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1:51:58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백두산 밀영 사령부에서 넘어옴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
파일:북한 국기.svg 량강도 체제선전시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D1C27,#222222><tablebgcolor=#ED1C27,#222222> 파일:북한 국장.svg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白頭山地區 革命戰跡地

Paektusan Revolutionary Battle Sites
}}} ||
파일:백두산 밀영 고향집.jpg
▲ 백두산 밀영 고향집의 모습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다른 이름 백두산 밀영
백두산 밀영 고향집
백두산 밀영 사령부
목적 ✔ 북한 정권 체제정당성 확보
김정일을 비롯한 백두혈통 우상화
상위 조직 혁명사적지도국
주소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밀영동)
1. 개요2. 특징3. 그 밖의 시설물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체제선전시설.

북한 정권이 소련 우수리스크에서 태어난 김정일 백두산 근처 밀영에서 태어난 것처럼 포장하기 위해서 만든 시설물로서, 북한 정권과 해당 주민들에게는 만경대고향집과 마찬가지로 '성지'처럼 떠받들여지고 있다. '백두산 밀영(白頭山 密營)\'으로도 불린다. ' 금수산태양궁전', ' 만경대고향집' 등과 함께 북한의 핵심 시설물에 해당된다.

북한을 방문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는 만경대고향집, 금수산태양궁전, 대성산혁명렬사릉, 애국렬사릉,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과 마찬가지로 방문 시 처벌받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할 곳 중 하나다.[1] 애초에 대다수 한국인들은 김일성, 김정일이 어디서 태어났는지 굳이 알아야 할 이유가 없고[2] 특히 여기는 북한학 전문가나 관련 분야 종사자, 북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존재 자체를 모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특히 더 조심해야 할 곳이다.

북한에 비슷한 성격의 건축물로는 ' 만경대고향집'과 ' 회령고향집'이 있다. 이들은 '백두산 밀영'처럼 날조된 생가가 아닌 진짜 생가 내지는 유년기 집이다.

2. 특징

파일:백두산 밀영과 정일봉.jpg
<rowcolor=white> 백두산 밀영 고향집과 정일봉
파일:국방TV BI.svg 파일:국방TV 페이스북.png
<rowcolor=white> 은둔의 지도자 '김정일'의 밀실 파티?
최악의 독재자 김정일②
(2023년 12월 23일 방송분)

통나무 귀틀집 건축물로서 바로 뒤편에 정일봉이 있다. 집안에 이것저것 그럴 듯하게 가재도구를 가져다놓긴 했는데 김정일에게 권력 승계 과정에서 날조한 것에 불과해서 사료로서의 가치는 전혀 없다.

탈북 황장엽의 증언에 따르면 김일성이 자기 빨치산 동료들에게 백두산 근처에 밀영 터를 찾아오라고 시켰다고 하며 그렇게 찾은 터 뒤편에 있는 봉우리인 장수봉을 손수 김정일의 이름을 따서 ' 정일봉'으로 이름 붙였다고 한다. #

김정일은 1984년 6월에 자기 이름이 소련식 '유라'로 학적부에 등재된 모교를 손수 지시를 내려 폐교 처리했는데 의미심장하게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백두산 밀영'이 북한 기록에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북한은 1986년에 백두산 밀영을 보다 현실감 있게 가장하기 위해 보존 전문가를 모스크바의 레닌박물관에 보내 생나무를 오래된 것처럼 처리하는 방법을 배우게 해 그 기법을 김정일의 '생가'를 날조하는 데 요긴하게 썼고 김정일의 (공식적인) 45세 생일 무렵인 1987년 2월에 이 '생가'를 완공했다.

북한에는 수많은 소위 '혁명사적지'와 '혁명전적지'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만경대고향집과 더불어 으뜸으로 치는 시설물이다.

북한 2000원 지폐 앞면의 도안이다.
파일:남북의 창 로고.png 파일:남북의 썰 로고.png 파일:나이트라인 로고 틀용.png 한반도 포커스
<rowcolor=white> 백두산 밀영
(2022년 2월 25일 공개분)
김정일 출생의 비밀
(2022년 11월 4일 방송분)

2022년 11월 4일 SBS 나이트라인의 '한반도포커스' 코너에서는 김정일의 출생의 비밀에 대해서 다뤘는데 '북한도 김정일이 여기에서 태어났다는 걸 입증할 만한 근거를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근거 없음을 합리화하는 대목만 등장한다는 점'[3]을 지적했다. 기사(SBS) ' 김정일이 생전에 여길 찾았음에도 기념사진 한 장도 찍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했다.[4]

이러한 이유로 인해 모든 북한 주민들에게는 이 날조된 '유적'(?)이 ' 위대한 계승의 만대가 열린 역사의 집'으로 알려졌고 살면서 한 번쯤은 반드시 방문해야 하는 곳처럼 되어 버렸다. 기사(연합뉴스) 기사(뉴스1) 남녀노소 할 거 없이 백두산과 함께 이곳을 들르고 있으며 북한측 보도에서는 높은 확률로 군복 차림을 한 앳된 어린아이들이 여길 방문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김일성 시기부터 북한은 매년[5] 2월 5일부터 2월 20일까지 35세 미만의 모범적이고 건강한 청년일꾼 1만 명을 뽑아 양강도 혜산시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에서 출발해 백두산 밀영까지 행군하게 하는 '백두산 혁명전적지 답사행군'을 실시하고 있다. 기사(자유아시아방송)

북한의 일기예보 등지에서도 지명으로 언급된다.

3. 그 밖의 시설물

북한 정권은 우상화를 위해서 백두산 밀영 이외에도 백두산 장군봉[6] 정일봉-소백산-증암산 사이에 여러 개의 밀영을 세워뒀다.
  • 쌍두봉밀영
  • 무두봉밀영
  • 대각봉밀영
  • 소연지봉밀영
  • 간백산밀영
  • 선오산밀영
  • 곰산밀영
  • 압록강안밀영
  • 사자봉밀영

4. 둘러보기

북한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역사적 사건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 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 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대한민국 국가보안법에 저촉될 위험성도 있다. [2] 만경대고향집은 워낙 유명하다 보니 알고 있을 뿐이다. [3] 정확히는 "위대한 장군님의 탄생은 호적이 아니라 백두산의 잎갈나무들의 구호로만 기록되었고 장군님의 존함과 생년월일은 출생증이 아니라 기억 속에만 새겨지게 됐습니다."이다. 물론 구호나무도 백두산 밀영처럼 모두 날조된 것이다. [4] 물론 북한에서는 이를 '우리 '장군님'께서 오로지 우리 인민들을 위해 사셨다는 증거'로 포장한다. [5] 다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해 2021~2023년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6] 본래 명칭은 '병사봉(兵使峰)'이었다. 병사(兵使)는 본래 마절도(馬節度使)를 뜻하지만 1963년 김정일이 이곳을 들르며 ' 수령님을 만든 산인데 병사(兵士)가 아닌 장군(將軍)이 되어야 한다(?)'고 우겨서 결국 장군봉으로 바뀌었다. 기사(아시아경제) 알았어도 몰랐어도 '무식하다'는 소리를 피하기 어려운 일화다. 북한은 정권 수립 직후부터 한자 교육 폐지와 한글전용을 단행하여 한자 식자층이 거의 없어서 생긴 촌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