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다크리스의 주요 수상 · 선정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 |||||||||||||||||||||||||||||||||||||||||||||||||||||||||||||||||||||||||||||||||||||||||||||||||||||||||||||||||||||||||||||||||||||||||||||||||||||||||||||||||||||||||||||||||||||||||||||||||||||||||||||||||||||||||||||||||||||||||||||||||||||||||||||||||||||||||||||||||||||||||||||||||||||||||||||||||||||||||||||||||||||||||||||||||||||||||||||||||||||||||||||||||||||||||||||||||||||||||||||||||||||||||||||||||||||||||||||||||||||||||||||||||||||||||||||||||||||||||||||||||||||||||||||||||||||||||||||||||||||||||||||||||||||||||
톱 핫 100 노래상 | ||||||||||||||||||||||||||||||||||||||||||||||||||||||||||||||||||||||||||||||||||||||||||||||||||||||||||||||||||||||||||||||||||||||||||||||||||||||||||||||||||||||||||||||||||||||||||||||||||||||||||||||||||||||||||||||||||||||||||||||||||||||||||||||||||||||||||||||||||||||||||||||||||||||||||||||||||||||||||||||||||||||||||||||||||||||||||||||||||||||||||||||||||||||||||||||||||||||||||||||||||||||||||||||||||||||||||||||||||||||||||||||||||||||||||||||||||||||||||||||||||||||||||||||||||||||||||||||||||||||||||||||||||||||||||
2003년 | → | 2004년 | → | 2005년 | ||||||||||||||||||||||||||||||||||||||||||||||||||||||||||||||||||||||||||||||||||||||||||||||||||||||||||||||||||||||||||||||||||||||||||||||||||||||||||||||||||||||||||||||||||||||||||||||||||||||||||||||||||||||||||||||||||||||||||||||||||||||||||||||||||||||||||||||||||||||||||||||||||||||||||||||||||||||||||||||||||||||||||||||||||||||||||||||||||||||||||||||||||||||||||||||||||||||||||||||||||||||||||||||||||||||||||||||||||||||||||||||||||||||||||||||||||||||||||||||||||||||||||||||||||||||||||||||||||||||||||||||||||||||
In Da Club 50 센트 |
→ |
Yeah! 어셔 (feat. 릴 존, 루다크리스) |
→ |
We Belong Together 머라이어 캐리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fff,#191919> |
Super Bowl 슈퍼볼 하프타임쇼 헤드라이너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XXV 이후 ] 연도는 경기일 기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 XXV 1991 |
XXVI 1992 |
XXVII 1993 |
XXVIII 1994 |
XXIX 1995 |
뉴 키즈 온 더 블록 | 글로리아 에스테판 | 마이클 잭슨 | 클린트 블랙, 타냐 터커, 트래비스 트리트, 더 저드스 | 패티 라벨, 토니 베넷, 아투로 산도발, 테디 펜더그래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 |
스티비 원더, 애슐리 저드, 리사 하트먼 블랙, 조지아 새틀라이츠, 조 네이메스, 엘리자 우드, 찰스 대니얼스 | |||||
<rowcolor=#000> XXX 1996 |
XXXI 1997 |
XXXII 1998 |
XXXIII 1999 |
XXXIV 2000 |
|
다이애나 로스 | 블루스 브라더스, 제임스 브라운, 지지 탑 | 템테이션스, 스모키 로빈슨, 마사 앤 더 밴덜러스, 퀸 라티파, 보이즈 투 멘 | 스티비 원더, 글로리아 에스테판 | 필 콜린스, 토니 브랙스톤,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 | |
빅 배드 부두 대디 | |||||
<rowcolor=#000> XXXV 2001 |
XXXVI 2002 |
XXXVII 2003 |
XXXVIII 2004 |
XXXIX 2005 |
|
에어로스미스, 엔싱크 | U2 | 샤니아 트웨인, 노 다우트, 스팅 | 자넷 잭슨, 퍼프 대디, 넬리, 키드락, 저스틴 팀버레이크, 제시카 심슨 | 폴 매카트니 | |
브리트니 스피어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넬리 | |||||
<rowcolor=#000> XL 2006 |
XLI 2007 |
XLII 2008 |
XLIII 2009 |
XLIV 2010 |
|
롤링 스톤스 | 프린스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브루스 스프링스틴 | 더 후 | |
<rowcolor=#000> XLV 2011 |
XLVI 2012 |
XLVII 2013 |
XLVIII 2014 |
XLIX 2015 |
|
블랙 아이드 피스 | 마돈나 | 비욘세 | 브루노 마스 | 케이티 페리 | |
어셔, 슬래쉬 | LMFAO, 니키 미나즈, 엠아이에이, 시 로 그린 | 데스티니스 차일드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레니 크래비츠, 미시 엘리엇 | |
<rowcolor=#000> 50 2016 |
LI 2017 |
LII 2018 |
LIII 2019 |
LIV 2020 |
|
콜드플레이 | 레이디 가가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마룬 5 |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 | |
비욘세, 브루노 마스, 마크 론슨, 구스타보 두다멜 | Travis Scott, Big Boi | 배드 버니, J Balvin | |||
<rowcolor=#000> LV 2021 |
LVI 2022 |
LVII 2023 |
LVIII 2024 |
LIX 2025 |
|
더 위켄드 | 닥터 드레, 스눕 독, 에미넴, 메리 제이 블라이즈, 켄드릭 라마 | 리아나 | 어셔 | 켄드릭 라마 | |
50 센트, 앤더슨 팩 | 앨리샤 키스, 저메인 듀프리, H.E.R., will.i.am, 릴 존, 루다크리스 | 미정 |
}}} ||
<colbgcolor=#1f2126><colcolor=#feda00> 루다크리스[1] Ludacris |
|
|
|
본명 |
Christopher Brian Bridges 크리스토퍼 브라이언 브리지스 |
출생 | 1977년 9월 11일 ([age(1977-09-11)]세) |
일리노이 주 샴페인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가봉| ]][[틀:국기| ]][[틀:국기| ]] ( 복수국적)[2] |
신체 | 173cm, 77kg |
부모 |
아버지 웨인 브라이언 브리지스 어머니 로베르타 쉴즈 |
배우자 | 유독시 음부기엥[3] (2014년~현재) |
자녀 |
딸 카르마 브리지스(2001년생) 딸 카이 벨라 브리지스(2013년생) 딸 케이던스 가엘 브리지스(2015년생) 딸 챈스 오얄리 브리지스(2021년생) |
친척 |
사촌
모니카 사촌 리처드 프라이어 |
학력 |
오크 파크 리버 포레스트 고등학교 (전학) 센터빌 고등학교 (전학) 배너커 고등학교 (졸업) 조지아 주립대학교 (음악경영학 / 학사) |
직업 | 래퍼, 배우, 사업가, 자선가 |
데뷔 | 1999년 "Incognegro"' |
소속 | |
링크 |
[clearfix]
1. 개요
Let me explain, nothing’s been new since Big Daddy Kane
내가 말해줄게, Big Daddy Kane 이후로 아무것도 바뀐게 없어
Flows will get recycled passed around to different names
플로우는 재활용 되면서 다른 이름들로 전해 내려왔지
But what’s the same, that every verse I spit is insane
하지만 항상 같은건, 내가 뱉는 모든 절들이 미쳤다는거야
(중략)
See I’m ya past, I’m ya future and ya present
야, 난 너의 과거야, 난 너의 미래고 너의 현재야
So watch ya fucking mouth when you speak about a legend
그러니까 씨발 입 조심 좀 해, 니가 전설을 논할 때는 말야
Ludacris - Bada Boom 中[4] #
내가 말해줄게, Big Daddy Kane 이후로 아무것도 바뀐게 없어
Flows will get recycled passed around to different names
플로우는 재활용 되면서 다른 이름들로 전해 내려왔지
But what’s the same, that every verse I spit is insane
하지만 항상 같은건, 내가 뱉는 모든 절들이 미쳤다는거야
(중략)
See I’m ya past, I’m ya future and ya present
야, 난 너의 과거야, 난 너의 미래고 너의 현재야
So watch ya fucking mouth when you speak about a legend
그러니까 씨발 입 조심 좀 해, 니가 전설을 논할 때는 말야
Ludacris - Bada Boom 中[4] #
Yeah, I can only imagine what you goin through ladies.
너희들이 겪은 일을 난 상상밖에 할 수 없을 거야.
Sometimes I feel like runnin away myself
가끔은 나도 나 자신으로 부터 도망가고 싶은 기분이 들곤해.
So do me a favor right now and close your eyes
그러니 지금 부탁 하나 할 테니 눈을 감아봐.
And picture us runnin away together.
그리고 우리가 함께 도망치는 모습을 상상해.
When we come back everything gonna be okay.
다시 돌아왔을 땐 모든 게 괜찮아질 거야.
Open your eyes.
이제 눈을 떠.
Ludacris - Runaway Love (Feat.Mary J.Blige) 中[5]
너희들이 겪은 일을 난 상상밖에 할 수 없을 거야.
Sometimes I feel like runnin away myself
가끔은 나도 나 자신으로 부터 도망가고 싶은 기분이 들곤해.
So do me a favor right now and close your eyes
그러니 지금 부탁 하나 할 테니 눈을 감아봐.
And picture us runnin away together.
그리고 우리가 함께 도망치는 모습을 상상해.
When we come back everything gonna be okay.
다시 돌아왔을 땐 모든 게 괜찮아질 거야.
Open your eyes.
이제 눈을 떠.
Ludacris - Runaway Love (Feat.Mary J.Blige) 中[5]
Move B**** Get Out Da Way
본명은 크리스토퍼 브리지스(Christopher Bridges).
1977년
9월 11일 생.미국의 래퍼 겸 배우. 일리노이 주 샴페인 출신이다. 팬들에겐 래퍼로서의 인지도가 더 높다. 주로 경쾌한 랩을 하는 게 특징. 애틀랜타를 기반으로 라디오 DJ를 하다가 래퍼로 변신하였다. 그의 랩스킬과 플로우는 데뷔 때부터 정상급이었고 유머러스한 캐릭터로서 크게 히트했다. 배우로도 활발히 활동 중.
2. 상세
지역 라디오 DJ로 활동하다가 1998년 Timbaland의 솔로 1집 "Tim's Bio: From The Motion Picture - Life From Da Bassment"의 11번 트랙 "Phat Rabbit"을 통해 래퍼로 정식 데뷔했다.[6]이듬해 첫 음반 "Incognegro"가 발매되었고 이게 어느 정도 인기를 끌자 메이저 레이블 데프 잼과 계약했다.
2000년 10월에 데프 잼을 통해 데뷔 앨범 " Back for the First Time"이 발매되었다. 첫 주에 133,000장이, 총 310만 장이 팔렸다. 싱글 What's Your Fantasy와 Southern Hospitality가 크게 히트했고 Stick 'Em Up과 같은 앨범 수록곡들도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이때부터 프리스타일 랩이 앨범마다 1개씩 들어가게 되었다.
2001년 11월엔 2집 " Word of Mouf"가 발매되었다. 앨범 커버가 전작에 비해 매우 재미있어졌고, 더 큰 성공을 거뒀다. 첫 주 판매량 281,000장에 총 367만 장이 팔렸다. 발매된 싱글 Area Codes, Rollout (My Business), Saturday (Oooh! Ooooh!), Move Bitch가 모두 큰 인기를 얻었으며 평단들도 전작보다 더 높은 평가를 내렸다.
2003년 10월에 발매된 3집 " Chicken-n-Beer" 역시 유쾌한 앨범 커버로 유명하며, 첫 주에 429,000장이 팔려 빌보드 200에서 1위 데뷔했다. 싱글 Stand Up, Splash Waterfalls, Diamonds in the Back이[7] 대히트했고 P-Poppin, Blow It Out도 인기 있었다. 앨범 구성이 아주 잘 되어있는데 루다크리스 최고의 명반으로 볼 수 있으며, 메타크리틱 75점을 받았다.
4집 " The Red Light District"가 2004년 12월에 발매되었고, 첫 주 판매량 322,000장을 기록하며 빌보드 200에서 1위로 데뷔했다. 첫 싱글 Get Back, 두번째 싱글 Number One Spot, 네번째 싱글 Pimpin' All Over the World는 전국적으로 히트했고 The Potion과 Blueberry Yum Yum도 적당한 인기를 끌었다. 메타크리틱에선 70점을 받는 등 음악성도 인정받았다. 16번 트랙 "Virgo"는 나스의 7집 Street's Disciple의 2번째 디스크의 4번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2006년 9월엔 5집 " Release Therapy"를 발매했으며 음악적으로도 크게 변화했다. 루다 특유의 유머를 쫙 빼고 만든 앨범이며 하드코어 남부 랩, 더리 랩, 컨셔스 랩, R&B 피쳐링을 쓴 발라드 랩, 가스펠 랩 등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했다. 10번 트랙 "War with God"은 T.I.에 대한 디스곡. 앨범은 첫 주에 309,000장이 팔렸고 빌보드 200에서 1위에 데뷔했다. 첫 싱글 Money Maker는 핫 100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메타크리틱에선 60점을 받았다.
6집 " Theater of the Mind는 2008년 11월에 발매됐다. 첫 주에 214,000장이 팔린 앨범이며 피쳐링진이 특히 화려하다. 플로이드 메이웨더, T.I., T-Pain, 더 게임, 릭 로스, 크리스 락, 크리스 브라운, 플라이스, 제이미 폭스, 릴 웨인, 나스, Jay-Z, 커먼, 스파이크 리 등등 거물급 래퍼/유명인들이 앨범에 참여했다. 티페인의 오토튠 보컬이 인상적인 "One More Drink", 크리스 브라운과 션 개럿이 피쳐링한 클럽 힙합 "What Them Girls Like"가 크게 히트했다.
6집 작업을 통해 T-Pain과도 친분을 쌓아 그의 곡 "Chopped N Skrewed"에 피쳐링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2009년 12월에 발매한 선공개 싱글 "How Low"가 빌보드 핫 100 10위권에 들었고, 2010년 3월에 7집 앨범 " Battle Of The Sexes"가 발매되었다. 첫 주에 137,300장이 팔리며 빌보드 200에 1위 데뷔했다. 두 번째 싱글인 'My Chick Bad'는 니키 미나즈의 참여로 눈길을 끌었고 R&B/Hip-Hop 차트 1위에 오르기도 했다.[8] 세 번째 싱글 "Sex Room"은 트레이 송즈가 피쳐링한 R&B 힙합인데 역시 큰 인기를 얻었다. 앨범은 메타크리틱 68점을 기록했다.
2015년 3월에 8집 "Ludaversal"이 발매됐고, 첫 주 판매량 73,000장을 기록하며 빌보드 200에서 3위로 데뷔했다. 메타크리틱 63점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Big K.R.I.T., Miguel 등의 신세대 래퍼/가수를 피쳐링으로 쓰기도 했다.
의외로 디스전에도 능하다. 웬만한 래퍼들도 쉽게 못 건드리는 남부 힙합의 제왕 T.I.와 겨룬 적도 있고, 멋 모르고 건드린 빅 션을 Bada Boom으로 한방에 조져버렸다.
분노의 질주 시리즈에선 테즈 파커 역으로 꾸준히 출연 중이다. 연기도 잘하는데다 특유의 입담 때문에 평이 좋다.[9]
닥터 드레의 헤드폰에 영감을 받았는지 본인도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Soul By Ludacris)'라는 헤드폰 시리즈를 내놓았다. 가격과 디자인, 저음 성향도 Beats와 비슷하다. 2012년에 빅뱅 5집에 맞춰서 빅뱅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했다.[10]
2014년 50 센트한테 지목당해 LA 공연에서 아이스 버킷 챌린지를 했다.
3. 평가
래퍼로서의 역량은 최고 수준으로, JAY-Z나 에미넴처럼 그보다 랩을 잘한다고 평가 받는 래퍼들도 꽤나 구린 벌스를 내놓는 등 기복이 있었는데 버스타 라임즈와 더불어 실망스럽다고 까인 벌스가 없는 래퍼로 꼽힌다. 실력 자체도 그렇지만 색깔이 아주 진하고 세련되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남부에서 가장 세련된 랩을 구사하며 그 특유의 박자감과 완벽에 가까운 남부식 억양처리가 훅에까지 색이 고스란히 배여서 훅만 들어도 '아 이건 루다구나'하고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 탓에 단체곡에서 엄청나게 강하다. 루다랑 같은 곡에 나와서 존재감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잘하는 래퍼라는 증명이 될 정도.
DJ 드라마의 We In This Bitch, DJ Khaled의 Welcome To My Hood 리믹스와 I'm So Hood 등에서는 유수의 랩퍼들을 제끼고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낸 바 있다. 에미넴, 버스타 라임즈 등 그보다 랩을 잘해도 루다보다 기억에 잘 남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인 곡들. 무엇보다도 발성이 너무나도 압도적이다.
MMG의 건 플레이, 에미넴과 더불어 발성 깡패로 유명하다. 때문에 라이브도 압도적이며, 특유의 속사포와 스킬 때문에 리드머에서는 '힙합 역사상 최고의, 전무후무한 랩 퍼포머'라고까지 평했을 정도. 앞서 말한 색깔과 어떤 분위기, 어떤 장르든 딱 거기에 맞게 랩을 하는 재주가 있다는 점도 이 평가에 일조했다. 일례로, 나스의 made you look 라이브에서 여유있게 등장해서 엄청난 무대를 보여줬다.
하지만 앨범을 잘 못 뽑는다는 평. 그런데 사실 이 말도 어느 정도 재고되어야 한다. 아래는 힙합 엘이 아티스트 열전 루다크리스 편의 일부다.
"루다크리스(Ludacris)를 두고 혹자는 '16마디 랩퍼, 피쳐링 랩퍼다', ‘앨범 단위로는 아쉽다’는 이야기를 종종 한다. 하지만 그가 정말 '앨범 단위'라는 조금은 애매한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아쉬운 랩퍼가 맞는지 나는 의문이다. 그의 첫 앨범과 두 번째 앨범은 트리플 플래티넘을, 세 번째, 네 번째 앨범은 더블 플래티넘을, 그리고 그 다음 앨범은 플래티넘과 두 번의 골드를 기록해냈다. 그는 정말 16마디 랩퍼일까? 그런 그가 그래미를 거머쥘 수 있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루다크리스는 그렇게 만만한 랩퍼가 아니다. 티아이(T.I.)가 개겼어도, 다른 애틀란타의 랩퍼들이 서로 자신이 최고(king)라고 외치더라도, 루다크리스는 그런 모습들을 보며 그냥 너털웃음을 지을 수 있을 정도의 아티스트다."
하지만 비트 초이스가 망이라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놀림당하는 요소다. 흔히들 랩을 엄청 잘하면 "와, 이 사람은 아무 비트에나 랩해도 쩔겠다"고 하는데 진짜 아무 비트에다 랩을 하는 사람이 바로 루다다. 이건 8집 루다버설에서 많이 극복을 했는데 여기서는 설교조의 가사가 진부해졌다는 평.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 Incognegro (1999)
- Back for the First Time (2000)[11]
- Word of Mouf (2001)[12]
- Chicken-n-Beer (2003)[13]
- The Red Light District (2004)[14]
- Release Therapy (2006)[15]
- Theater of the Mind (2008)[16]
- Battle of the Sexes (2010)[17]
- Ludaversal (2015)[18][19]
4.2. 싱글
4.2.1. 빌보드 핫 100 1위
- Stand Up (2003)
- Yeah! (2004)[20]
- Money Maker (2006)[21]
- Glamorous (2007)[22]
- Break Your Heart (2009)[23]
4.2.2. 빌보드 핫 100 2위
- Oh (2005)[24]
- Runaway Love (2006)[25]
4.2.3. 빌보드 핫 100 3위 ~ 10위
- Move Bitch (2002) - 10위
- Gossip Folks (2002) - 8위[26]
- Holidae In (2003) - 3위[27]
- Splash Waterfalls (2004) - 6위
- Lovers and Friends (2004) - 3위[28]
- Pimpin' All Over the World (2005) - 9위
- Unpredictable (2005) - 8위[29]
- Baby (2009) - 5위[30]
- How Low (2010) - 6위
- Tonight (I'm Lovin' You) (2010) - 4위[31]
- Dirt Road Anthem (2011) - 7위[32]
4.2.4. 빌보드 핫 100 11위 ~ 20위
- One Minute Man (2001) - 15위[33]
- Rollout (My Business) (2001) - 17위
- Get Back (2004) - 13위
- Sugar (Gimme Some) (2005) - 20위[34]
- Number One Spot (2005) - 19위
- My Chick Bad (2010) - 11위
4.2.5. 빌보드 핫 100 21위 ~ 40위
- What's Your Fantasy (2000) - 21위
- Southern Hospitality (2000) - 23위
- Area Codes (2001) - 24위
- Saturday (Oooh Ooooh!) (2002) - 22위
- Welcome to Atlanta (2002) - 35위
- Act a Fool (2003) - 32위
- Georgia (2005) - 39위
- What Them Girls Like (2008) - 33위
- Chopped 'n' Skrewed (2008) - 27위[35]
- One More Drink (2008) - 24위
- How Do You Sleep? (2009) - 26위[36]
- All I Do Is Win (2010) - 24위[37]
- All Around the World (2013) - 22위[38]
4.2.6. 빌보드 핫 100 41위 ~ 100위
- Bia' Bia' (2001) - 94위[39]
- Fatty Girl (2001) - 87위
- B R Right (2002) - 83위[40]
- Hot & Wet (2003) - 70위[41]
- Diamond in the Back (2004) - 94위
- Shake Dat Shit (2004) - 63위[42]
- Need a Boss (2006) - 62위[43]
- Get Buck in Here (2007) - 41위[44]
- Last of a Dying Breed (2008) - 65위
- Regret (2009) - 78위[45]
- Ride (2010) - 42위[46]
- Sex Room (2010) - 69위
- Porn Star Dancing (2010) - 90위[47]
- Little Bad Girl (2011) - 70위[48]
- Wet the Bed (2011) - 77위[49]
- Tonight (Best You Ever Had) (2012) - 79위[50]
- Representin (2012) - 97위
- Rest of My Life (2012) - 72위
- Helluva Night (2013) - 96위
- Good Lovin (2014) - 91위
- The Champion (2018) - 47위[51]
5. 필모그래피
6. 여담
- 어렸을 때부터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팬이었다.
[1]
이름의 기원은 ludicrous에서 따옴. 뜻은 : 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
[2]
2020년 1월 4일, 자신을 포함한 가족 모두가 아내의 고향인
가봉의 국적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3]
Eudoxie Mbouguiengue. 유명 모델이자 소셜 미디어 스타
인스타그램
[4]
빅 션,
드레이크가 신경을 건드리자 내놓은 디스곡. 압도적인 실력으로 찍어누르는 루다의 자신감이 일품이다.
[5]
루다크리스의 5집 수록곡. 각기 다른 3명의 여자가 저마다 아픈 스토리를 갖고 집을 떠나 멀리 도망치는 내용의 노래. 루다의 지금까지의 평균적인 음악 스타일을 고려했을 때 꽤 드문 감성 랩송이다.
[6]
이 곡은 2년 후 루다크리스의 데뷔 앨범에도 1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7]
윌리엄 드본의
Be Thankful for What You Got을 샘플링한 곡이다.
[8]
핫 100 11위
[9]
원래 2편에서 게스트 역할로 출연했는데, 어쩌다보니까 계속 불려서 출연 중이다.
[10]
현재 소울바이루다크리스 코리아는 철수 상태다.
[11]
빌보드 200 4위
[12]
빌보드 200 3위
[13]
빌보드 200 1위
[14]
빌보드 200 1위
[15]
빌보드 200 1위
[16]
빌보드 200 5위
[17]
빌보드 200 1위
[18]
빌보드 200 3위
[19]
싱글컷으로 나온 타이틀곡인 Rest Of My Life는
분노의 질주: 더 맥시멈의 엔딩 타이틀로 사용되었다.
[20]
어셔의 곡을
Lil Jon과 함께 피처링, 12주 연속 1위, 2004년 연말 차트 1위, 2000년대 총결산 2위를 기록한 초대형 히트곡이며
Crunk 음악 전성 시대의 시작을 알린 곡이다.
[21]
퍼렐 윌리엄스가 피처링을 했다.
[22]
퍼기의 곡을 피처링.
[23]
Taio Cruz의 곡을 피처링.
[24]
Ciara의 곡에 피처링
[25]
메리 제이 블라이즈가 피처링을 했다.
[26]
Missy Elliott의 곡에 피처링
[27]
Chingy의 곡을
Snoop Dogg과 함께 피처링
[28]
Lil Jon & the East Side Boyz의 곡을
Usher와 함께 피처링
[29]
Jamie Foxx의 곡을 피처링
[30]
저스틴 비버의 곡을 피처링.
[31]
Enrique Iglesias의 곡을 DJ Frank E와 함께 피처링
[32]
Jason Aldean의 곡에 피처링
[33]
Missy "Misdemeanor" Elliott의 곡을 Trina와 함께 피처링
[34]
Trick Daddy의 곡을
Lil' Kim, CeeLo Green과 함께 피처링
[35]
T-Pain의 곡에 피처링
[36]
Jesse McCartney의 곡에 피처링
[37]
DJ Khaled의 곡을
T-Pain,
Snoop Dogg,
Rick Ross과 함께 피처링
[38]
Justin Bieber의 곡에 피처링
[39]
Lil Jon & the East Side Boyz의 곡을
Too $hort, Big Kap, Chyna Whyte과 함께 피처링
[40]
Trina의 곡에 피처링
[41]
112의 곡에 피처링
[42]
Shawnna의 곡에 피처링
[43]
Shareefa의 곡에 피처링
[44]
DJ Felli Fel의 곡을
Diddy,
Akon,
Lil Jon과 함께 피처링
[45]
LeToya의 곡에 피처링
[46]
Ciara의 곡에 피처링
[47]
My Darkest Days의 곡을 Chad Kroeger, Zakk Wylde와 함께 피처링
[48]
David Guetta의 곡을 Taio Cruz와 함께 피처링
[49]
Chris Brown의 곡에 피처링
[50]
John Legend의 곡에 피처링
[51]
Carrie Underwood의 곡에 피처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