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캠퍼스 ( 인문 /
자연 )
|
학부 | 대학원 | |
이념과 상징 | 역사 | 총장 | |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방목학술정보관|중앙도서관]] | 박물관 |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자연도서관|중앙도서관]] | |
학생 정보
|
|||
학사제도 | 동아리 | 학내언론 | |
커뮤니티 ( 명지대 갤러리) |
총학생회 | [[명지대학교/학교생활|학교생활]] | |
[[명지대학교 학생정보시스템|MSI]] | 입시 | ||
기타 정보
|
|||
명지학원 | 연구소 | 교통 | |
부속기관 | 사건사고 | 출신 인물 |
1. 역대 명지대학교 총장
명지대학교 총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고등가정학교 교장
|
근화여자초급대학 학장
|
서울문리사범대학 학장
|
명지초급대학 학장
|
|
제1대 김재준 |
제2대 전호덕 |
제3대 민태식 |
제4대 유상근 |
제5대 유상근 |
|
명지대학 학장 | |||||
제1대 유상근 |
제2대 박일경 |
제3대 박동섭 |
|||
명지대학교 총장 | |||||
제1대 박일경 |
제2대 유상근 |
제3대 이영덕 |
제4대 고건 |
제5대 송자 |
|
제6대 선우중호 |
제7대 정근모 |
제8-12대 유병진 |
이 항목은 명지대학교 종합대학 승격(1983년) 후의 역대 총장들에 대해 다룬다.[1]
1.1. 초대 박일경
명지대학교 초대 총장 박일경
|
|
성함 | 박일경 |
임기 | 1984. 01. 01 - 1987. 02. 28 |
생몰년 | 1920 - 1994 |
약력 |
문교부장관 서울대학교 정치학 조교수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헌법위원회 위원 |
1.2. 2대 유상근
명지대학교 2대 총장 유상근
|
|
성함 | 유상근 |
임기 | 1988. 02. 01 - 1992. 01. 31 |
생몰년 | 1922 - 1992 |
약력 |
부총리 겸 국토통일원 장관 국토통일원 차관 명지대학 설립 |
무려 명지대학교의 설립자라는 권위가 있는 역대 총장이다. 학교 내에도 그의 호인 '방목'이 들어간 건물(ex. 인문캠퍼스의 방목학술정보관, 자연캠퍼스의 방목기념관 등)이나 수업들이 존재한다.[3] 박정희 정부에서 국토통일원[4] 장관을 지낸 관료 출신이기도 하다.
1978년 12월부터 1988년 2월까지 이사장을 맡다가 총장직에 복귀하여 4년간 재임했다. 총장 임기 만료 이후인 1992년 7월에 별세했다.
1.3. 3대 이영덕
명지대학교 3대 총장 이영덕
|
|
성함 | 이영덕 |
임기 | 1992. 02. 01 - 1993. 12. 21 |
생몰년 | 1926 - 2010 |
약력 |
대한민국 국무총리 부총리 겸 국토통일원 장관 한국교육학회 회장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한국교직원총연합회 회장 |
1.4. 4대 고건
명지대학교 4대 총장 고건
|
|
성함 | 고건 |
임기 | 1994. 03. 17 - 1997. 03. 05 |
생몰년 | 1938 - |
약력 |
대통령 권한대행 대한민국 국무총리[5] 서울특별시장[6] 내무부 장관 교통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 12대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
행정의 달인이라는 별명이 어울리게 관료로서 끝판왕에 오른 인물로, 관선 서울특별시장직에서 물러나 야인으로 지내던 중 명지대학교 총장직에 올랐다.
총장 임기 도중에 문민정부 국무총리로 발탁된 놀라운 이력이 있다. 그래서 1997년 1학기 개강 직후에 사임했고 잔여학기는 부총장이 총장 직무대리를 맡았다. 이후로도 서울특별시장을 1번, 국무총리를 1번, 헌정사상 보기 드문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지냈다. 참여정부 당시엔 대선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기록하는 등 대망론까지 이끌 정도의 유력한 대권주자였다.
1.5. 5대 송자
명지대학교 5대 총장 송자
|
|
성함 | 송자 |
임기 | 1997. 06. 30 - 2000. 08. 07 |
생몰년 | 1936 - 2019 |
약력 |
교육부 장관 연세대학교 총장 한국경영학회 회장 명지학원 이사장 |
하지만, 이중국적 문제 등으로 24일만에 물러났다. 그래도 대교 회장, 명지학원 이사장 같은 일을 계속했다. 연세대, 명지대 총장으로 여러 문서에 등장한다.
1.6. 6대 선우중호
명지대학교 6대 총장 선우중호
|
|
성함 | 선우중호 |
임기 | 2000. 12. 04 - 2004. 12. 03 |
생몰년 | 1940 - |
약력 |
서울대학교 총장 광주과학기술원 총장 한국대학총장협회 회장 |
1.7. 7대 정근모
명지대학교 7대 총장 정근모
|
|
성함 | 정근모 |
임기 | 2004. 12. 06 - 2007. 09. 30 |
생몰년 | 1939 - |
약력 |
대통령 후보 과학기술처 장관 호서대학교 총장 로잔대학교 초빙교수 IAE 고등기술연구원 원장 국제원자력기구 총회 의장 한국기술경제연구회 회장 뉴욕공과대학 교수 |
명지대 총장 임기가 1년 3개월이 남았으나 사임하고 17대 대선(...)에 출마했다.[7] 당시 참주인연합이라는 정당을 만들고 출마했는데, 본의 아니게 친박연대로 당명이 바뀌면서 원내 정당으로 격상된다. 친박연대는 당시 집권여당인 한나라당의 세력 재편에 큰 역할을 한 정당이다. 어쩌다 보니 우리나라 정치사에도 꽤 중요한 역할을 한 셈이 됐다.(...) 다만, 이건 본인의 의지가 아니라 친박 세력이 당을 강탈한 것이다.
1.8. 8-12대 유병진
명지대학교 8-12대 총장 유병진
|
|
성함 | 유병진 |
임기 | 2008. 01. 01 - |
생몰년 | 1952. 01. 16 - |
약력 |
명지대 국제통상학 학사 교토대 경제학 박사 관동대 총장 한국대학축구연맹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회장 |
2. 종합대학 이전
초급대학 역대 학장
|
|||
항목 | 성명 | 재임기간 | 비고 |
초대 | 김재준 교장 | 1948. 8. 10 ~ 1952. 11. 18 | 서울고등가정학교 |
2대 | 전호덕 학장[10][11] | 1952. 11. 18 ~ 1956. 4. 15 |
근화여자초급학교 서울여자초급대학 서울문리사범대학[12] |
이정근 학장서리 | 1960. 4. 15 ~ 1960. 8. 16 | 서울문리사범대학 | |
3대 | 민태식[13] 학장 | 1960. 8. 17 ~ 1961. 7. 22 | 서울문리사범대학 |
4대 | 유상근[14] 학장 | 1961. 10. 13 ~ 1963. 10. 20 |
서울문리사범대학 명지초급대학 |
명지대학 역대 학장
|
||
항목 | 성명 | 재임기간 |
초대 | 유상근 | 1963년 12월 16일 ~ 1968년 7월 16일 |
1969년 8월 19일 ~ 1975년 1월 7일 | ||
2대 | 박일경 | 1975년 1월 18일 ~ 1980년 1월 20일 |
3대 | 박동섭[15] | 1980년 1월 21일 ~ 1984년 2월 29일 |
[1]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은, 명지대학교가 4년제 대학으로 인정받은 것은 1963년이고,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것이 1983년이다. 따라서 명지대학교가 4년제 대학으로 인정받은 것이 1983년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2]
현재의 교육부
[3]
한 때 같은 재단인
관동대학교에도 사범대학 건물이 방목관이었으나, 재단이 바뀌면서 진실관으로 개칭되었다.
[4]
현 통일부
[5]
문민정부, 참여정부으로 2번
[6]
관선, 민선으로 2번
[7]
정작 유력 대선주자였던 전직 고건 총장은 안 나갔다.
[8]
허나 여러가지 학교문제들로 학생회, 공동대책위원회등이 전부 총장의 퇴임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요구를 묵살하고 연임을 강행했다는 점에선 비판을 피해가기 어려워 보인다. 명지대의 다른 총장들과 다르게 이미 14년이라는 매우 긴 임기를 거친데다가, 그 배경이 설립자의 아들, 즉 혈연(설립자의 장남, 차남, 손자는 각각 명지학원 이사장, 명지대 총장, 명지전문대 부총장을 역임했다.)이라는 점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9]
물론 유병진 총장의 공이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인하대 성신여대 등 쟁쟁한 대학들이 재정지원제한대학에 걸린 상황에서 이슈가 많은 명지대가 일반재정지원대학에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10]
현 명지대학교의 전신인 서울문리사범대학의 초대 학장을 지내는 등 나름 명지대학교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러나, 관련된 사료나 기록이 적어 잘 언급되지 않는 편이다. 전호덕 학장은 서울문리사범대학 학장을 지낸 이후
프랑스로 이민을 가고 1986년 3월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전호덕 학장의 남편이 독립운동을 하다가 순국한 이세열 목사라는 것이다. 이세열 목사는 독립운동을 하다가 해방 이후 출소하였는데, 혹독했던 고문 후유증으로 해방한지 일주일만에 사망하였다고 추정된다.
출처
[11]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는 전호덕 학장의 여권이 소장되어 있다.
출처 해외여행이 엄격히 통제되어 소수의 정부 인사, 외교관, 기자 등에게만 발급되었던 당시 시대상을 고려해보면 특기할만한 사항이다.
[12]
당시 정부의 위탁을 받아 중등교원을 길러내는 사범학교였다. 후에 세종대가 되는 수도여자사범대학과 함께 50년대 당시 유이한 사립사범학교였다. 그러나, 60년이후 집권한 군사정권은 지방에 산재한 국립사범학교를 사범대학으로 승격시키면서 사립이던 이 학교는 63년 사범대학과정은 종료시켰다. 이때 승격된 사범학교는 이후 후발국립대학 등으로 변했다.
[13]
충남대학교 초대 총장 및 설립 멤버. 서울대학교 교수를 하던 중 현재의 충남대학교 설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충남대의 초대 총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60년
4.19 혁명 이후 총장직에서 사임하고, 이후
명지대학교의 전신인 서울문리사범대학의 학장으로 취임하게 된다. 관련된 내용은
충남대학교/역사 문서 참조.
[14]
1956년 전임 노기남 천주교 서울대교구 대주교를 이어
명지학원 이사장에 올랐다가, 61년에는 학장으로 취임했다.
[15]
명지대학 경상학부 부장(現 경영대학 학장)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