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9:45

타워(게임 용어)

방어 건물에서 넘어옴
파일:johnny-automatic-fire-tower.png
일반적인 타워의 이미지
출처

1. 개요2. 명칭3. 특징4. 장르별5. 목록6. 기타

[clearfix]

1. 개요

게임에서 ' 타워'(tower)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문서. 게임에서는 다른 것을 공격할 수 있는 건물을 대체로 타워라고 부른다.

2. 명칭

영어 'tower'의 실제 용례를 따왔다. '방어탑', ' 방어 건물', ' 포탑' 등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본래 한자문화권에서는 이런 류의 건물을 망루라고 불렀으나, 오늘날 게임에서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임진록 같은 역사 게임이 아니고서는 타워를 망루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근래에는 타워를 ''이라고 번역하지만, 근대 이전까지는 불탑이 아닌 군사용 망루를 '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드물었다.

3. 특징

원 의미에 걸맞게 지면보다 높이가 높은 모양이지만, 꼭 그런건 아니다. 그나마 '건물'이라는 속성은 계속 유지되어서, 일단 '타워'라고 불리는 것들은 움직일 수 없다. 워크래프트 3 에인션트 프로텍터 스타크래프트 2 가시 촉수, 포자 촉수처럼 간혹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있기는 하다. 그럴 때도 이동성이 매우 느리며, 대부분은 이동 중에 본래의 공격 능력을 상실한다.

움직일 수 없기에 공격 기능은 역사적 타워와 마찬가지로 원거리 공격이다. 드물게 근거리 공격을 하는 타워도 있으며, 아예 공격력은 없이 느리게 한다거나 멈추게 한다거나 등 디버프를 거는 특수 타워들도 존재한다. 그래도 적에게 디버프를 줘야 타워로 부르지,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보호막 충전소처럼 아군에게 버프를 주는 건물은 보통 타워라고 부르지 않는다.

일부 타워 중에서는 유닛이 들어갈 수도 있다. 아예 유닛이 들어가야 공격 능력을 갖추기도 하고, 그런 경우 들어간 유닛에 따라 공격 방식이 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레드얼럿 시리즈의 민간 건물은 이러한 식으로 실제의 시가전을 구현한 예이다.

타워 건물은 대체로 목적이 타워 기능만을 전담하고 있으나 특정한 경우 일반 건물을 공격용으로 개조할 수 있다. ( 스타크래프트 2 - 행성요새 등)

RTS에서 유닛들은 인구 수라는 제한이 걸려있는 경우가 많으나 타워는 대개 그런 제한이 없어서[1] 땅만 넓으면 무한정 지을 수 있다. 그래서 게임 초심자는 유닛을 뽑기보다 타워를 잔뜩 지어 방어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초보 탈출 공략집에는 "타워를 짓기보다 가급적 유닛을 뽑아 공격-방어를 능수능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플레이를 하도록 하자" 식의 지침이 있는 게임들이 많다. 후술하듯 대다수 게임이 타워 위주의 게임을 회피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건물의 소모 자원인 전력 개념이 존재하는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서는 대다수 타워가 전력을 소모한다. 대개 전력이 필요 없는 약한 타워 / 전력을 쓰는 강한 타워 식으로 구성되어있다.[2] 그리고 전력이 부족하면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타워가 잔뜩 지어져 있을 때 발전소를 테러해 작동을 정지시키고 뚫는 방법도 있다.

대개 방어용으로 쓰기에 '방어탑', '방어 건물' 식으로 부르지만 유별나게 공격용으로 쓰는 것을 타워 러시라고 한다.

4. 장르별

게임 장르 중에서는 아예 타워만 지을 수 있으면서 적을 막는 타워 디펜스 장르도 있다. 앞서 말했듯 타워는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컨트롤 요소는 딱히 개입할 여지가 없고,[3] 또한 같은 이유로 그때그때 적을 따라가서 공격할 수가 없으니 미리미리 계획적으로 잘 지어두는 것이 중요하다. 타워 디펜스 장르에서는 적이 지나가는 경로가 정해져 있으니 근거리 공격을 하는 타워가 간혹 등장하기도 한다. 타워 디펜스는 그 자체가 장르로 굳어졌기에 본래 타워의 이미지로부터 더욱 더 벗어난다. 가령 타워 디펜스 게임 중 하나인 식물 vs 좀비에서 타워 역할을 하는 식물은 게임 개념으로서의 타워인 것은 맞지만, 현실 타워랑은 상당히 다르다.

RTS는 기본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 즉 유닛이 중심이 되는 것을 추구하기에 게임 개발자들은 타워가 게임의 중심이 되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타워만 지으면서 철벽 방어를 하는 전략을 우주방어라고 부르는데, 타워 디펜스도 아니고 RTS가 그런 식으로 진행되면 게이머들은 보통 지루해한다.[4] 그렇다고 타워의 성능을 너무 낮추면 움직이지도 못하면서 약한 걸 아무도 짓지 않아 존재 가치를 상실할 테니 조절하기 상당히 어렵다. 이에 따라 게임마다 타워의 능력은 천차만별이다. 스타크래프트 같은 경우 발매 초엔 타워가 너무 약해서[5] 아무도 짓지 않아 점차 상향을 받았고, 반대의 예로 배틀렐름에서는 타워가 너무 강력해 개수 제한이 있고[6] 확장팩에서는 타워 방해 전용 스킬까지 등장할 정도이다.

AOS에도 타워가 있다. 기본적인 속성은 다른 장르와 같으나, 플레이어가 선택하는 영웅 유닛 레벨 업을 통해 강해지고 일반 유닛들도 기지를 부수는 등으로 강해지지만, 타워는 그런 성능 강화는 없어 차이점을 보인다. 그래서 게임 초반에는 무척 강력하지만, 후반에는 조금의 시간을 벌 뿐이다. AOS의 타워는 대개 게임 시작과 동시에 이미 설치되어있으며 플레이어가 직접 지을 수는 없어 한 번 부서지면 다시 지을 수 없다는 게 큰 특징이다. 개별 문서가 만들어진 AOS 타워 문서로는 리그 오브 레전드/포탑이 있다. 해당 게임에서는 ' 포탑'으로 번역하였다.

5.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타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이 의미의 tower는 '타워를 짓는다'와 같이 동사적으로도 쓰이며 '타워를 짓는 행위'는 타워링(towering)이라고 한다. 본래 의미의 tower는 동사적 의미가 거의 없고, towering은 "타워처럼 솟아있다"라는 의미뿐이다. 영화 타워링도 원제는 '타워링 인페르노'로 "솟구치는 불길"이라는 의미가 된다. 2개의 소설 '타워'와 '글래스 인페르노'를 합치면서 중의적인 의미를 만든 것이다.


[1] 물론 무인기기라는 것은 아니고 사람은 들어가 있다. 인구수라고 하지만 외부 보급품이라 건물에는 필요 없다는 식의 구현 방식이다. 스타크래프트 미사일 포탑은 와이어 프레임에 사람이 있는 게 보이는데 인구수는 차지하지 않아서 ' 비정규직이라 그렇다'라는 슬픈 농담이 있었다. [2] 예외가 있다. 대표적으로 유리의 복수에 추가된 소련군 배틀 벙커. 직접 지을 수 있는 민간 건물 같은 개념인데, 이건 전기가 필요 없는데도 기본 보병 5명이 들어가면 흉악한 화력을 보여준다. [3] 간혹 특정 유닛을 공격하도록 명령하거나, 우선 공격 대상 AI를 조절할 수 있는 게임들도 있다. [4]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혐영이 그런 수비 지향 전략이 문제를 일으킨 예였다. 단, 혐영의 원인이 된 것은 타워는 아니고 방어에 극도로 유리한 유닛들이긴 하다. [5] 특히 성큰 콜로니가 그랬는데, 화력도 더 낮고 가격도 비싸고 생산 시간도 더 길었다. 그 외에도 포토캐논은 폭발형에 같은 가격의 마린, 저글링과 같은 기본유닛들에게도 털리는 일이 다반사인데다 건설시간도 지금보다 길었고 미사일 터렛은 건설비용도 지금보다 비쌌다. 스포어 콜로니 역시 건설시간이 길었고 폭발형이라 뮤탈, 스커지도 제대로 못잡았다. [6] 최후반 테크까지 올려도 총 4개밖에 못 짓는다. 인구 수 제한도 크고 멀티를 많이 가져가는 게임이 아니어서 그 정도면 아주 모자르진 않긴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