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0:38:07

미쓰비시 랜서/9세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쓰비시 랜서
파일:958px-Mitsubishi_motors_new_logo.svg.png
파일:미쯔비시 랜서.jpg
LANCER / LANCER EX[1] / LANCER FORTIS[2] / LANCER iO[3] / GALANT FORTIS[4]
三菱・ランサー / ランサーEX / ランサーフォルティス / ランサーイオ / ギャランフォルティス

1. 개요2. 상세3. 제원4. 둘러보기

1. 개요

미쓰비시 랜서의 9세대 모델이다.

2. 상세

파일:랜서9-1.jpg 파일:랜서9-2.jpg
갤랑 포르티스 세단 스포트백 유럽 사양

2007년 1월에 열린 북미국제오토쇼에서 9세대 랜서가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유럽과 일본의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디자인 작업이 이루어졌고, 2005년에 공개된 "컨셉트 스포트백"과 "컨셉트 X"의 디자인을 양산화했다. 북미 판매는 2007년 3월 19일에 시작되었다. 한편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갤랑 포르티스(Galant Fortis)라는 이름 하에 2007년 8월 23일에 판매를 시작했다. 4도어 세단 스타일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전까지 나오던 왜건이 안 나오는 대신 5도어 해치백인 스포트백이 나오고 있다. 스포트백은 주로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었고, 일본 내수 시장에는 2008년 12월 2일에 출시되었다.

2010년 9월, 4N13에 6단 F6CJA 자동변속기 사양에 영국 등의 유럽 시장에 출시됐다.

이때까지 우려먹던 시리우스 엔진을 버리고 4B1 엔진이 탑재되었다. 1.8L 4B10과 2.0L 4B11형 모두 DOHC 타입이지만, 일본에서 나오는 일반형의 엔진은 2011년 10월에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면서 4B1 계열 DOHC 대신 139마력짜리 1.8L 4J10형로 교체했다.

다임러크라이슬러 후반기에 크라이슬러에서는 네온의 공백을 이 랜서에 기반한 후속차종 레벨(Rebel)로 매꿀 계획을 발표했으나 무산되었고, 2010년에 캘리버 명의의 세단 프로토타입만 발견되었다. #
파일:랜서9-3.jpg 파일:랜서9-4.png
랠리아트 페이스리프트 버전
9세대 역시 랠리아트 트림이 있다. 랠리아트에는 란에보에 달리는 TC-SST가 달리며, 4B11T 2.0L 터보 엔진이 달리지만 295마력의 란에보와 차별을 두기 위해 랠리아트에는 240마력으로 디튠해서 나왔다.

대만 시장에서는 "랜서 포르티스"라는 이름으로 2007년 8월에 출시되었고, 2008년 4월에는 "랜서 iO"라는 스포티 버전을 추가했다. 2010~2015년 사이에는 말레이시아 프로톤이 와자를 대신할 차로서 랜서를 " 프로톤 인스피라"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다. 2013년에는 중국에서도 랜서 포르티스의 판매가 시작되었고, 2014년에는 대만 시장용 랜서 포르티스 및 iO의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대한민국에는 2008년에 미쓰비시가 한국에 진출하면서 랜서 에볼루션이 출시된 후에 들어왔으며, 별로 없는 란에보에 비해 이 차량은 상대적으로 가끔씩이나마 볼 수 있다. 가격은 출시 초기에 3,350만원이었고, 2010년형으로 연식변경을 거치면서 스페셜 트림 2,750만원, 다이내믹 트림 2,990만원으로 인하되었는데, 대한민국에 들어온 수입 전륜구동 세단 중 가장 저렴한 가격에 팔린 모델이었으나, 품질은 영 좋지 않았다고.

미쓰비시는 실적 부진에 시달렸고, 결국 세단에 대한 투자 감축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결국 란에보와 함께 랜서마저 2015년 3월, 단종이 확정됐다. 결과적으로 말해 9세대 랜서의 일본내 공식 명칭이었던 갤랑 포르티스를 마지막으로 갤랑 브랜드가 1969년에 등장한 이래 46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 것. 단 해외 수출용 차량은 지속적으로 판매한다고. 미쓰비시 자동차 법인 사이트의 생산차량 명단에서 갤랑 포르티스의 상태는 국내 판매 안 함(国内販売無し)로 나온다.

한편 2015년 10월에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북미 시장에 출시되었고, 호주 시장에는 그 해 12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전면에 LED 주간주행등이 장착되었고, 전면 디자인을 변경해 크롬장식과 새로운 그릴 디자인을 적용했다. 무단변속기 F1CJC가 탑재됐다.

2017년 1월, 미쓰비시 자동차 북미 CEO인 Don Swearingen은 수출 시장용 랜서를 2017년 8월부로 단종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수출용 랜서는 후속 없이 단종되고, 랜서라는 이름은 중국과 대만에서만 쓰이게 된다.

3. 제원

LANCER/9세대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일본|]][[틀:국기|]][[틀:국기|]]
전장 4,570mm
전폭 1,760mm
전고 1,490mm
축거 2,635mm
윤거(전) 1,530mm
윤거(후) 1,530mm
공차중량 1,430kg
연료탱크 용량 55L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후륜 현가장치 멀티링크
연비 11.4km/l
2010년형 대한민국 판매 사양 기준
파워트레인
<rowcolor=#fff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4B11 2.0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998cc 145ps 19.8kgf·m CVT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ddd>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eK · eK X · eK 스페이스 · eK X 스페이스 · 미니캡 미니카 · 피스타치오 · i · i-MiEV
소형차 콜트 · 미라쥬 · 아트라쥬 · 애티튜드 프레시스
준중형차 랜서 랜서 에볼루션 · 트레디아 · 코르디아 · 리베로
중형차 - 갤랑 · 에테르나 · 마그나/베라다(~2세대) · 아스파이어 · 카리스마 · 레그넘 · 380 · 에메로드
준대형차 - 데보네어 · 디아망떼 · 마그나/베라다(3세대)
대형차 - 프라우디아 · 디그니티
스포츠카 - 이클립스 · GTO · FTO · 스타리온
경형 SUV - 파제로 미니
소형 SUV 에어트렉 · ASX · 이클립스 크로스 · 엑스포스 에어트렉 · RVR · 파제로 주니어 · J 시리즈
준중형 SUV - 파제로 피닌
중형 SUV 파제로 스포트 · 아웃랜더 엔데버 · 파제로( 에볼루션)
MPV 엑스팬더 샤리오 · 델리카 스페이스 기어 · 프리카 · 징거 · 그란디스 · 사브린 · 디온 · 스페이스 스타
LCV 타운박스 · 미니캡 · 델리카 D:5 · 델리카 D:2 · 델리카 D:3 델리카
픽업트럭 트라이톤 레이더
군용 73식 소형트럭 J601
미쓰비시 랠리아트의 차량
}}}}}}}}} ||


파일:랠리아트.png
랠리아트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ff0000><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00> 소형차 미라쥬 콜트
준중형​차 - 랜서
중형​차 - 갤랑 · 마그나 · 레그넘
준대형​차 - 디아망떼 · 마그나 · 레그넘
스포츠카 - 이클립스 · FTO · 스타리온
소형 SUV RVR · 이클립스 크로스 -
중형 SUV 파제로 스포트 · 아웃랜더 파제로 · 엔데버
MPV - 엑스팬더
델리카 D:5 델리카
픽업트럭 - 트라이톤 · 레이더



[1] 중국 시장 명칭. [2] 대만 시장 명칭. [3] 대만 시장 스포티 모델. [4] 일본 내수 시장 명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