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7:26:04

미음(동음이의어)

1. 한글 자모 2. 음식
2.1. 개요2.2. 특징2.3. 종류
3. 부산광역시 강서구 법정동 4. 경기도 남양주시의 지명 미음

1. 한글 자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음식

🍚 밥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밥짓는 재료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국밥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김밥 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덮밥 김치덮밥 · 돈부리( 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볶음밥 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비빔밥 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주먹밥 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쌈밥 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초밥 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기타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 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 치밥 · }}}}}}}}}

파일:밥 아이콘.png 죽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흰죽 · 계란죽 · 빼때기죽 · 과루죽 · 국묘죽 · 굴죽 · 깨죽 · 꽃게죽 · 납팔죽 · 문동죽 · 바지락죽 · 밤죽 · 방풍죽 · 보리죽 · 비지죽 · 상이죽 · 선인죽 · 소행죽 · 송이버섯죽 · 시래기죽 · 야채죽 · 오트밀 · 인삼죽 · 잣죽 · 재강죽 · 저신죽 · 전복죽 · 찹쌀죽 · 청모죽 · 콩나물죽 · 포리지 · 팅짜이죽 · 황정죽 · 도토리죽
퓨전/요리류 갱시기 · 김치죽 · 누룽지탕 · 땅콩죽 · 라면죽 · 닭죽 · 덮죽 · 리소토 · 어죽 · 육죽 · 자라죽 · 장국죽 · 해장죽
비곡물 주류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 산약죽 · 서여죽 · 참포라도 · 타락죽 · 팥죽 · 포이 · 호두죽 · 호박죽
기타 꿀꿀이죽 · 라이스 푸딩 · 미음 · 숭늉 · 응이
}}}}}}}}} ||

2.1. 개요

미음()[1] 또는 보미(gruel)은 '마시는 쌀'이라는 뜻으로, 을 재료로 물을 많이 넣어 묽게 끓여낸 뒤 건더기를 걸러낸 것을 가리킨다.

2.2. 특징

네이버 사전에서는 "입쌀이나 좁쌀에 물을 충분히 붓고 푹 끓여 체에 걸러 낸 걸쭉한 음식. 흔히 환자나 어린아이들이 먹는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보다 이 더 많이 들어가는데, 죽을 끓일 때 들어가는 물의 양이 쌀의 5~6배라면 미음은 쌀의 10배 정도라서 죽보다 더 묽다. 그렇기 때문에 치아가 없어도 쉽게 먹을 수 있다. 죽과 숭늉의 중간쯤에 있는 음식으로 볼 수도 있다.

기아, 단식 등의 이유로 매우 오랫동안 굶주림에 시달린 경우, 영양소를 공급하려면 미음부터 조금씩 먹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배고프다고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을 먹으면 그 동안 쉬고 있던 위장에 무리가 간다는 식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원인은 위장이 아니라 이다. 온 몸의 글리코겐이 고갈된 상태에서 새로 막대한 열량을 섭취하면 간이 고갈된 글리코겐을 생산하다가 과로로 쓰러지는 것이다. 때문에 미음처럼 열량이 매우 적은 음식을 찬찬히 섭취해서 며칠에 걸쳐 몸에 흡수할 수 있게 해야 한다.[2] 이를 영양재개증후군(refeeding syndrome)이라고 한다.

이유식을 처음 시작하는 4~5개월경에는 미음부터 시작한다. 소화기 관련 수술을 받은 경우 미음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2.3. 종류

  • 감자미음
  • 고구마미음
  • 단호박미음
  • 닭가슴살미음
  • 당근미음
  • 바나나미음
  • 배미음
  • 브로콜리미음
  • 비타민채미음
  • 비트미음
  • 사과미음
  • 소고기미음
  • 시금치미음
  • 쌀미음
  • 양배추미음
  • 애호박미음
  • 오이미음
  • 오트밀미음
  • 청경채미음
  • 초유쌀미음
  • 흑미미음

3. 부산광역시 강서구 법정동

미음동 문서로.

4. 경기도 남양주시의 지명 미음



1914년 미금시 전신인 미금면의 '미'가 기원된 과거 면 명칭이다. 이 미음면은 남양주시 수석동의 미음나루라는 나루터에서 유래했고 비슷한 위치와 같은 이름의 맛집 거리가 이 이곳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나, 사실 대동지지를 보면 조선시대 남양주 지역에 미음면이라는 면이 없고 대신 독음면(禿音面)이라는 지명이 있었으며, 미음나루라는 이름도 잘못 전해졌으며 원래 미호(渼湖)나루였다. 미음이라는 이름은 '음'이라는 지명이 들어가는 곳의 특성을 감안하면 하남시 미사동 일대의 별칭이었다고 보는 설이 있다. '미호'라는 이름은 현재 한강 중류 일대 부락들, 즉 남양주시 남부 지역과 하남시 일대에서 한강을 부르던 향칭이었다.

어쨌든 미음면/독음면이 관할했던 리는 현재 도농, 지금(수석+가운 포함) 일대였고, 미금의 '금'은 금촌면에서 유래됐으며 금촌면은 양정, 금곡 일대를 관할했었다. 한편 평내, 호평은 상도면, 하도면 관할이었다가 미금면의 신설과 동시에 미금으로 편입되었다.




[1] 흔히 '쌀미음'이라고도 하는데, '미음(米飮)'이라는 단어에 이미 (쌀 미)가 있어 겹말이다. [2] 전술했듯이 이 절차를 무시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일례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유대인 수용소를 해방한 연합군이 극도로 굶주린 수감자들에게 급한 대로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고열량 전투식량이나 초콜릿 등을 건넸다가 그걸 급히 먹은 수감자들이 사망하는 비극이 벌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