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1:39:59

배재민/주요 활동/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배재민/주요 활동
1. 상반기2. 하반기
배재민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상반기

TEKKEN WORLD TOUR 2023 FINALS - 7위
  • 무릎의 통산 다섯번째 TWT FINAL 참가이다. 이것으로 무릎은 철권 7에서 열린 모든 TWT FINAL에 개근했다. 또한 철권 7 버전으로 열리는 마지막 대회이자 마지막 파이널이기도 하다. 최종 랭킹 5위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TWT RANKING 1위가 아닌 성적으로[1] 파이널에 진출했다.[2]
  • 그룹 스테이지는 D조에 배정되었다. 무릎 이외의 선수로는 작년 파이널에 이어 또 다시 치쿠린을 만나게 되었고, 체리베리망고, 티베타노, 다니엘 마도가 배정되었다. 최근 파이널인 19년, 22년 모두 죽음의 조에 배정되던 것[3]과 달리 이번에는 비교적 무난한 조에 배정되었다. 다만 선수들 개개인의 고점이 상당히 높은 것이 불안 요소로 당장 치쿠린만 해도 최근에는 상당히 부진한 폼을 보였지만 참가한 파이널인 2019, 2022년 모두 무릎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 1일차에서는 다니엘 마도, 치쿠린, 티베타노에게 승리했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체리베리망고에게 패배하며 같은 3승 1패이나 승자승 원칙에 의하여 2등 기록, 패자조로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8강 첫 상대는 랑추로 배정되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의 폼은 다니엘 마도를 상대할 때 브라이언으로 날카로운 도발 운영을 보여주며 나쁘지 않았으나, 마지막에 체리베리망고와의 대결에서 폴을 선택한 것이 아쉽게 되었다. 아이러니한 점은 무릎이 부진하던 당시 펭 대신 스티브, 폴, 브라이언 등 원래 잘하던 캐릭터들을 쓰라는 비판이 많았고, 특히 폴은 2018년 무릎이 대회에서 높은 성과를 기록하던 당시 주력 캐릭터였기 때문에 대회에서 가끔 꺼내면서도 중요한 순간 꺼내지 않는 것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 그러나 정작 이번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펭의 폼은 준수했으나 폴로 좋은 성과를 못 내며 그간의 캐릭터 사용에 대한 해명이 되면서 씁쓸함을 남겼다.
  • 2일차 랑추와의 경기 1세트에서는 랑추의 호신주, 하이킥에 가로막히며 그대로 내주었고, 2세트에서도 2라운드를 먼저 내주며 탈락이 가까워진 상황에서 역스윕을 성공해내며 3세트로 승부를 끌고 갔다. 그러나 2라운드에서 레이지 드라이브 벽콤보 이후 단 체력 1을 남겨두고 두번의 짠발이 전부 막히고 딜캐 당하며 흐름을 그대로 내주었고 결국 1대2로 마지막 철권 7 TWT 파이널을 마감하게 되었다.
  • 얄궂게도 무릎이 가장 우승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았던 2018년 그를 저지했던 랑추의 손에 다시 한 번 무너지며, 무릎은 철권 7 시리즈에서 참가한 다섯번의 파이널에서 모두 우승과 더불어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탈락 후 X에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철권7을 하면서 많은 분들의 응원을 받았습니다. 정말 감사드리고 철권8에서 꼭 이루지 못한것을 달성하겠습니다.' 라고 후기를 남겼다. #
  • 올해보다 낮은 성적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을 거두었던 작년조차도 패배의 원인이나, 아티프, 아슬란에 대한 평가 등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었으나, 이번 파이널은 귀국 후 방송에서 별다른 후기가 없었다.

2024 ATL TEKKEN 8 THE FIRST MATCH - 준우승
  • 광동 프릭스와의 이벤트 팀전으로 23전 12선승으로 캐릭터는 랜덤으로 고정되었다.
  • 첫 경기는 울산의 레오vs무릎의 리로이로 패배, 두 번째 경기는 머일의 팬더vs무릎의 스티브로 승리, 세 번째 경기는 체리베리망고의 요시미츠vs무릎의 킹으로 패배, 네 번째 경기는 무릎의 샤오유vs체리베리망고의 클라우디오로 패배, 다섯 번째 경기는 무릎의 리리vs머일의 로우로 승리, 여섯 번째 경기는 무릎의 잭vs울산의 니나로 승리, 일곱 번째 경기는 무릎의 스티브vs체리베리망고의 카즈야로 패배하며 4개의 라이프를 모두 소비. 총 7전 3승 4패를 기록했다. DRX팀은 6:12의 스코어로 준우승을 기록했다.

로하이의 DRX 입단
  • 2월 7일 일명 무로울이라 불리며 국내 최정상급 철권 프로게이머로 꼽히는 로하이가 DRX팀에 입단, 역대급 슈퍼팀이 결성되었다.
  • 과거 로하이가 디시인사이드 격투게임 갤러리에 사과문을 올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자신의 뒷담화를 하고 다녔음을 방송 중 언급하며 서먹한 관계로 알려져 있었는데, 실제로 무릎도 딱히 사과하거나 풀 생각은 없었으나 TWT 파이널 2023 때 인페스티드가 로하이에게 '무릎형과 게임이라도 하고 가는 것이 어떻겠느냐' 라고 제안한 걸 계기로 자리가 마련되었고, 먼저 "풀 것이 있지 않냐?"고 운을 띄워 많은 대화를 나눈 끝에 정식으로 사과를 받음과 동시에 그간 이런저런 논란과 관계된 분들에게 사과를 하고 ATL 참가 제한 조치를 푸는 걸 조건으로 입단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Tekken 8 Showdown Impact - 승리
  • 2월 10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MEFCC의 행사인 아슬란과의 철권 8 10선 이벤트에 초청 받았다.
  • 해당 경기는 스트리밍 되지 않았기에[4] 마지막 라운드의 직관 영상에서 무릎이 10:9로 승리했음이 밝혀졌다. ##
  • 경기 경과 및 결과 정리
    {{{#!folding 【펼치기 • 접기 】
선수 세트 정리 스코어 결과
Knee -[브] - O - - O - - O - O[드] O - O O - O O O 10
Arslan O[빅] O - O O - O O - O - -[준] O - - O[빅] - - - 9
}}}
  • 경기 후 인터뷰에서 아슬란의 빅터는 기존 한국 빅터들하고 달랐기에 고전했으나, 장기전으로 가면서 아슬란을 다운로드하면서 이길 수 있다는 말과 준은 대전 경험이 많아서 비교적 상대하기 쉬웠다 라는 말을 남겼다.
  • 최근 철권 배구 대회 등 이벤트 방송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아슬란의 승리를 예상했으나, 예상을 깨고 10:9로 접전 끝에 승리했다. 특히 새롭게 정립된 8편의 시스템에 무릎이 어떤 방식으로 적응할지 많은 우려와 예상이 있었는데, 전작의 최강자인 아슬란을 제압하며 완벽하게 적응했음을 보여주어 기대감을 높였다.
  • 귀국 후 후기 방송에서 쇼케이스이고 10선승으로 오래 해야 하는 경기인 만큼 아슬란에게 캐릭터별로 2선승을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으나, 아슬란이 여러 캐릭터를 할 줄 앎에도 불구하고 8에서 할 수 있는 캐릭터가 별로 없다고 거부했다고 한다. 아수세나를 꺼낼 것으로 예상했으나 남캐릭터인 빅터를 꺼낸 것을 예상치 못했는데, 연구를 거의 진행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스코어를 크게 잃었고, 본래 계획은 브라이언을 하다가 데빌 진, 드라구노프를 할 생각이었으나 3:7까지 스코어가 밀리니 그나마 많이 해본 드라구노프를 꺼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과거 아슬란이 연깎을 보고 막는 가드력으로 유명했으나 이번 경기에서는 연깎과 드체트를 많이 허용했기 때문에 7만큼의 가드는 안 나오네? 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빅터에 대한 준비를 거의 하지 못했으나 오히려 10선이라는 단기적인 경기에서 캐릭터에 대한 파악을 완벽하게 마친 다운로드를 해냈다는 점에서 무릎 특유의 독보적인 파해 능력이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 덧붙여 현재 파키스탄의 메타 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남겼는데, 아슬란은 아수세나를 초기이기 때문에 고평가 받을 뿐 3개월 정도 지나면 중간 캐릭터 정도로 티어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생각만큼 고평가하지 않으며, 현재 파키스탄에서는 빅터와 펭이 가장 인기가 많고 빅터>펭 순서라고 한다. 또한 준이 top3에 드는 캐릭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는데, 자기가 준이 사기라고 하면 안 믿으면서 왜 아슬란이 사기라고 하면 사람들이 음 하는거냐는 웃픈 말을 남기기도 했다.

2024 ATL 팀배틀 릴리즈
  • 기존 DRX에서 로하이가 입단하며 로하이, 인페스티드와 함께 팀으로 참가했다. DRX로 팀을 옮긴 이후 최초로 샤넬이 포함되지 않은 로스터다.[10]
  • 연신내리턴즈, 주캐없찐, 약캐조합 팀에게 승리하고 OVK 팀과의 대결에서 Suou에게 2점을 먼저 내주었고, 로하이가 Suou에게 승리하나 EDGE에게 패배하며 1:3으로 패배, 4강 진출을 놓고 광동 프릭스에게 무릎이 드라구노프로 울산, CBM을 잡아내며 2점을 선점했으나 머일에게 역스윕을 당하며 2:3으로 패배, TOP4 진출에 실패했다.
  • 무릎과 로하이라는 팀원의 이름값만으로도 TOP4 진출이 유력하다는 예상이 많았지만 TOP4에 진출하지 못한 채 탈락하며 DRX팀의 첫 철권8 대회 시작을 아쉽게 끊었다. 아수세나라는 현 탑티어 캐릭터를 들고 무색무취한 모습을 보인 인페스티드, 중요한 순간 현재 철권 8에서 독으로 평가받는 7식 플레이로 회귀해버린 로하이와 달리 그나마 무릎은 드라구노프를 주캐릭터로 유지하며 그간의 이미지와 달리 공격적인 스타일을 선보이며 약캐조합 팀을 올킬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긍정적인 점.

2024 ATL OPEN 토너먼트 - 5위
  • 1일차에서는 D조 승자조에서 MEXI에게 승리하고 JDCR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DNBD, 킴오제, bamboo, BPLUS에게 승리하고 멍구리에게 승리하여 8강 진출에 성공했다.
  • 2일차에서는 울산에게 승리하고 로하이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물골드에게 패배하며 5위를 기록했다.
  • JDCR과의 경기에서는 드라구노프를 상대로 아수세나를 픽했는데, 전날 물골드와의 다전제 매치를 통해 방송에서 '드라구노프로는 아수세나를 절대 못 이기겠다' 라고 티어 정리를 했던 것이 이유로 보인다. 다만 결과적으로는 JDCR에게 패배하며 이후 경기부터는 미러전이더라도 드라구노프를 유지했다.

2024 ATL S1 DAY 1
  • 승자조에서 EDGE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세뉴에게 승리하고 꼬꼬마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 승자조에서는 펭을 사용했고, 패자조 꼬꼬마의 펭을 상대로 브라이언을 꺼냈으나 콤보 드랍 등 실수를 많이 노출하며 0:2로 패배했다.
  • 꼬꼬마의 이름을 대진표에서 확인하고 '대진표에 내가 본 닉네임이 맞나? 아프리카에서 왜 받아줬을까? 얼탱이가 없네.' 라고 상당히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11]
  • 탈락 후 대회를 관전하며 밸런스나 컨디션에 대한 여러 소회를 남겼다. 울산의 아주세나에 대하여 '울산이 잘 하는 것도 맞지만, 캐릭이 중요하다. 아주세나빨이 없다고 할 수가 없다. 레이나를 했으면 이 정도는 아니다.' 라고 평가함과 동시에, '1월부터 아수세나가 너무 많아 대회가 똑같다. 스타 대회를 하는데 종족이 전부 테란이면 볼거냐. 어차피 대회하면 아주세나가 다 우승하는데 대회를 뭐하러 보겠냐.' 라고 리로이 이후 오랜만에 특정 캐릭터에 대한 강경한 비판을 남겼다. '꼬우면 너도 하지 그러냐' 라는 지적에 대해 논리가 없는 말이라고 일축함과 동시에, 자신의 경우는 아주세나를 파다가 돌아온 것이 문제라 생각한다고 했다.
  • 컨디션에 대해서는 20,30대일 때는 괜찮았으나 40 넘으니 몸이 안 따라오며, 방송하는 사람이라 제대로 숙면하기가 어려웠다고 밝혔다. 다만 방송 말미에서 스스로 너무 게임 탓만 하는 것 같으며 탓만 하지는 않겠다는 다짐을 남겼다.

2024 ATL S1 DAY 2
  • 승자조에서 아아잡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PCP납도장인, 크로스번트에게 승리하고 샤넬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 리리를 꺼내며 캐릭터폭에 변수를 주는 모습을 보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탈락 후 버튼 이슈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2024 ATL S1 DAY 3
  • 승자조에서 RTX|HIGHLOW, JunoCho_E, 꼬꼬마에게 승리하고 울산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정의아재에게 승리, 물골드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 DAY 1에서 패배했던 꼬꼬마에게 복수를 성사시키는 모습을 보였고 리리의 폼도 지난주에 비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또 다시 TOP8 진출에 실패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2024 시즌은 2022 시즌 이후로 다시 DAY6까지 연장되었는데, 현 시점에서는 '약속의 DAY3'이라고 불렸던 후반부의 기량 상승을 절실히 노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 탈락 후 대회를 관전하며 철권 8에 대한 비판을 다시 남겼다. 잡기의 호밍화, 맵 기믹에 대하여 거센 비판을 했으며, 철권 6, 태그 2, 7은 져도 재밌었지만 8은 그렇지 않고 이게 진짜 재미있는지도 모르겠다고 평가했다. 당시 철권 8의 격변에 대한 비난 여론 자체는 적지 않은 편이었지만 이때 지나칠 정도로 감정이 격해져 다른 격투 게임까지 끌여들이며 해당 격투 게임을 억지 비난하는 추태를 보이고 말았다. 이로 인해 유튜브 무릎 채널을 제외한 여러 커뮤니티에서 무릎에 대한 비판 여론이 크게 일었으며 무릎 본인은 현재까지도 사과나 반성의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다소 감정이 정돈된 후 '지금은 내가 이렇게 이야기해봐야 패자의 변명처럼 들릴테니까, 이 게임을 욕하기 위해 성적을 내겠다' 라는 다짐을 남겼다.

EVO Japan 2024 - 25위
  • 1일차에서는 Headless, Durag Activity, Bakkya에게 승리하여 Round 2 진출에 성공했다. 방송 중계된 경기는 Bakkya와의 Round 2 진출전으로 캐릭터는 펭을 사용했다.
  • 2일차에서는 Monja, ser에게 승리하여 Round 3 진출에 성공했으나 치쿠린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AK에게 승리하고 야가미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
  • 이번 에보 재팬은 무릎 스스로가 자신의 기억에서 없는 대회라고 직접 이야기할 정도로 역대 커리어에서 가장 낮은 성적을 거두었다. 무릎 본인이 최상위권으로 평가한 두 명의 캐릭터 중 하나인 드라그노프로는 치쿠린을 상대로 콤보 드랍을 자주 보였고, 끝낼 수 있는 상황에서 백대시를 치다가 라운드를 내주는 등 그간 ATL에서 보여온 시스템에 대한 적응, 실속 없는 캐릭터풀 문제가 복합적으로 터지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인게임 외적인 부분으로도 에보 재팬 직전 있었던 DAY3에서의 타 게임 비방 논란으로 인해 무릎의 성과에 대해 시선이 주목된 상황이었고, 다른 DRX 팀원들, 특히 로하이를 제외하면 그간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샤넬, 인페스티드가 TOP6 안에 드는 호성적을 거두어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 것과 강경한 비판을 남겼던 아주세나가 아무런 힘을 못 쓰면서 이때의 발언도 부정적인 방향으로 재평가를 받았다.

2024 ATL S1 DAY 4 - 7위
  • 승자조에서 BeMe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폴탄, Persona, 아이뮤지션, PCP납도장인, R.C.L에게 승리해서 TOP8에 진출, 샤넬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
  • 비록 여전히 시즌 파이널 진출까지는 갈길이 먼 상황이지만, 며칠 전 에보 재팬에서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것을 감안하면 준비하던 드라그노프, 펭 뿐만 아니라 요시미츠에 대한 저격픽으로 빅터를 준비해오는등 새로운 캐릭터풀을 보여주었고 ATL 시즌 1 중 처음으로 TOP8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남은 DAY5,6에서 유종의 미를 어떻게 거두느냐가 중요한 관건으로 보인다.
  • 한편 샤넬이 본인 방송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이번 ATL 팀 배틀 DRX 출전자 3인은 최근 성적이 가장 좋은 사람이 들어가는 쪽으로 내부 합의가 있었다고 한다. 즉, 5월에 있을 공식 대회에서 상위권 성적을 거두지 못하면 무릎은 프로게임단 입단 커리어 최초로 프로팀 타이틀을 달지 않고 외부 인원 2인을 섭외해 참가할지도 모르는 것이다. 그와 더불어 샤넬은 '프로면 하루 종일 게임을 해야 한다. 나는 본업(무속인)이 따로 있으니까 그렇게 게임을 못해. 근데 프로가 본업이면 저는 진짜 하루 종일 게임만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나는 무릎형 와우나[12] 배구 하는 것도 마음에 안 들어. 철권 프로가 다른 게임 할 시간이 어딨어? 철권할 시간도 없는데.' 라고 단순히 배구 대회 등의 이벤트 이외에도 무릎의 연습량이 최근 상당히 줄은 상태라는 발언을 남겼다.

2024 ATL S1 DAY 5
  • 승자조에서 twitsh_dangjoo, 로하이, 물골드, 초화랑에게 승리하고 JDCR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정의아재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마지막 남은 두번의 DAY 토너먼트 중 한번을 TOP8에 들지 못한 채 탈락하며, 여기에 로하이가 DAY5를 우승하며 DAY6에서 우승을 기록하지 못하면 커리어 최초로 LCQ에 가게 된다.
  • 여전히 주력 캐릭터풀에 대하여 명확하게 정리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는데, 승자조에서 펭, 드라구노프를 사용하다가 패자조 초화랑과의 경기에서는 빅터를, 정의아재와의 경기에서는 리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리리에 대해서는 리리의 평가가 오르게 된 이유이자, 에보 재팬에서 자신을 이겼던 치쿠린이 연구하여 알려지게 되었던 래빗 자세 중심의 심리를 거의 활용하지 않으며 리리의 강점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만을 남겼다. 전작에서도 최근 대회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는 캐릭터[13]에 대해 그 캐릭터의 강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활용하는 것이 아닌, 그냥 성과가 나오니까 써본다는 느낌으로 자신의 기본 스타일에 맞추어 강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던 모습을 연상시킨다.
  • 긍정적인 부분이라면 확실히 폼이 올라온다는 것이 느껴지고 있다는 점, 일단 무릎은 시스템의 적응 문제, 캐릭터풀 문제에 대해 시청자의 별풍선 후원에 '6월쯤에는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라고 답했고, 방송을 종료하며 곧 있을 BAAZ GAUNTLET에 대해 파키스탄에서 주캐릭터에 대해 배워오겠다는 말을 남겼다.

BAAZ Gauntlet Kickoff - PAKISTAN VS THE WORLD
  • Baaz Gauntlet 대회의 개막 전 이벤트 팀전에서 로하이, 유우유우, K-Wiss, Joka와 함께 인터네셔널 팀으로 배정됐다. 1페이즈에서는 더 존에게 승리, 2페이즈에서는 데빌스터, 파젠을 잡으며 전승을 기록했다.
  • 그간 지적받아온 문제점들을 완벽히 피드백한것같은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파키스탄 선수들에게 압승을 거뒀다. 특히 시그니처 캐릭터인 브라이언으로 3승 전승을 거두며 상향을 기점으로 확실히 대회에서 사용함에 있어 자신감이 붙은 듯 훨씬 유연한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승리 후 '파키스탄 선수들 모두 강하지만, 아슬란 애쉬, 아티프 버트, 칸 같은 퍼스트 멤버, 스트롱 멤버를 만나고 싶다' 라는 포부를 보였다.

BAAZ Gauntlet - 스위스 스테이지 탈락
  • 스위스 스테이지 페이즈 1에서 Moshin Shooter에게 2:3으로 패배, 페이즈 2에서 유우유우에게 3:1로 승리, 페이즈 3에서 파젠에게 2:3으로 패배, 페이즈 4에서 JoKa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 페이즈 3까지는 펭 웨이, 브라이언 퓨리를 사용했는데, 펭 웨이로 모든 세트에서 패배함에도 계속 선픽으로라도 꺼내는 우틀않을 선보인 반면, 브라이언으로는 그나마 파젠에게 5꽉까지 가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마저도 시그니처 캐릭터임에도 14 딜캐를 단 한 차례도 성공하지 못하거나, 빅터의 각종 딜캐, 축틀림 콤보를 실패하는 등 잦은 실수를 보였고, 5세트에서는 압박에 굳어 백대쉬 상황에서 실수로 스웨이를 치면서 버벅이다 가불기를 허용하는 굴욕적인 장면을 만들고 말았다. 파젠에게 영향을 받은 것인지 JOKA와의 경기에서는 빅터 슈발리에를 사용했으나, 픽의 의미를 보여주지 못한 채 매치 포인트를 만들었다.
  • 다행히도 이후 파키스탄 선수들과의 프리 게임에서는 전반적인 게임 운영이 훨씬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개철찌가 되어서 돌아오겠다' 라는 본인의 다짐에 걸맞게 최근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던 부족한 연습량에 대한 지적을 파키스탄 선수들과의 끝없는 대결로써 채워나가며 드디어 팬들이 원하던, 끝없는 노력가로써의 무릎의 모습을 되찾았다는 평.

2024 ATL S1 DAY 6 - 4위
  • 승자조에서 Okimane에게 승리(부전승), 로하이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Daaz, 강율, 머일, 연아랑, 리삼, 엣지, 폴탄에게 승리하고 아이뮤지션에게 패배해 4위를 기록했다.
  • ATL S1 최초로 4강 진입에 성공하며, 파키스탄에서 답을 찾아오겠다는 약속을 어느 정도 지키는데 성공했는데, 그 중심에는 시그니처 캐릭터인 브라이언이 있었다. 리삼과의 경기에서는 인피니티킥을 횡신 제트어퍼로 캐치하여 그대로 역전을 이루어냈고, 엣지와의 경기에서는 쉴새없는 도발 압박을 보여주며 브라이언이 현재 무릎의 주요한 문제점으로 뽑히는 시스템의 적응과 주캐릭터에 대한 고민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해답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펭/브라이언 2캐릭터 체제로 잘 하다가 또 빅터를 아이뮤지션을 상대로 사용했으나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 팬들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지적하던 확고한 주캐릭터의 부재 문제를 타파한 것은 로하이의 조언이 컸다고 한다. 방송 도중 로하이가 밝힌 바에 의하면 '무릎형에게 나중에 캐릭터를 늘려도 되니, 철권 8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한 캐릭터만 하고 익숙해지고 나서 다른 캐릭터를 늘려도 될 것 같다'고 조언했고, 무릎 또한 동의했다고 한다. 여기에 '무릎형에게 내가 말 안하면 누가 하겠냐. 같은 팀인데' 라는 말을 더하며 로하이의 영입이 여러 부분에서 drx에게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었다는 평이 많다.
  • 과거 X에서 발언했던 '철권 8이 재미없다'는 발언에 대해서 다시 언급했는데, 파키스탄에서 오프라인으로 했던 게임은 재미있었고, 온라인은 2선만 하고 끝나기에 재미가 없었던 것 같다고 데스 매치 시스템의 삭제를 매우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 DAY6에서 포인트 랭킹 7위 이내에 들지 못하며, ATL 커리어 최초로 LCQ로 향하게 되었다. 문제는 ATL S1 FINAL과 무릎이 참가하기로 예정된 콤보 브레이커는 일정이 겹치기 때문에 LCQ를 돌파하더라도 참가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는데, 무릎은 대회 감각을 끌어올리기 위해 결과와 상관없이 LCQ에 참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LCQ 바로 전 날에도 나가겠다는 뜻을 유지했으나, 22일 LCQ 시작 직전 인페스티드의 방송국에 무릎과 인페스티드는 LCQ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방송을 통해 인페스티드가 미국에 도착하고 바로 다음날이 대회이기 때문에 대회 감각을 살리는게 나을 것 같아 본래 LCQ에 참가할 계획이었으나, 안 하는 것이 맞다 생각하여 불참하게 되었다고 해명했다.

TWT Osaka ZERO DOJO#1 - 3위
  • 승자조에서 와타나베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소우, 타케루, 요스링, 유우카, 로하이, 핀야, 하루. 구피몽, 치쿠린에게 승리, 패자조 결승에서 랑추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 지난 ATL에 이어 브라이언으로 날카로운 모습을 보여주며 에보 재팬에서 0:2 패배를 당했던 치쿠린에게 단 하나의 라운드만 허용할 정도로 통쾌한 복수에 성공했다. 같은 팀원인 샤넬이 '무태식이 돌아왔구나', 로하이는 '파키스탄에서 데려왔다' 라고 극찬할 정도였는데, 직후 랑추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며 결과적으로 부두술이 되었다.

Combo Breaker 2024 - 5위
  • 승자조에서 AtomicRedd,Latino_link,Lowflow,TeamTakka,티베타노,쿼들코어, Dr.TheJAKEMAN, M.D에게 승리하여 TOP8에 진출, 파진에게 패배하고 패자조에서 아슬란 애쉬에게 패배하며 5위를 기록했다.
  • 직전 도조 대회에 이어 마스터 티어 대회에서 TOP8에 드는 성과를 기록했고, 캐릭터풀을 브라이언을 고정한 기점으로 점점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늘어가며 전반적인 폼이 확실히 우상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펭, 빅터 등 의문이 드는 픽들을 계속 고수하던 우틀않을 버리고 브라이언 1체제를 유지한 것도 긍정적인 부분.
  • 다만 파키스탄 선수들과의 경기에서 전체적으로 무색무취한 모습을 보였는데, 파진에게는 라운드 하나, 더 나아가 체력을 절반조차 깎지 못한 채 압패했고, 아슬란에게도 의미있는 장면을 만들진 못했다. 브라이언을 주캐릭터로 굳힌 후 저점은 높아졌으나, 상위권 선수들에게 다소 무기력하게 패배하는 양상이 반복되고 있어 그러한 부분에 대한 과제를 남긴 대회였다.
  • 일주일 뒤에는 Esports World Cup 2024 출전권이 걸린 DreamHack Dallas 2024가 열리게 되는데 무려 출전권이 8장이 걸려있어서 출전권을 받기에도 수월하고 같은 미국 대회이기도 하여 무릎은 같은 팀원인 인페스티드와 함께 참가할 예정이다. 반면 또다른 DRX 팀원들인 샤넬과 로하이는 호주에 열릴 BAM 14를 참가할 예정으로, 콤보 브레이커를 기점으로 DRX는 사우디 진출에 성공한 샤넬, 로하이, 진출에 실패한 무릎, 인페 2인조로 분산되어 각자 다른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14]

DreamHack Dallas 2024 - 9위
  • 승자조에서 KBDToSafety, Dragonslayer, Victeemo, Raef에게 승리하고 랑추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엣지, Shadow 20z에게 승리했으나 출전권을 놓고 붙은 AK와의 대결에서 1:2로 패배해 탈락, Esports World Cup 2024 출전권 획득에 실패했다. 같이 출전한 인페스티드도 TOP 24 진출에 실패해 출전권을 따내지 못하며, DRX의 TWT 전략은 절반의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15]
  • 마지막 AK 경기에서 선취점을 획득할 정도로 유리한 고지를 점했으나 2세트를 시작으로 콤보 미스와 더불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상대의 공격을 받아내려는 기존의 플레이스타일로 회귀하면서 AK에게 패배했다. 경기를 중계하던 나락호프는 '무릎이 너무 쫄았다'라고 말하며 안타까워하는 반응을 보였다.
  • 사우디 대회의 진출권 확보의 가장 큰 기회를 놓친 시점에서 남은 진출권이 걸린 대회는 ATL 슈퍼 토너먼트, 드림핵 써머, CEO, MIXUP이다. 가장 상책은 직후 열리는 대회인 ATL 슈퍼 토너먼트에서 결승 진출, 혹은 양도로 티켓을 받는 것으로 BAM 2024의 사례처럼 결승 진출자가 전원 사우디 출전권 확보자일 경우 3,4등에게 티켓이 양도되기 때문에 ATL S1 DAY6부터서 3~5위 부근의 성적을 여러 차례 기록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2024 ATL Super Tournament Summer - 9위
  • 승자조에서 DNBD, XOVER, 멀티, THE JON에게 승리해 16강에 진출, 로하이에게 패배하고 패자조에서 체리베리망고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 로하이와의 경기에서는 펭을 사용했는데, 그간 미묘한 시스템 이해도로 패귀픽으로 평가받아왔지만 그간 무릎의 주요한 단점으로 뽑히던 지나친 하단 비선호를 어느 정도 커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콤보, 세부적인 디테일에서 실수를 보이며 결과적으로 패배했고, 체리베리망고와의 경기에서는 브라이언으로 1라운드에 공격적인 하체트 압박을 보여줬지만 다음 라운드부터 평소의 스타일로 회귀했고 이외에도 도젯, 콤보 미스를 자주 보이며 결국 패배했다.
  • 이번 대회가 굉장히 아까운 것은 체리베리망고와의 경기 이전으로 Top 8 진출자 7명 중 무려 5명이[16] Esports World Cup 2024 출전권을 이미 확보했기 때문에 체리베리망고에게 승리해 Top 8에 진출하고 전띵, The Jon 두명 중에 한 명만이라도 제치며 순위권 경쟁 우위를 점하면 Esports World Cup 2024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패배하여 기회를 놓쳤다. 결국 스웨덴 옌셰핑에서 개최되는 드림핵 서머가 사실상 마지막으로 진출권을 획득할 가장 큰 기회가 되었다. 물론 이번 대회도 결승 진출이 자격이라 하더라도 TOP 8 비중을 진출권 확보자들이 독점하고 있는 양상이다보니, 이러한 흐름이 유지된다면 허들이 계속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진출 자체는 어찌어찌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DreamHack Summer 2024 - 9위
  • TWT DOJO 96+[17] 등급의 대회이나 실질적인 목적은 DreamHack Dallas와 마찬가지로 TOP 8에 진출만 해도 Esports World Cup 2024 진출권이 주어지는 대회로, 이번 대회에서도 진출권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TWT 내에서는 마스터 대회로 많은 수의 참가자가 몰리는 CEO, The Mixup만이 남는다.
  • TOP 32 승자조에서 가장 큰 난적으로 우려되던 랑추를 2:0으로 승리했으나, Raef에게 2:1로 패배, 체리베리망고에게 2:1로 패배하면서 9위로 마무리 지었다. 다만 TOP8에 진출권을 확보한 울산, 물골드, 랑추, 세피블랙이 진출하며 Esports World Cup 2024의 진출권을 획득했다.
  • 그간 펭은 아픈 손가락으로 불리고 있는데다 하향까지 받았고, 브라이언은 상위권 경기에서 무력한 모습을 보였던 반면 패치 후 대회 직전까지 폴을 열심히 연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폴을 사용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방송 중계 모든 경기에서 펭을 사용했으며 샤넬에 의하면 랑추와의 경기에서도 펭을 사용했다고 한다. 조카, 꼬꼬마 등 기존 펭을 사용하던 선수들도 캐릭터를 유지했던 것을 보면 하향과는 별개로 티어 자체는 여전히 높게 평가받는 것으로 보인다. Raef와 체리베리망고와의 경기에서 1세트에서는 공격적인 게임 흐름을 완벽하게 선보이며 압승을 거두었으나[18], 뒷심에서 밀리며 2,3세트에서 결국 다시 소극적인 모습으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였다.
  • 6월 22일 2024 진주 J-ARENA e스포츠 페스티벌에서 연승전 이벤트로 출연하며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Only The Best의 불참이 확정되었고, 29일 CEO에도 참가 신청을 하지 않으며 상반기 활동은 종료되었다.

상반기 총평
  • 상당히 다사다난했다. 국내 리그인 ATL에서는 2023 S3에 이어 커리어에서 두 번째로 DAY 토너먼트 무관을 기록했으며, 커리어 최초로 시즌 파이널 진출권에 드는 것에도 실패했다. 국제 대회인 TWT에서도 TWT OSAKA DOJO, 콤보 브레이커를 제외하면 TOP8 직전 문턱에서 미끄러지며 아오, NOEL과 동일한 520점으로 TWT FINAL의 커트라인인 공동 19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이라면 하반기에 있을 가장 큰 이벤트인 Esports World Cup 2024의 진출권을 따내는 것에 성공하며 소정의 목적은 이루었다.
  • 결국 철권 7 하반기에서 보였던 부진한 모습을 쇄신하지 못하고 이어가고 있다. 아예 방향성조차 잡지 못했던 BAAZ GAUNTLET 이후 주캐릭터에 대해 펭/브라이언으로 깔끔하게 정리했고, 공격적인 게임 흐름도 조금씩 늘리는 모습을 보이며 폼이 확실히 올라오고는 있으나, 그것이 눈에 띄는 성과로는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 일각에서는 더 이상 에이징 커브로 인한 기량 저하를 숨길 수 없는 상태가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최근 TWT의 상위권은 울산, 물골드로 대표되는 소위 '젊은 피' 선수들이 독점하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는 반면, 무릎의 나이는 1985년 생으로 e스포츠 전체를 통틀어도 상당한 고령이다. 그러나 현재 유일한 마스터+ 티어의 대회인 에보 재팬의 우승자인 치쿠린이 무릎과 4살 차이밖에 나지 않으며, 상반기 기준 TWT 랭킹 1위를 달리는 선수는 나이가 단 두 살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샤넬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에이징 커브 하나 때문에 부진한 상태가 이어진다고 결론짓기는 어렵다.
  • 정리하자면 지금까지 무릎은 항상 최상위권 게이머로써 도전을 받는 위치에 있었으나, 2023년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항상 결승권에 진출하던 최상위권 게이머의 위상을 잃고 결승권에서 꽤 멀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금의 무릎은 새로운 시스템에 적응하고, 새롭게 등장하여 두각을 보이는 선수들 사이에서 스스로를 증명하는 도전자의 위치에 놓였다고 볼 수 있다.

2. 하반기

The MIXUP 2024
  • 샤넬이 개인 방송을 통해 믹스업 이후 바로 로하이와 함께 EVO로 출국한다고 밝혔다.

EVO 2024

[1] 2018년 1위, 2019년 1위, 2022년 리저널 파이널 우승으로 지역 1위 [2] 공교롭게도 TWT 2017 FINAL에서 무릎의 지역 진출 순위도 5위였다. EVO 우승으로 파이널을 확정지은 JDCR을 제외하고 세인트, 쿠단스, 노로마, 노비가 파이널을 확정된 상황에서 기적적인 경우의 수가 터지면서 마지막 한자리를 차지한 상황이었다. [3] 19년은 아슬란 애쉬, 울산, 22년은 아슬란 애쉬, 디펜딩 챔피언 치쿠린이 속했다. [4] 영국 해설 Spag에 따르면 공개되지 않은 몇 가지 이유로 인해 스트리밍이 불가능했다고 한다. # [브] 브라이언 [드] 드라구노프 [빅] 빅터 [준] [빅] 빅터 [10] 샤넬은 소담, 아이뮤지션과 팀으로 참가했다. [11] 이 발언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인데, 둘 간에 쌓인 감정과 악연이 많아 날 선 발언을 한 건 이해하지만, 대회 출전 요건을 갖추고 합법적으로 출전 + ATL 담당 PD가 대회에 나와 달라고 정식으로 요청에 응한 것이라 꼬꼬마가 잘못한 건 없는 상황이기 때문. [12] 2024년 4월부터 약탈폭풍이나 4시즌 같은 굵직한 패치를 했는데 여기에 관심이 생겨 와우를 좀 한 것으로 추정된다. [13] JOKA, HK Jr.의 미시마 헤이하치, 갈공이의 카타리나 아우베스 [14] ATL LCQ~S1 파이널/콤보 브레이커, 드림핵 댈러스/BAM 14. 비슷하게 4인으로 구성된 광동 프릭스도 이러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 [15] 사우디 진출권을 확보한 샤넬, 로하이는 마스터 티어 대회를 우승/준우승함으로써 큰 점수를 버는데 성공했으나, 사우디 진출권이 없는 무릎, 인페스티드가 사우디 대회의 출전권을 확보하는데 실패했다. [16] 로하이, 울산, 샤넬, 랑추, 물골드 [17] 총 155명 참가 [18] 특히 체리베리망고와의 1세트에서는 운수 자세의 패링까지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혼자 공격하고 상대 공격은 패링으로 받아치는 일방적인 운영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