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0~1995 | |||
마당 깊은 집 (1990) |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1990) |
완전한 사랑 (1990) |
똠방각하 (1990) |
|
어둔 하늘 어둔 새 (1990) |
춤추는 가얏고 (1990) |
재미 있는 세상 (1990) |
겨울이야기 (1991) |
|
고궁 (1991) |
이별의 시작 (1991) |
장미빛 인생 (1991) |
행복어사전 (1991) |
|
내 마음은 호수 (1991) |
동의보감 (1991) |
약속 (1992) |
행촌 아파트 (1992) |
|
(1992) |
질투 (1992) |
4일 간의 사랑 (1992) |
두 여자 (1992) |
|
창 밖에는 태양이 빛났다 (1992) |
억새 바람 (1992~1993) |
걸어서 하늘까지 (1993) |
사랑의 방식 (1993) |
|
산바람 (1993) |
나는 천사가 아니다 (1993) |
일지매 (1993) |
파일럿 (1993) |
|
여자의 남자 (1993) |
마지막 승부 (1994) |
맞수 (1994) |
새야 새야 파랑새야 (1994) |
|
아담의 도시 (1994) |
사랑을 그대 품안에 (1994) |
M (1994) |
도전 (1994) |
|
마지막 연인 (1994) |
거인의 손 (1994) |
눈먼 새의 노래 (1994) |
까레이스키 (1994~1995) |
|
호텔 (1995) |
사랑을 기억하세요 (1995) |
TV시티 (1995) |
거미 (1995) |
|
여 (1995) |
연애의 기초 (1995) |
|||
문영남의 [[문영남/작품 목록|{{{#FFFFFF 작품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1) |
(1991) |
(1992) |
(1992) |
(1994) |
(1994) |
(1995~1996) |
깊은 바다 (1996) |
|
(1997~1998) |
(1999~2000) |
(2001) |
(2002) |
|
(2004) |
(2005) |
(2006) |
(2007~2008) |
|
(2009~2010) |
(2011~2012) |
(2013~2014) |
(2016~2017) |
|
(2019) |
(2021) |
(2022~2023) |
너 없이 못살아 (2025) |
|
}}}}}}}}}}}} |
[clearfix]
1. 개요
1992년 4월 6일부터 1992년 5월 26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월화드라마. 문영남 작가가 1991년에 쓴 동명의 소설[1]이 원작이며 작가 측이 극본까지 맡았다. 연출은 이관희 PD, 조연출은 안판석 & 김흥수 PD, 기술감독은 권대택, 촬영은 한숙동, 조명은 장현석, 미술감독은 윤상준, OST 작곡은 연석원, 편집은 황금봉, 법률자문은 민건식 변호사 등이 각각 맡았다. 총 16부작.
2. 특징
제1회부터 일본 덴노를 암살한다는 설정 때문에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으며, 지금보다 반일감정이 심했던 때[2]였던지라 시청자 호응도가 높았고, 방영 이틀 전에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를 통해 홍보할 정도였다. 또한 현장감과 퀄리티 상승을 위해 정동 스튜디오는 물론, 강원도 속초시, 일본 도쿄 등지에서 현지 로케까지 진행했다.1회에서 묘사된 천황 암살미수 장면[3] 탓에 4월 9일 오가와 코타로 주한일본공사가 MBC를 항의 방문하고, 가토 고이치 관방대신이 유감을 표명했으며 일본 내 우익 단체들까지 합세해 동월 10일 주일한국대사관에 방송차로 항의하고 MBC 도쿄지사 등지에 항의 전화를 걸 정도였다. 또한 10일 및 11일에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이 각각 대서특필할 정도였다.( 동아일보 기사) 이에 이병훈 CP 측은 동월 9일 "일본 측 의견을 참고하겠으나, 표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는 식으로 반론했으나, 16일 방송위원회 연예오락심의위원회 측은 "일본 천황의 즉위식 영상을 드라마 중간에 삽입, 저격 기도장면을 연출한 건 시청자들로 하여금 가상이 아닌 사실로 오인케 할 우려가 있다"며 '주의' 결정을 내렸다.( 경향신문 기사)
2020년대에는 일본의 포지션이 약해진 대신 한국은 강대국의 최소라 해도 될 정도로 체급이 커졌지만, 당시만 해도 일본에게 있어 한국은 존재감 자체가 미미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즉시 유감표명을 할 저도로 민감하게 받아들인 것은 이 드라마의 설정 자체가 워낙 파격적이었기 때문이었다.
KBS 전속 탤런트이던 변영훈의 첫 타사 드라마 출연작이자 처음으로 큰 주연을 맡은 작품이었다. 종영 후 OSB 드라마 채널에서 2002년 당시 재방영한 것과 지역 유선방송에서 몇 차례 재방영한 것 빼곤 재편성이 없고, MBC Archive에도 없어서 굳이 구하려면 MBC C&I에 직접 연락해서 비싼 값을 들여 복사구매를 해야 한다.
3. 등장인물
-
이하연[5]:
변영훈 /
이대원(아역)
주인공이자 순종 황제의 적손이며,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1958년 강원도 속초 태생으로 민재경과 부부지간으로 나오며 일본 덴노를 암살하고자 한다. -
민재경:
김희애
뉴욕 타임스 기자. -
유정:
김소이
이하연과 어릴 적부터 사귀던 친구이자 동거녀. -
이호 / 순종:
이정길
이호는 이백수, 이하연, 이복남 3남매의 부친이자 순종 황제의 아들이란 설정이며, 조합원 서기 근무. 원작에서는 후반부에 80대 노구를 이끌고 일본 덴노를 암살하러 간다는 설정이다. -
귀순:
고두심
이호의 부인, 술집 작부. -
이하연의 아들:
오태경
이하연과 유정 사이에서 낳은 사생아. -
이자응:
김무생
양녕대군의 종손이자 전주 이씨 종친, 민재경의 삼촌. 이호의 출신 성분을 아는 인물. -
재일교포:
최불암
이하연에게 총을 건네준 브로커. -
이만도:
임채무
이자응의 양자로 양부의 회사에서 이사로 근무. 현실주의자로서 '왕'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는 인물. -
이백수:
송승환
이호의 장남, 이하연의 형. - 정순: 주희
-
최민수:
최상훈
주일한국대사관 직원. 민재경의 조력자. -
이복남:
오현경
이하연의 누나. - 야쿠자: 박영지
- 박제순: 신국
- 이완용: 양택조
- 데라우치 마사타케: 신충식
- 대폿집 색시: 곽진영
- 이발사: 김성일
- 정승현
- 오승명
- 문회원
- 김해숙
- 김소원
- 김석옥
- 김길호
- 박영태
- 박소현
- 문시경
- 신귀식
- 임문수
- 김호영
- 홍민우
- 남영진
- 김은영
- 김웅철
- 이창환
- 사상기
- 박희우
- 황일청
- 홍여진
- 한태일
- 김만혜
- 김용선
- 박종설
- 전임복
- 허기호
- 최성철
- 차혜영
- 김용승
- 양생우
- 유퉁
- 김경란
- 임대호
- 장보규
- 정대홍
- 문창근
- 이승현
- 이장훈
- 염동한
- 장인한
- 최한호
- 유명순
- 전희룡
- 정태섭
- 신명철
- 송영웅
- 김영석
- 문용철
- 양형욱
- 정미경
- 송경희
- 이인정
- 이명희
- 장연식
- 김미영
- 배영옥
- 강이은
- 김현남
- 김현미
- 김진은
- 최수훈
- 감우성
- 김세형
- 정장만
- 이경랑[6]
- 이진헌
- 김선명
- 김민좌
- 한승복
- 일본 검찰 수사관: 문장환[7]
- 고지마 잇세이(小島一成)
- 나카무라 에미코(中村惠美子)
- 미도리카와 코우시(緑川健史)
4. 여담
- 연석원이 작곡을 맡은 OST 음반은 EMI계몽사(현 EMI 뮤직 코리아)에서 발매한 바 있다.
- 2021년 7월 20일자 유튜브 <송승환의 원더풀라이프> 이정길-'하얀거탑' 편에서 5회 관련 비화가 소개되었다.
5. 참고 자료
[1]
제1회 MBC 문학상 수상작.
[2]
참고로 이 드라마보다 불과 1년 전에
전여옥의
일본은 없다가 출간되었다.
[3]
1990년 아키히토 즉위식 당시 퍼레이드 영상과 정동 야외 스튜디오에서 찍은 암살 미수 씬을 결합했다.
[4]
실제로 당시 일본은
스위스,
룩셈부르크,
스웨덴에 버금가는 세계 4위 부국이었던 반면 한국은
포르투갈보다도 못 사는 '중진국의 최대'에 그쳤다. --그리고 2024년 현재는 한국이 일본보다 1인당 GDP가 높다.
[5]
<우먼센스> 1992년 6월호에서의 변영훈 부부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기획 당시 해당 배역에는 변우민, 유인촌, 문성근 등 쟁쟁한 남배우들이 물망에 올랐고, 변영훈은 당초 이발사 역으로 잡혀 있었으나 아내는 남편의 잠재력을 믿고 대본을 받아들며 연출자 이관희 PD에게 끈질기게 주인공 배역을 시켜달라고 요구하자 성사된 것이라 한다.(
관련 영상)
[6]
<TV가이드> 1993년 13권 36호 기사 p26~27 참고.
[7]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후 광고회사에서 일하다가 1984년 일본으로 유학, 1988년부터 <산케이신문> 서울지사 주재기자로 4년 간 근무했다. 1992년 퇴사 후 방송 코디네이터 전문 업체 '코코기획'을 운영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