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 및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보리소프(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
항성 | ||||
행성 | ||||
<nopad> 지구형 행성 | ||||
<nopad> 목성형 행성 [A] | ||||
항성 Fixed Star | 지구형 행성 Terrestrial planet |
|
목성형 행성 Jovian planet |
|
|
소행성체 및 왜행성 [B] | |||||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 ||||
소행성대 | ⚳ 1 세레스 · ⚴ 2 팔라스 · ⚶ 4 베스타 외 다수 | ||||
켄타우로스족 | ⚷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 ||||
카이퍼대 |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 ♇ 134340 명왕성 ( 카론 등 5개▶) | |||
하우메아족 | 136108 하우메아 ( 히이아카 · 나마카) | ||||
큐비원족 | 136472 마케마케 ( S/2015 (136472) 1) | ||||
산란 분포대 | 136199 에리스 ( 디스노미아) | ||||
세드나족 |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 ||||
성간 천체 |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 ||||
오르트 구름 | |||||
구조 |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 ||||
각주 | |||||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 |
MPC 번호 순 성간 천체(Interstellar objectst) | ||||
1I/ʻOumuamua | ← | 2I/Borisov |
2I/Borisov 2I/2019 Q4 (C/2019 Q4) |
|
구분 |
성간 천체 비주기 혜성 |
지름 | 0.4 km 이하[출처1] |
근일점 | 2.006624 AU |
궤도 경사각 | 44.0526262° |
근일점 인수 | 209.1246056(±0.0000484)° |
궤도 이심률 | 3.35619127(±0.0000152)[2] |
자전 주기 | 13.2(±0.2)일[3] |
성간 공간에서의 평균 속력 | 32.34(±0.07) km/s[4] |
지구 접근 거리 | 1.09302 AU |
겉보기 등급 | 최대 +15 이하 추정 |
절대 등급 | +13.7(±0.8) |
2019년 10월 12일, 허블 우주 망원경이 2.782 AU(4억 1,618만 km)의 거리에서 촬영한 성간 혜성 보리소프 |
보리소프의 상상도 |
성간 천체 보리소프의 궤도와 2019년 9월 21일 기준 위치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모스크바 대학 천문연구소 소속의 겐나디 블라디미로비치 보리소프(Gennadiy Vladimirovich Borisov, Генна́д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Бори́сов) 박사가 발견한 외우주 성간 천체이다.특이하게도 본인이 직접 만든 0.65m 구경의 망원경으로 발견하였고 그가 8번째로 발견한 혜성이다. 보통 아마추어 천문연구원으로 소개되는데, 소속에서 볼 수 있듯 전문적인 천문 연구 업계소속 천문학자이지만, 해당 천체는 자신이 여가시간에 취미로 그것도 직접 만든 사제 망원경으로 발견한것이기 때문에, 2I/보리소프 천체를 소개할 때는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발견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2. 상세
오우무아무아에 이어 인류의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발견된 성간 천체로, 평균 속력은 약 32km/s로 오우무아무아보다 약 6 km/s 가량 더 빠르다. 근일점도 오우무아무아보다 훨씬 더 멀어서 궤도 이심률이 3을 넘어간다. 궤도 이심률이 1을 넘기 때문에 한 번 태양계 바깥으로 나가면 영원히 태양계로 돌아오지 않게 된다.25일 간의 관측 끝에 2019년 9월 24일 공식적으로 성간 천체로 지정되었으며, 2번째로 발견된 성간 천체라는 의미의 2I라는 번호를 부여받았다. 2019년 12월 7일 경 근일점에 도달하였다.
처음 발견시에는 혜성으로 판단되었기에 혜성 식별기호 C가 붙어 C/2019 Q4로 명명되었다. 성간 천체로 변경되며 이름이 바뀌었지만, 혜성이 아니게 된 것은 아니다. 즉, 이 천체는 태양계 밖에서 오는 혜성이다.
애덤 맥케이 박사와 그 연구팀이 초당 19㎏의 물을 내뿜는 것을 포착했다. # 반지름이 약 0.5㎞인 고체 핵을 갖고 있으며, 핵에서 방출되는 가스와 먼지로 된 코마(coma) 구조가 둘러싸고 긴 꼬리를 달고 있는 등 겉보기에는 태양계에서 발견되는 혜성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태양계 내 일반적인 혜성과 다르게 일산화탄소(CO)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구성 물질은 오르트 구름에서 날아오는 일부 혜성들과 유사하다.
근일점 접근 이전에 이미 전체 질량의 0.4% 이상 잃은 것으로 추측되며[출처1], 근일점 도달 당시 관측 결과, 혜성 핵 크기가 예상보다 작은 1km이다. #
2019년 12월 20일 오후 4시 4분부터 5시 19분(한국시각)까지 1시간 15분 동안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소속 칠레 관측소 망원경으로 ‘보리소프 혜성’을 촬영했다. #
지금까지 관측된 혜성 중 가장 원시적인 상태의 물질을 간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 편광측정법으로 파악한 보리소프의 편광적 특성이 태양계 안의 일반 혜성과는 다르다는 점을 발견했다. 또, VLT의 'X-슈터(shooter)' 분광기로 니켈 원소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그 바탕으로 태양계 내의 유일한 외계 혜성이 아니며 태양계에서 유래한 물체보다 더 많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출처1]
: Hui, Man-To; Ye, Quan-Zhi; Föhring, Dora; Hung, Denise; Tholen, David J. (2020). "Physical Characterisation of Interstellar Comet 2I/2019 Q4 (Borisov)".
arXiv:
2003.14064.
[2]
2020년 2월 현재까지 발견된 천체 중 궤도 이심률이 2를 넘는 유일한 천체다.
[3]
출처 :
The Inbound Light Curve of 2I/Borisov
[4]
출처 :
FAQ for gb00234 = C/2019 Q4 = 2I (Borisov)
[출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