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12:25:45

물리량


<colbgcolor=#000>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000,#fff> 배경 과학적 방법
기반 수학( 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통계학( 수리통계학 · 추론통계학 · 기술통계학)
연구· 탐구 논증( 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 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 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연구방법론 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 연구노트)
통계적 방법 혼동행렬 · 회귀분석 · 메타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 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측정· 물리량 물리량( 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 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 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 불확도 · 유효숫자 · 과학적 기수법)
실험 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 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
연구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표절( 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논문· 과학 공동체 소논문 · 리포트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형식( 초록 · 인용( 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동료평가 · 지표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학제간 연구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

1. 정의2. 기호와 단위3. 차원4. 물리량의 종류
4.1. 스칼라4.2. 벡터
4.2.1. 변환에 의한 스칼라와 벡터의 변화
4.3. 텐서
4.3.1. 스칼라, 벡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텐서
4.4. 스피너
5. 측정6. 단위 변환7. 같이 보기

物理量 | Physical quantity

1. 정의

어떤 현상이나 속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을 물리량이라 한다. 수학적으로는 수치와 단위으로 이루어져 있다.[1]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발행하는 지침 ISO:80000-1에 따르면 물리량 [math(Q)]의 수치 성분은 중괄호로 감싼 [math(\{Q\})], 단위 성분은 대괄호로 감싼 [math([Q])]로 나타내며, 따라서 물리량의 성분은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Q = \{Q\}[Q])]
이를테면 어떤 물체의 질량을 [math(m)]이라고 할 때 [math(m = 5{\rm\,kg})]인 경우 [math(\{m\} = 5)], [math([m] = {\rm\,kg})]이다.

2. 기호와 단위

기호란 물리량을 나타내는 문자로, 주로 아랫첨자가 있거나 없는 로마자 혹은 그리스 문자를 쓴다. 국제단위계의 지침상 물리량을 나타낼 때 대소문자 구분은 사용자가 정의하기 나름이나 서체는 반드시 바탕체(Serif) 기반의 이탤릭체로 나타내게 되어있다. 예시에 관해선 과학/기호문서를 참조하자.

단위는 해당 물리량이 어떤 방법 혹은 기준에 따라 측정된 것인지 그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으로, 물리 법칙에 따라 수학적으로 정의된다. 국제단위계의 지침상 사람 이름에서 유래한 단위가 아니면 기본적으로 소문자로 나타내며, 사람 이름에서 유래한 단위는 대문자로 나타낸다.[2] 서체는 바탕체 기반의 직립체(로만체)로 나타내는 것이 원칙이며[3], 수기로 나타낼 때에는 서체를 지켜가며 쓰기가 어렵기 때문에 물리량과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괄호([], () 등)로 감싸서 나타내기도 한다.
예) 전압의 기호 [math(V)], 단위 [math({rm V})](혹은 [math([{\rm V}])])

보통 물리량을 나타내는 문자는 단위를 나타내는 문자와 다른 경우가 많은데, 특이하게도 전압은 기호 [math(V)]의 유래가 된 영단어 voltage와 단위인 볼트(volt, [math(\rm V)])가 모두 알레산드로 볼타의 이름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기호와 단위 모두 V를 쓴다.

3. 차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차원(물리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물리량을 구성하는 기본량이다. 정의 문단에서 논한 바와 같이 물리량은 수치 성분과 단위 성분의 곱인데, 수치는 물리량의 구체적인 값만 제시할뿐 양의 물리학적인 정보를 갖지 않으므로 물리량이 갖는 차원은 단위 성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4. 물리량의 종류

4.1. 스칼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칼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수치만을 가지며 좌표계의 변환에 의해 크기가 변하지 않는 물리량을 스칼라라고 한다.

4.2. 벡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벡터(유클리드 기하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수치와 방향을 모두 가지며 좌표계의 변환에 의해 변하는 물리량을 벡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과학에서 벡터라 함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벡터를 의미한다.[4]

4.2.1. 변환에 의한 스칼라와 벡터의 변화

상기한 벡터의 변환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자.
파일:나무_좌표계회전_수정1.svg
2차원 좌표계 위의 위치벡터[math(\bold v)]
위와 같이 좌표계가 변환될 때(혹은 서로 다른 두 좌표계에서) 스칼라는 변하지 않고 벡터는 변한다는 것을 이미 안다. 이를 정성적으로 이해해 보자면
좌표계가 달라지면
* 벡터는 방향이 달라진다.
*벡터의 크기(스칼라)는 달라지지 않는다.
로 볼 수 있다.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해 보자.
위 그림의 벡터는
[math(\bold{v} = \begin{bmatrix} a \\ b \end{bmatrix})]
로 나타내어진다.
벡터의 크기 [math(v)]는
[math(v=\sqrt{a^2+b^2})]
이며, 회전한 좌표계에선
[math(v'=\sqrt{a'^2+b'^2})]
이다. 이때 좌표계의 회전은 벡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으므로 그림의 변환을 나타내는 행렬은[5]
[math(\begin{bmatrix} \cos (-\theta) & -\sin (-\theta) \\ \sin (-\theta) & \cos (-\theta) \end{bmatrix} = \begin{bmatrix} \cos \theta & \sin \theta \\ -\sin \theta & \cos \theta \end{bmatrix})]
이므로 회전한 좌표계에서의 벡터 [math(\bold v)]는
[math(\begin{bmatrix} a' \\ b' \end{bmatrix} = \begin{bmatrix} \cos \theta & \sin \theta \\ -\sin \theta & \cos \theta \end{bmatrix}\begin{bmatrix} a \\ b \end{bmatrix} = \begin{bmatrix} a\cos \theta+b\sin \theta \\ -a\sin \theta+b\cos \theta \end{bmatrix})]
이다. 따라서
[math(a'= a\cos \theta+b\sin \theta, b'=-a\sin \theta+b\cos \theta)]
이며, 회전한 좌표계에서 벡터의 크기는
[math(v'=\sqrt{(a\cos \theta+b\sin \theta)^2+(-a\sin \theta+b\cos \theta)^2})]
으로, 전개해서 정리하면
[math(v'=\sqrt{(a^2\cos^2 \theta+ab\cos \theta \sin \theta +b^2\sin^2 \theta)+(a^2\sin^2 \theta-ab\sin \theta \cos \theta +b^2\cos^2 \theta)})]
[math(\quad=\sqrt{(\cos^2 \theta+\sin^2 \theta)a^2+\cancel{ab\cos \theta \sin \theta} + (\sin^2 \theta+\cos^2 \theta)b^2 - \cancel{ab\sin \theta \cos \theta}})]
이때 [math(\sin^2 \theta+\cos^2 \theta = 1)]이므로
[math(v'=\sqrt{a^2+b^2}=v)]
이다.
따라서, 아래 사실을 알 수 있다.
* 벡터는 좌표계의 회전(변환)에 의해 변하며, 이는 변환법칙을 따른다.
* 스칼라(벡터의 크기)는 회전(변환)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다.
이는 백터의 크기가 아닌 스칼라량인 내적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4.3. 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텐서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벡터를 이루는 여러 쌍의 기저가 결합하여 좌표계의 변환에 대해 특정한 변환법칙을 따르는 물리량을 텐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역학적인 요소를 기술하거나 곡률을 표현하는 그 기능에 따라 상대성 이론에 응용된다.

4.3.1. 스칼라, 벡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텐서

텐서에 대해 접하다 보면 흥미로운 내용을 볼 수 있는데, 텐서의 차수에 따라 0차 텐서는 스칼라, 1차 텐서는 벡터라는 것이다. 이것은 몇 쌍의 기저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관한 것으로, 스칼라는 기저가 없으며, 벡터는 1쌍의 기저를 가진다.
이를 통해 2차 텐서를 기저쌍으로 이루어진 양을 입력받아 다른 양을 출력하는 함수로 이해하면 물리학에서 텐서의 기능을 알 수 있다.
가령 응력 텐서의 경우 응력이 가해지는 면의 법선벡터와 응력이 가해지는 방향의 벡터를 입력받아 그 방향의 힘의 크기를 출력한다.

4.4. 스피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피너(물리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로런츠 변환에 대해 텐서와 다른 형태의 변환을 보이는 물리량으로, 입자의 스핀을 나타낸다.

5. 측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측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상에 따라 물리량의 수치를 결정하는 것을 측정이라 한다.

5.1. 도량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량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측정의 기준이다.

6. 단위 변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위 변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특정 도량형으로 표현된 물리량을 선형사상을 이용해 다른 도량형으로 바꾸는 것이다.

7. 같이 보기


[1] 미세구조상수처럼 수치만 남아있는 게 반례처럼 보일 수 있는데, 무차원량은 차원이 [math(\sf1)]인 단위 [math(1)]이 곱해진 것으로 본다. [2] 단, 리터는 [math(\rm l)]로 나타내면 인쇄 환경에 따라 대문자 I, 숫자 1과 헷갈릴 여지가 많기 때문에 대문자 표기 [math(\rm L)]이 표준이다. [3] 바탕체가 아닌 돋움체(Sans-serif)인 경우, 차원 기호가 된다. [4] 단, 상대성 이론이나 양자역학에서는 선형대수학에서 말하는 '일반화된 벡터'를 다룬다. [5] 이에 관한 내용은 선형 변환, 행렬표현 문서를 참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