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6 13:38:27

백운동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526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79be> 양림동 양림동
방림1, 2동 방림동
사직동 구동 사동 서동
월산, 월산4, 월산5동 월산동
백운1, 2동 백운동
봉선1, 2동
구청
봉선동
주월2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백운동
월산동
}}} 주월동
주월1동
진월동 진월동
효덕동 노대동 덕남동 행암동
송암동 송하동 임암동
대촌동 구소동 대지동 도금동
석정동 승촌동 신장동
압촌동 양과동 양촌동
원산동 월성동 이장동
지석동 칠석동 화장동
}}}}}}}}} ||
남구 법정동
백운동
白雲洞 | Baegun-dong
<colbgcolor=#005263><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남구
행정표준코드 2915510500
관할 행정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2동
면적 0.96㎢
1. 개요2. 역사3. 관할 행정동
3.1. 백운1동3.2. 백운2동
4. 미래 전망5. 주요 시설
5.1. 기관5.2. 교육
5.2.1. 초등학교5.2.2. 중학교5.2.3. 고등학교
5.3. 주거5.4. 도로
6. 교통
6.1. 버스
6.1.1. 급행간선6.1.2. 간선6.1.3. 지선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 행정동상으로는 백운1동과 백운2동으로 분리되어 있다.

2. 역사

대한제국기에는 백운이라는 이름은 광주군 도천면의 한 리의 이름에 불과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도천면의 일부 리가 부동방면 벽도리에 통합되면서 광산군 효천면 벽도리, 교사리가 된다. 도천면 백운리는 이 때 효천면 벽도리에 편입된다. 1923년 광산군 광주면이 확장해 효천면 교사리가 편입되고, 1935년에 광산군 광주면이 광주군으로 승격하면서 효천면 벽도리도 편입해 광주부 白雲町(백운정)으로 편제했다. 해방 후 1947년 이름을 백운동으로 개정해 현재에 이른다.[1]

3. 관할 행정동

3.1. 백운1동

남구 행정동
백운1동
白雲一洞 | Baegun 1(il)-dong
<colbgcolor=#005263><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남구
행정표준코드 3610031
관할 법정동 서동, 백운동
하위 행정구역 21통 105반
면적 0.49㎢
인구 11,841명[A]
인구 밀도 24,165.31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동구·남구 을

안도걸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박희율 (초선)
남구의원 | 다 선거구

박상길 (재선)

박용화 (4선)

오영순 (재선) }}}}}}}}}
행정복지센터 독립로54번길 20[3]
백운1동 행정복지센터
나주시 남평쪽에서 광주광역시 구도심을 거쳐갈 때 넘어야 하는 까치고개가 있는 동이다. '까치마을'이라는 이름을 홍보하며 이름의 유래를 안내하는 표지석까지 세웠는데(까치 캐릭터도 달려있다), 이곳이 고향인 임창용이 건립 비용을 댄 것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3.2. 백운2동

남구 행정동
백운2동
白雲二洞 | Baegun 2(i)-dong
<colbgcolor=#005263><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남구
행정표준코드 3610032
관할 법정동 백운동
하위 행정구역 15통 73반
면적 0.44㎢
인구 6,337명[A]
인구 밀도 14,402.27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동구·남구 을

안도걸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박희율 (초선)
남구의원 | 다 선거구

박상길 (재선)

박용화 (4선)

오영순 (재선) }}}}}}}}}
행정복지센터 진다리로6번길 9[5]
백운2동 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남부의 교통접점인 백운광장이 있으며 관광호텔인 프라도호텔이 있다. KBO 리그, K리그 원정팀이 광주광역시에 올 때 주로 여장을 푸는 곳이었고, 아시아나항공 국내선 마지막 타임 여객기 승무원들도 주로 여기서 밤을 보내고 다음날 아침 비행기로 서울특별시로 돌아가곤 했었다. 서구 상무지구에는 라마다 호텔, 홀리데이인 호텔 등 더 고급 호텔들이 있고 공항과도 더 가까운데 여기로 오는게 특이점이었다. 그러나 2019년 초에 철거되고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이 시작되었다.

4. 미래 전망

택지개발으로 인한 인구 유출로 유동 인구는 처참한(...) 수준으로 떨어져버리고 상권은 쇠락해진 상황이지만 광주광역시가 발표한 2030 도시계획에는 백운2동, 주월동(주월2동), 봉선동(봉선1동)을 포함한 백운광장 일대가 광주의 부도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있다.

현재 백운교차로를 중심으로 34층의 주월양우내안애와 36층의 백운대라수어썸브릿지, 28층의 봉선주월대라수어썸브릿지, 일반 30층 높이에 달하는 복층 오피스텔인 홀리어스같은 고층 건물들이 공사중에 있으며 남구청 바로 옆에도 36층의 남양휴튼이 착공 준비중이다. 이미 입주한 아파트와 공사중인 곳을 모두 합하면 2천세대가 훨씬 넘어가게 되는데 여기에 대부분 주상복합으로 지어져서 상가 또한 엄청나게 공급될 예정으로 남구의 주요 번화가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추후 옛 보훈병원 부지에 공공청사[6]와 청년주택 500호를 지을 예정으로 백운광장 일대에 거주하는 인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악명 높은 백운고가차도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에 맞춰 철거되었고, 고가도로는 지하차도로 대체되어 2025년경 2호선과 함께 개통될 예정이다. 추후 2호선이 개통되면 백운광장역에서 진월동 효천역으로 이어지는 효천선을 본선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가 될 것이며[7] 도시재생뉴딜사업을 통해 남구의 중심지이자 광주광역시의 부도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5. 주요 시설

5.1. 기관

  • 백운우체국

5.2. 교육

5.2.1. 초등학교

  • 백운초등학교

5.2.2. 중학교

5.2.3. 고등학교

5.3. 주거

아파트
  • 대흥건설 양림스카이아파트 : 1988년 03월 입주
  • 대주건설 백운 대주아파트 : 1989년 12월 입주
  • 벽산엔지니어링 백운 벽산아파트 : 1998년 4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남양건설 광주 백운3단지 LH 휴먼시아 : 2011년 6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동양건설산업 광주 백운1단지 LH 휴먼시아 : 2011년 10월 입주
  • 현대건설 백운 현대아파트 : 1989년 10월 입주
  • SM우방건설 백운 우방아이유쉘 : 2014년 3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백운 : 2016년 9월 준공
  • 중우건설 코아루아팰리스힐 : 2020년 11월 준공
  • 대라종합건설 백운 대라수 어썸브릿지 아파트 : 2023년 7월 준공
  • 새천년종합건설 봉선 백운광장역 천년가 헤리시티 아파트 : 2022년 12월 준공
오피스텔
  • 대라종합건설 백운 대라수 어썸브릿지 오피스텔 : 2023년 7월 준공
  • 새천년종합건설 봉선 백운광장역 천년가 헤리시티 : 2022년 12월 준공

5.4. 도로

6. 교통

6.1. 버스

6.1.1. 급행간선

6.1.2. 간선

6.1.3. 지선


[1]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주광역시 남구 동명 유래 [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3] 백운동 73-3. [A] [5] 백운동 621-9. [6] 확실한 정보는 아니지만 남구청에서는 청사를 이곳으로 이전하고 지금의 화니백화점 건물은 매각, 혹은 임대한다는 소문이 있다. 그 이유는 남구청을 개발하면서 발생한 약 350억원의 리모델링 비용을 투자사인 캠코에 2034년까지 상환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7] 때문에 2호선 전체 역사 중 유일하게 3개의 출입구를 갖췄다. [8] 철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