으로 9경기 등판에 그치면서 결국 대마신은 2005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를 선언하게 된다. 요코하마 최고의 레전드이기는 하지만 냉정히 말해 요코하마 2기는 마쓰자카 다이스케 이전까지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악의 먹튀라 해도 할 말이 없다.

이후 후임으로 마무리 투수를 맡게 된 선수가 일본프로야구 최고구속 기록 보유자였던 마크 크룬이다.[17]

3. 플레이 스타일

193cm, 100kg의 건장한 신체조건을 가졌으며, 최고 구속 154km/h의 빠른공과 포크볼을 주로 구사하던 마무리 투수였다. 이외에도 간간이 커브 커터를 구사하기도 했지만 구사율이 높지는 않았다.
강한 악력을 이용한 낙차가 큰 포크볼은 ‘2층에서 떨어지는 포크볼’이라고도 형용될 만큼 타자에게 상당히 위력적이었다. 사사키의 포크볼은 주로 130km/h대 초반에서 140km/h까지 형성되었으며, 삼진을 빼앗기 위한 빠른 구속의 포크볼과 땅볼을 유도하기 위한 느린 구속의 포크볼을 섞어던져 타자들을 더욱 혼란스럽게 했다.

4. 수상 내역

수상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신인상 (2000)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2001, 2002)

5. 연도별 성적

5.1. NPB

역대 기록 (NPB)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WAR
1990 타이요 16 2 4 2 - 47⅔ 5.85 49 10 30 0 44 1.657 69 -0.6
1991 58 6 9 17 - 117 2.00 72 7 51 4 137 1.051 152 3.3
1992 요코하마 53 12 6 21 - 87⅔ 2.46 47 6 39 1 135 0.981 200 3.5
1993 53 3 6 20 - 55 3.27 35 6 21 2 84 1.018 156 1.8
1994 31 3 1 10 - 46 2.15 27 5 15 0 59 0.913 145 1.1
1995 47 7 2 32 - 56⅔ 1.75 30 5 17 0 78 0.829 200 2.4
1996 39 4 3 25 - 49⅔ 2.90 37 6 16 1 80 1.067 172 1.8
1997 49 3 0 38 - 60 0.90 25 6 17 1 99 0.700 250 3.1
1998 51 1 1 45 - 56 0.64 32 1 13 1 78 0.804 370 3.5
1999 23 1 1 19 - 23⅓ 1.93 19 1 6 0 34 1.071 286 1.3
2004 25 1 2 19 - 22⅔ 3.18 18 4 3 0 18 0.926 102 0.3
2005 9 0 3 4 0 6 9.00 11 2 2 0 5 2.167 69 -0.2
NPB 통산
(12시즌)
439 43 38 252 0 627⅔ 2.41 402 59 230 10 851 1.007 159 21.6

5.2. MLB

파일:MLB 로고.svg 사사키 가즈히로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c4ced4>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00 SEA 63 2 5 37 0 62⅔ 3.16 42 10 31 2 78 1.165 146 0.6 1.3
2001 69 0 1 45 0 66⅔ 3.24 48 6 11 4 62 0.885 128 1.6 1.1
2002 61 4 5 37 0 60⅔ 2.52 44 6 20 2 72 1.055 169 1.5 1.2
2003 35 1 2 10 0 33⅓ 4.05 31 2 15 1 29 1.380 107 0.4 0.1
MLB 통산
(4시즌)
228 7 16 129 0 223⅓ 3.14 165 24 77 9 242 1.084 138 4.1 3.7

6. 마주 활동

  • 은퇴 후에 경마 마주로 활동하고 있다. 요코하마 2기 시절에 선배의 추천으로 경마를 접한 후 푹 빠져 2006년에 미스터 포크라는 지방 소속 말을 구입하며 마주 데뷔를 했다.
  • 그러다 친분이 있는 마주를 통해 암말인 할와 스위트를 만난 후 한 눈에 반해서 할와 스위트의 산구 6마리를 모두 구매하고 중앙경마 마주 자격도 얻었다. 그 중에서 비르시나, 슈발 그랑, 비블로스가 가장 높은 등급인 G1 대회를 우승한 덕분에 한 마리도 가지기 힘든 G1 우승마를 세 마리나 소유하게 되었다.[18][19]
  • 참고로 전용 승부복은 어드마이어 관명을 쓰는 콘도 리이치의 승부복 디자인과 거의 흡사한데, 이는 마주를 시작할 때 콘도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다.[20]
  • 할와 스위트 산구들이 데뷔하기 전까지는 자신의 별명인 마인(마진)을 관명으로 썼으나 재혼 상대인 에노모토 카나코가 기존 관명을 쓰지 말고 뷔(ヴ)를 써보라고 권유했고 그러한 권유에 따라 뷔가 들어가도록 작명하게 되었다. 그 결과, 앞서 말한 초대박을 얻게 되면서, 그 후부터 사사키의 소유마들은 무조건 뷔가 들어가도록 작명하고 있다.
  • 과거 자신을 프로야구 게임에 데이터화하는 것[21]에 거부감을 드러낸 바 있었기에, 경마를 모티브로 한 게임들에서도 사사키 본인의 소유마들은 등장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행회로가 돈 적이 있었다. 허나 이런 불행회로가 무색하게 사이게임즈가 사사키가 보유한 슈발 그랑, 비르시나, 비블로스의 라이센스를 모두 일시에 획득하는 데 성공해, 이들 세 자매남매가 우마무스메 3기 우마무스메 게임판에 공식으로 실장되었다.[22]

7. 모터스포츠 활동

  • 마주뿐 아니라 모터스포츠 활동에도 관심이 많아서, 시애틀 생활의 후반기였던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자신이 오너로 있던 팀 22로 포뮬러 닛폰( 슈퍼 포뮬러의 전신)에 참전했다.
    • 2002년 시즌에는 이토 다이스케를 드라이버로 기용, 차량의 메인터넌스는 문크래프트에게 맡겨 참가했고 전 경기를 완주했지만 포인트를 얻지 못했다.[23]
    • 2003년 시즌에는 와키사카 주이치를 드라이버로 기용하고 팀 르망에 차량의 메인터넌스를 맡겨서 참가, 제2전이던 후지 스피드웨이 전에서 5위로 첫 포인트를 획득하고, 제4전이던 트윈 링 모테기 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총 10경기중 리타이어가 4회였지만, 우승 2회에 남은 경기 올 포인트로 최종 31포인트를 챙겨서 팀 랭킹 4위, 드라이버 랭킹 3위 기록.
  • 2017년부터 파칭코 운영 회사 중 하나로 유명한 넥서스 산하의 레이싱팀인 디스테이션 레이싱(D'station Racing)의 총감독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슈퍼 GT에서는 참전 개시 7년만인 2024년 슈퍼 GT 제3전인 스즈카 3시간 레이스(장소 : 스즈카 서킷)에서 첫 우승을 맛봤다.
FNN 프라임 온라인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사사키 마사히로의 인터뷰

8. 기타

  • 홍진호 만큼이나 2와 관련이 많은 선수였다.
    • 출생시각이 222일 오후 222
    • 헤이세이 2년에 22살이 됨
    • 고향인 미야기현의 시외국번이 022
    • 등번호 22[24]
    • 장녀의 출생 시간이 222
    • 베이스타즈 사무실 주소가 2쵸메 22
    • 22경기 연속 세이브(일본 기록)[25]
    • 미일 통산 세이브 기록 2
    • 자신이 소유한 경주마 비르시나의 성적이 트리플 티아라 경주 3연속 2[26], 중상(대상) 경주 5경기 연속 2착을 기록하다가 빅토리아 마일 경주 2연패
마쓰자카: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선배님들은 왜 완투를 못하나요?허세
사사키: 바깥쪽 꽉찬 150km 직구로 홈런 맞으면 그런 소리 못한다.그리고 말은 씨가 되었다.
  • 메이저리그 타자들의 수준과 그런 리그에서 살아남은 비결도 소개한 적이 있다.

파일:attachment/사사키 가즈히로/2011-03-23_23;11;01.jpg
파일:attachment/사사키 가즈히로/2011-03-23_23;11;41.jpg
파일:attachment/사사키 가즈히로/2011-03-23_23;11;59.jpg
파일:attachment/사사키 가즈히로/2011-03-23_23;12;14.jpg
파일:attachment/사사키 가즈히로/2011-03-23_23;12;30.jpg
동양인 타자들은 인내심이 좋고 메이저리그 타자들은 변화구에 잘 속는다는 국내 전문가들을 디스하는 대마신
  • 2011년 LG 트윈스의 스프링캠프에서 인스트럭터로 초빙되기도 했다.
  • 프리미어 12 준결승 한일전의 일본 중계에서 캐스터가 시도때도 없이 찾는 '사사키 상'이 이 분이다. 당시 해당 경기에서 해설을 맡았다. 정대현의 투구를 보고 칭찬한 건 덤. 당신이 나가서 던져줘요
  • 2000년 코무로 테츠야의 프로듀스를 받아 'break new ground'라는 CD 싱글을 낸 적이 있다. 2년 전인 1998년 사사키가 globe의 요코하마 스타디움 공연 때 잠깐 무대에 오른 적이 있는데, 이때 코무로가 사사키에게 요코하마가 우승하면 곡을 써주겠다고 약속한 것이 계기였다. 그 후 진짜로 요코하마가 우승했고, MLB로 이적하는 사사키를 위해 정말로 곡을 써준 것. 곡 자체는 오리콘 100위 안에도 못 들었을 정도로 묻혔고 [27] 중고 매물조차 찾아보기 힘든 희귀 음반이 되었다. 코무로가 은퇴한 후에 발표된 베스트 앨범 "TETSUYA KOMURO ARCHIVES EX"에 수록되었고, 이 앨범은 한국 음원 사이트에서도 서비스되고 있다.

파일:E4BA8BC4-2A75-42AA-994B-3AFBA867CCD7.jpg
  • 2019 도쿄돔에서 열린 시애틀과 오클랜드의 개막전 경기에서 첫 시구를 했다. 공을 받은 포수 역시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뛰었던 조지마 겐지. 참고로 가운데 인물은 야구 역사상 최고의 리드오프인 리키 핸더슨.
  • 현역시절 은근 사생활에 뒷소문도 많았고 첫번째 부인과도 안 좋게 이혼한 것으로 유명하다. 1991년에 전 아이돌 가수 시미즈 카오리[28]랑 결혼해 애가 둘이나 있던 상태였으나, 2004년에 쇼프로에서 눈이 맞은 13살 연하의 배우 에노모토 카나코를 임신시켜 결국 2005년에 이혼 당하고 에노모토랑 재혼. 사생활도 그렇고 부인도 사사키의 고향인 센다이에 카레집을 열어 사실상 은퇴했기에 현장복귀는 힘들지 않나 하는 시각이 많다.

9. 관련 문서



[1] 사사키가 이 기록을 세울 당시에는 사사키가 1위였다. 다카쓰, 이와세가 이를 차례로 갱신하였다. [2] 2018년 은퇴를 선언하였으며, 통산 407세이브를 기록했다. 사사키와는 달리 NPB에서만 뛰며 세운 기록이다. [3] 당시 1년 후배로 사이토 타카시 야노 아키히로가, 2년 후배로 카네모토 토모아키가 있었다. 참고로 야노는 사사키와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사사키가 빠른 생일이라 1년 먼저 대학에 입학했고, 카네모토도 역시 사사키와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카네모토는 재수로 사사키보다 2년 늦게 대학에 입학했다. [4] 89년 드래프트는 여러모로 전설로 회자되는 드래프트인데, 일단 8개구단 1지명을 받은 노모 히데오가 있었고, 야쿠르트의 명포수 후루타 아츠야가 2순위에 있었다. 그 외에도 신조 츠요시, 마에다 토모노리, 시오자키 테츠야, 사사오카 신지 등 대선수들이 다수 뽑혔다. [5] 이쪽은 소속 구단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투수진 뎁스 문제로 인해 선발과 마무리를 자주 오갔다. [6] 시애틀 매리너스 입단 기자회견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의 구단주이자 닌텐도의 사장이었던 야마우치 히로시는 그에게 '메이저리그의 피카츄가 되기를 바란다' 라는 말을 남겼다. [7] 2011년 크레이그 킴브럴이 46세이브로 경신 [8] 1984년 앨빈 데이비스이후 16년만의 시애틀 소속의 신인왕이다. [9] 2018년 에드윈 디아즈가 57세이브로 경신했다. [10] 68이닝 1.71 31홀드 [11] 65이닝 2.76 26홀드 [12] 1990년 월드 시리즈 우승의 주역인 신시내티 레즈의 불펜투수 놈 찰튼, 랍 디블, 랜디 마이어스를 '내스티 보이즈'(Nasty Boys)라고 일컬었다. [13] 보스턴의 마무리 히스클리프 슬로컴을 얻으려 유망주 데릭 로우 제이슨 베리텍을 내주는 희대의 조공 트레이드를 한 적도 있었다. [14] 여담으로 시애틀의 116승 달성 경기에서 사사키가 마지막으로 아웃을 잡은 선수가 전년도까지 팀 동료였던 알렉스 로드리게스였다. [15] 마무리 투수 중에서는 1위 [16] 명구회 가입요건. 물론 사사키는 이미 메이저리그에서 세이브가 있어서 가입했지만 250 세이브 자체가 일본에서 대단한 기록으로 통한다. 마치 한국에서 활동하다가 일본에서 한일통산 2000안타를 친 선수가 한국에 돌아와 한국리그에서의 2000안타를 달성한 것과 같은 것. [17] 2021년 현재 이 기록 보유자는 티아고 비에이라다. [18] 1년에 만마리 이상 태어나는 일본 경주마 중에서 G1 우승마의 비율은 0.1% 가량임을 감안하면 상상 이상의 대박이 터졌다고 할 수 있다. [19] 여담으로 할와 스위트는 태어날 때부터 꼬리뼈 자체가 없이 태어난 희귀 케이스로 이는 커브를 돌때 중심 잡기와 유지가 중요한 경주마로선 치명적인 결함이었지만, 그럼에도 5승을 달성했고 꼬리가 없는 말이라는 특이한 개성으로 많은 팬을 보유한 말이었다. 사사키가 할와 스위트의 자마를 구입한 것도 그가 할와 스위트의 팬이었던 것도 있지만, '꼬리가 없는데도 이 정도의 성적을 내었으니, 자마들도 (꼬리털이 정상적으로 태어나기만 하면) 분명 엄청난 실력을 보여 줄 것'이라는 판단이 결정적이었다고 한다. [20] 스시집에서 우연히 콘도와 만났는데, 이때 이미 지방에서 마주로 데뷔한 데다 같은 할와 스위트의 팬이었던지라 마주로서 의기투합했고, 이때 콘도가 "기왕이면 중앙에서 마주를 해야지"라며 말도 한마리 넘겨줬다고 한다. [21] 자신이 등장한 야구게임인 파워 프로 시리즈를 굉장히 불쾌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 때문에 은퇴 이후 한동안은 OB 선수로 사사키가 등장하지 못했기에 유저들이 인게임에서 사사키를 직접 석세스 모드 등을 활용해 만들어 썼다. 결국 사사키의 재등장은 30주년 기념작인 파워풀 프로야구 2024-2025가 출시되고 나서야 이루어지게 되었다. [22] 물론 작중에선 대놓고 대마신의 실명이 드러나지 않지만, 세 자매의 아버지이자 유명한 야구선수라고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23] 당시 규정상 6위까지만 포인트를 주는 10-6-4-3-2-1 시스템을 시행. [24] 그래서 입단하고 나서 신문에 헤이세이 2년(1990년) 2월 22일에 22세 생일을 맞이한 등번호 22번의 사사키 선수...라는 스포츠 뉴스 기사도 있었다고 한다. 황신이 매우 좋아합니다 [25] 22경기 연속으로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했다는 뜻이다. 메이저리그와 달리 세이브와 무관한 등판이 있는 경우에도 기록이 끊긴다. [26] 무려 일본 최초 기록이다. 이때 비르시나에게 3연패를 안기고 암말 3관에 오른 상대가 이후 G1 7승 및 JRA 현창마까지 오르는 역대급 명마 젠틸돈나였던지라 대진운이 너무 나빴다고밖에 말할 수 없는 상황. 여담이지만 비르시나의 동기 세대에는 숫말쪽에서도 희대의 기행마 겸 명마로 유명한 골드 십 저스터웨이, 페노메노 등 유독 강한 말들이 많이 배출되던 해이기도 했다. [27] 당시 코무로 붐이 꺼진 상태기도 했지만, 그것과 별개로 사사키의 곡은 이벤트성으로 제작된 곡이라 음반 유통량 자체가 적었다. 코무로 붐 당시에도 이런 식의 이벤트성 곡은 성적이 좋지 못했다. [28] SNK의 게임 사이코 솔저의 테마곡을 불렀다. [29] 사사키를 비롯해 MLB에 진출한 선수들이 노모, 신조, 코미야마의 4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