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1 16:34:56

슈퍼로봇대전 OG 디 인스펙터

디 인스펙터에서 넘어옴
파일:슈퍼로봇대전 로고 (일본어).png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등장작품 · 아군부대 · 사기유닛 · 사기유닛(휴) · 보스 · 평행우주 · 음악 · 더미 데이터
<colbgcolor=#000042> DC 전쟁 시리즈 <colbgcolor=#ffffff,#2d2f34> 2차 · 2차 G · 3차 · EX · 4차 · 4차 S · 마장기신 · F · F 완결편 · 컴플리트 박스 · 전시대백과
α 시리즈 1차 · 외전 · 2차 · 3차
Z 시리즈 1차 · 스페셜 · 2차 파계편 · 2차 재세편 · 3차 시옥편 · 3차 천옥편
OG 시리즈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COMPACT 시리즈 1편 · 2편 · 3편 · IMPACT
에이아이 휴대용 시리즈 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A · R · D · J
파일:닌텐도 DS 로고.svg 파일:닌텐도 DS 로고 화이트.svg W · K · L
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svg 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 화이트.svg AP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 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UX · BX
멀티플랫폼 뉴 시리즈 V · X · T · 30
거치형 3D 시리즈 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svg 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 화이트.svg GC
파일:Xbox 360 로고.svg XO
파일:Wii 로고.svg NEO
스크램블 커맨더 시리즈 SC · SC2
모바일 시리즈 모바일 · CC · X-Ω · DD( 3차 어나더)
그 외 1차 · · 스피리츠 · 64 · 링크 배틀러 · 핀볼 · MX · OE · 학원
관련 작품 콤파치 히어로 시리즈 · 배틀로봇열전 · 리얼로봇전선 · 리얼로봇 레지먼트 · A.C.E. 시리즈
시스템 강화 파츠 · 성장 타입 · 성격 · 맵병기 · 합체공격 · 소대 시스템 · 정신 커맨드 · 신뢰보정 · 소대 시스템 · 스킬 · 특수능력 · 범용 무기
}}}}}}}}} ||
파일:SRW_OGs_LOGO.png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OG 시리즈 본편
<colbgcolor=#cccccc,#010101> Episode 1
- Divine Wars -
슈퍼로봇대전 OG1
(2002) 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슈퍼로봇대전 OG ORIGINAL GENERATIONS
(2007) 파일:PlayStation 2 로고.svg
(OG+OG2 합본 리메이크)
Episode 2
- The Inspector -
슈퍼로봇대전 OG2
(2005) 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Episode 2.5
- Unified Wisdom -
슈퍼로봇대전 OG 외전
(2007) 파일:PlayStation 2 로고.svg
Episode 3
- Gaia Saviors -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2012)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슈퍼로봇대전 OG 다크 프리즌
(2013)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Episode 4
- The Moon Dwellers -
슈퍼로봇대전 OG 문 드웰러즈
(2016)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슈퍼로봇대전 OG 사가 시리즈
무한의 프론티어
시리즈
무한의 프론티어
(2008) 파일:닌텐도 DS 로고.svg
무한의 프론티어 EXCEED
(2010) 파일:닌텐도 DS 로고.svg
마장기신
시리즈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 (2010) 파일:닌텐도 DS 로고.svg 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svg
마장기신 2 REVELATION OF EVIL GOD (2012) 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svg
마장기신 3 PRIDE OF JUSTICE (2013)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
마장기신 F COFFIN OF THE END (2014)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코믹스 초기인 용호왕전기 (2002)
기타 미디어믹스
OVA 슈퍼로봇대전 OG OVA (2005)
TVA 슈퍼로봇대전 OG 디바인 워즈 (2006) 슈퍼로봇대전 OG 디 인스펙터 (2010)
코믹스 슈퍼로봇대전 OG 크로니클 (2005) 슈퍼로봇대전 OG Record of ATX (2007)
소설 슈퍼로봇대전 OG 고사조전기 (2012)
게임 슈퍼로봇대전 OG INFINITE BATTLE (2013)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
관련 항목
관련인물 사카타 마사히코 테라다 타카노부
모리즈미 소이치로
코우노 사치코 이토이 미호
관련항목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오리지널
※ 이탤릭체 항목은 종료된 프로젝트인 구 OG 시리즈입니다.
}}}}}}}}}}}} ||
슈퍼로봇대전 OG 디 인스펙터 (2010~2011)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OG ジ・インスペクター
파일:슈퍼로봇대전OG디인스펙터_애니키비주얼.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거대로봇, SF
원작 SR 프로듀스 팀
감수 테라다 타카노부
모리즈미 소이치로
감독 오오바리 마사미
시리즈 구성 타케다 유이치로(竹田裕一郎)
야츠후사 타츠노스케(八房龍之助)
캐릭터 원안 코우노 사치코
사이토 카즈에(斉藤和衛)
캐릭터 디자인 에바타 리사
야마네 마사히로
하마사키 켄이치(浜崎賢一)
오오고모리 유키히토(大籠之仁)
메카닉 디자인 미야타케 카즈타카(宮武一貴)
카토키 하지메
아키타카 미카
야마네 마사히로
코토부키 츠카사(ことぶきつかさ)
사이토 카즈에
후지이 다이세이(藤井大誠)
후지와라 마사유키(富士原昌幸)
모리야 준이치(守谷淳一)
스기우라 토시오(杉浦俊朗)
안도 히로시(安藤 弘)
오노 세이지(小野聖二)
카나마루 진(金丸 仁)
츠치야 히데히로(土屋英寛)
오오바리 마사미
오오카와라 쿠니오
프로덕션 디자인 나카키타 코지(中北晃二)
총 작화감독 카바시마 요스케 (캐릭터)
야마네 마사히로 (메카닉)
미술 감독 노무라 마사노부(野村正信)
색채 설계 사이토 마키(斉藤麻記)
촬영 감독 와다 나오유키
편집 요시타케 마사토(吉武将人)
음악 테라다 시호(寺田志保)
쿠리야마 요시치카(栗山善親)
유무라 와타루(湯村 渉)
오카다 사토루(岡田さとる)
츠루야마 나오후미(鶴山尚史)
하나오카 타쿠야(花岡拓也)
마츠시마 카요코(松島加代子)
음향 감독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프로듀서 무토 타카시(武藤 誉)
마츠무라 히로시(松村 浩)
쿠니사키 히사노리(国崎久徳)
고토 노리타카(後藤能孝)
테라다 타카노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소네 코지(曽根考治)
애니메이션 제작 아사히 프로덕션
제작 SRWOG PROJECT
방영 기간 2010. 10. 02. ~ 2011. 04. 0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KBS 교토 / (토) 01: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특징
2.1. 오프닝 특이사항
3. 음악
3.1. 주제가
3.1.1. OP13.1.2. ED13.1.3. OP23.1.4. ED2
3.2. 삽입곡
4. 회차 목록5. 평가6. 원작과의 차이점7. 원작으로의 설정/연출 역수입

[clearfix]

1. 개요

2010년 10월 2일 방영에 들어간 슈퍼로봇대전 OG의 두 번째 TVA이다. 감독은 오오바리 마사미.

2. 특징

슈퍼로봇대전 OG2의 이야기를 다룰 예정. 참고로 디 인스펙터란 부제는 OG2가 슈퍼로봇대전 OGs로 리메이크되면서 붙은 부제로, 인스펙터뿐만 아니라 아인스트도 포함한다.

사실상의 전작인 슈퍼로봇대전 OG 디바인 워즈의 로봇디자인이 3D였던 점이 단점이어서인지 이번작에서의 로봇의 작화는 대다수 2D로 나온다. 다만 양산형 적들은 여전히 3D. 퀄리티는 양심이 없다고 밖에 생각 안 되던 전작에 비해서 매우 많이 높아졌다.

전작의 각본을 업계의 프로가 아닌 테라다를 비롯한 SR 프로듀스 팀이 담당했다가 말아먹은 경험을 상기했는지 이번에는 프로 라이터인 타케다 유이치로(대표작: 용자왕 가오가이가)가 각본을 담당하고, 슈퍼로봇대전 OG Record of ATX로 호평을 받은 만화가 야츠후사 타츠노스케가 보조 각본 및 연출을 담당한다. 또한 이야기도 원작에 비해서 많이 수정되었다. 타케다 유이치로는 이 작품 이후로 테라다의 마음에 들어 OG 시리즈의 각본을 책임지는 총괄 작가로 기용되는데 이것이 훗날 OG 시리즈에 큰 재앙을 부르고 말았다. 자세한건 이 항목 이 항목을 참조.

캐릭터 원안은 코우노 사치코 [1], 디자인은 마크로스F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던 에바타 리사가 담당한다. 그 외의 제작진들도 메카 작화 감독 야마네 마사히로, 요시다 토오루, 카토키 하지메를 비롯해서 전부 이 바닥에선 알아주는 전문가들.[2] 덕분에 전투씬 연출은 끝내준다. 여러 올스타급 애니메이션 제작진들이 우루루 아르바이트 하는 개념으로 참가했었다. 다만 에바타 리사 특유의 그림체가 강해서 호불호가 갈린다. 여성 캐릭터들의 특정부위 강조가 매우 심한거야 그냥 넘어가더라도이건 오히려 좋다 , 남자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느끼한 얼굴을 하고 있다.

감독은 단쿠가 노바와 초중신 그라비온의 감독이었던 오오바리 마사미. 그래서 팬들의 유일한 걱정은 과연 오오바리가 작품을 이전 그의 작품처럼 삼천포로 빠트리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다만 전자의 두 작품과 달리 이 작품은 이야기를 오오바리가 담당하지 않으며 화려한 제작진들이 뒷받침해줘 심각하게 말아먹지는 않았다.
감독 성향 때문인지 에로 코드도 간간히 등장. 엔딩에서 여러 명 벗겨놓은 것은 물론, 엑셀렌, 소피아 네트, 오우카, 제오라 등이 전라 아니면 반라로 등장하였으며,(가릴 부분은 다 가렸지만) 라투니는 로리에 가까운 이미지라 판치라까지만 나온다.

참고로 주제가는 모두가 예측한대로 잼 프로젝트가 맡았다. 그런데 엔딩 담당은 미사토 아키. 디바인 워즈의 14화 이후의 라인업과 동일하다!

슈퍼로봇OG 라디오 우마스기 WAVE의 제작진들이 다수 투입되었다. 사이토 리에 에리 안자이로 배치되었고 아이자와 마이는 하가네의 새 여성 오퍼레이터 아즈키 사와로 배치되었다. 그 외에 기존에 성우가 없던 캐릭터에 성우가 배치되었는데 미츠코 이스루기 역으로 세츠코 오하라역의 타카구치 유키코, 브라이언 대통령으로 하야미 쇼 등의 성우가 배치되었다.

어째선지 뒤로 갈수록 기체의 작화는 나아지는데 비해, 캐릭터의 작화는 망가진다. 그래도 최후반부인 24화부터는 캐릭터의 작화도 상당히 좋아졌다. 마지막이라고 잘 때려박은 듯. 후에 다시 나온 수정판에서는 일부 작붕이 개선되었다.

초중반부에는 BGM 연출이 후지다는 평이 많았다. 게임의 BGM을 그대로 때려박은건 무척 좋았는데, 등장할 때 잠깐 나오다가 흐름에 안맞게 끊어서 신경이 거슬린다는 것.[3] 이는 제작진의 피드백이 있었는지 나중에 가면 좀 나아진다.

이 외에 8월 발매된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의 힌트가 작중에 숨겨져 있었고 제작진도 몇번씩 공언했었다. 2차 OG 한정판으로 게임과 같이 애니 전편을 같이 동봉되었는데 결과적으로 이게 신의 한수가 되었다.

2.1. 오프닝 특이사항

2쿨 26화 애니로써는 특이하게 오프닝이 안바뀌는 줄 알고 있었으나 제작진은 기존 오프닝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후속기체가 나올 때마다 오프닝을 조금씩 업데이트(?)하여 방영했다.

예를 들어 라미아가 바이사가를 획득 한 다음부터는 오프닝 라미아 부분에서 안쥬르크가 빠지고 바이사가로 대체되었으며, 엑셀렌이 라인 바이스릿터를 얻은 후로는 노멀 바이스릿터가 빠지고 라인으로 대체되었다.

대부분 사람들은 쿄스케의 후속기체인 리제가 늦게 나오는 점을 미루어 그냥 위와 같은 씬 교체만 있을 줄 알았으나...

23화에 리제를 얻고 나서부터 24화에서 오프닝 노래가 바뀌면서 기존 캐릭터에 새로운 캐릭터를 넣은 신오프닝으로 바뀌었다. 26화가 끝인데. 그리고 잘해야 세번 나올 이 오프닝은 단 두 번밖에 전파를 타지 못했다.[4]

3. 음악

3.1. 주제가

3.1.1. OP1

OP1 (1~23화)
MAXON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JAM Project
작사 카게야마 히로노부
작곡
편곡 IKUO
테라다 시호(寺田志保)
쿠리야마 요시키(栗山善親)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오바리 마사미
연출
메카닉 작화감독
캐릭터 작화감독 카바시마 요스케
원화 아메미야 아키라, 사이토 요시나리, 야마네 마사히로, 오오고모리 유키히토(大籠之仁), 코우노 사치코, 오오바리 마사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3.1.2. ED1

ED1 (1~16화)
僕らの自由
우리들의 자유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사토 아키
작사 야마다 타카히로(山田高弘)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1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바시마 요스케
연출
작화감독
원화 니시다 아사코, 카바시마 요스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5, 1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바시마 요스케
연출
작화감독
원화 니시다 아사코, 코바야시 아케미, 코우노 사치코, 카바시마 요스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엔딩에 등장한 인물들을 선정한 건 오오바리 마사미 카바시마 요스케. 이중 오우카 나기사를 넣은 건 오오바리 감독의 취향이란다. 그리고 중간에 등장한 개 '소이치로'는 오오바리 감독이 옛날에 기르던 개가 모티브이며 이름의 어원은 모리즈미 소이치로라고 한다. 물론 본인에게는 비밀로 했지만. 이외에도 딴 인물들이 수영복 차림인데 라투만 유일하게 스쿨미즈인 이유는 스쿨 출신이라서. 그리고 이 엔딩은 남성.ver도 기획되었다고 한다.

15화 한정으로 막판에 따로 젠가 존볼트 레첼 파인슈메커가 나오는데 하필이면 젠가는 훈도시를 착용한 상태이고 연출도 카메라 앵글을 하반신부터 위쪽으로 올리는 방식이라 시청자들이 단채로 OME를 당했다고 한다.

3.1.3. OP2

OP2 (24, 25화)
流星Lovers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JAM Project
작사 카게야마 히로노부
작곡
편곡 테라다 시호(寺田志保)
쿠리야마 요시키(栗山善親)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오바리 마사미
연출
메카닉 작화감독
캐릭터 작화감독 카바시마 요스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3.1.4. ED2

ED2 (17~26화)
最後の旅
최후의 여행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사토 아키
작사 하타 아키
작곡 쿠로스 카츠히코(黒須克彦)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7, 1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오바리 마사미
연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9~2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바시마 요스케
연출
작화감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3.2. 삽입곡

10화 삽입곡
Fairy Dang-Sing〜月下に妖精は舞う
Fairy Dang-Sing~월하에 요정은 춤추다~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히라이 리코(平井理子)
카이하라 레나(貝原怜奈)
작사 테라다 타카노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 회차 목록

  • 제목이 모두 오프닝의 가사나 게임내에서 쓰인 문장들이다.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5]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373a3c,#dddddd> 캐릭터 메카
STAGE 01[6] 赤い衝撃
붉은 충격
타케다 유이치로
(竹田裕一郎)
야츠후사 타츠노스케
(八房龍之助)
오오바리 마사미 카바시마 요스케 스즈키 후지오
(鈴木藤雄)
2010.10.02.
STAGE 02 未知なる声
미지의 목소리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大籠之仁)
야마네 마사히로 2010.10.09.
STAGE 03 背負った十字
등에 진 십자가
타케다 유이치로 요시다 토오루 타니구치 모리야스
나카지마 요시코
카바시마 요스케
나카자와 유이치
(中澤勇一)
2010.10.16.
STAGE 04 絆と約束
인연과 약속
하야시 야스히로
(林 康弘)
토코로 토모카즈
(ところともかず)
마츠오카 히데아키
(松岡秀明)
카와하라 토모히로
(川原智弘)
2010.10.23.
STAGE 05 DCの名の下に
DC의 이름 아래
오쿠노 히로유키
(奥野浩行)
이시다 사요
(石田さよ)
야마모토 사와코
(山本佐和子)
2010.10.30.
STAGE 06 桜花幻影
앵화환영
토요마스 타카히로
(豊増隆寛)
쿠도 히로아키
(工藤寛顕)
스즈키 칸타 2010.11.06.
STAGE 07 黒の潛入者
흑의 잠입자
야츠후사 타츠노스케
타케다 유이치로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오오바리 마사미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이카이 카즈유키[7]
오오고모리 유키히토[8]
2010.11.13.
STAGE 08[9] 凶鳥の眷属
흉조의 권속
타케다 유이치로 오하라 마사카즈
(織原真盃)
오오바리 마사미 야마네 마사히로 오오바리 마사미 2010.11.20.
STAGE 09 インスペクター
인스펙터
요시다 토오루 에비스 요키
(胡 陽樹)
이카이 카즈유키
나카자와 유이치 2010.11.27.
STAGE 10 月下に妖精は舞う
월하에 요정이 춤추다
야츠후사 타츠노스케
타케다 유이치로
토요마스 타카히로 타카다 마사히로
(高田昌宏)
코노 요시타카
(河野悦隆)
시게타 사토시
이치카와 케이조
(市川敬三)
2010.12.04.
STAGE 11 ハルパーの鎌
하르파의 낫
타케다 유이치로 토코로 토모카즈 이카이 카즈유키
오쿠노 히로유키
니시이 마사노리
(西井正典)
2010.12.11.
STAGE 12 シャドウミラー
쉐도우 미러
하야시 야스히로 노부타 유우 오구라 노리코
(小倉典子)
무라마츠 히사오
(村松尚雄)
사노 타카유키
(佐野誉幸)
2010.12.18.
STAGE 13 楽園からの追放者
낙원에서의 추방자
오하라 마사카즈 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아이사카 나오키
(相坂ナオキ)
츠즈쿠 류지
(都竹隆治)
2010.12.25.
STAGE 14 汚れのないその瞳で
더러움 없는 그 눈으로
나이토 메이고
(内藤明吾)
야부키 츠토무
(矢吹 勉)
카네코 마사쿠니
(金子国邦)
이와모토 키료우
(岩本貴玲)
이와노 테츠야
(岩野哲也)
쿠스메기 신야
(久壽米木信弥)
이와키 타카시
(岩木孝司)
카와하라 토모히로
2011.01.07.
STAGE 15[10] 武神装攻 ダイゼンガー
무신장공 다이젠가
오오바리 마사미
니시자와 스스무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오오바리 마사미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오쿠노 히로유키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니시이 마사노리
오오바리 마사미
야마네 마사히로
2011.01.14.
STAGE 16 Only One Crash
온리 원 크래시
니시자와 스스무
오오바리 마사미
사이토 히로야 타케치 토시미츠
(武智敏光)
후지사키 켄지
(藤崎賢二)
2011.01.22.
STAGE 17 鋼鉄の咆哮
강철의 포효
나이토 메이고 나토리 타카히로
(名取孝浩)
이카이 카즈유키
나가사쿠 토모카츠
(永作友克)
나카자와 유이치 2011.01.29.
STAGE 18 誘う鬼火
유혹하는 도깨비불
야마사키 오사무 게시 타카히로
(下司泰弘)
아라오 히데유키
(荒尾英幸)
2011.02.05.
STAGE 19 龍虎王顯現
용호왕 등장
야츠후사 타츠노스케
타케다 유이치로
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나카지마 요시코
테지마 노리코
(手島典子)
이마자키 이츠키
(いまざきいつき)
오오바리 마사미
야마네 마사히로
2011.02.12.
STAGE 20 若き猛禽
젊은 맹금
타케다 유이치로 요시다 토오루 이카이 카즈유키 쿠스메기 신야
이와키 타카시
2011.02.17.
STAGE 21[11] 眠れ地底で
잠들어라 땅의 끝에서
나가오카 야스치카 노부타 유우 타테자키 히로시
에비스 요키
오오모리 히데토시
이와키 타카시
쿠스메기 신야
2011.02.24.
STAGE 22 散りめぺき時知りてこそ
흩날려야 할 때를 알아야
야나기사와 테츠야 코미야마 유미코
(小宮山由美子)
후지타 마사유키
(藤田正幸)
시게타 사토시
아베 무네타카
(阿部宗孝)
2011.03.05.
STAGE 23 堕天使の心
타천사의 마음
오하라 마사카즈 카토 아키라
(加藤 顕)
오쿠노 히로유키 이치카와 케이조
나카자와 유이치
아오야마 마사노리
(青山正宣)
2011.03.12.
[12]
STAGE 24 白き魔星へ
하얀 마성으로
타케다 유이치로
테라다 타카노부
니시자와 스스무
오오바리 마사미
마치타니 슌스케
(町谷俊輔)
오오타카 유타
(大高雄太)
아베 무네타카
스도 신
(須藤 晋)
2011.03.19.
STAGE 25 かつて在りしもの
일찍이 지나가버린 것
요시다 토오루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아라오 히데유키[13]
(荒尾英幸)
오자와 마도카[14]
(小澤 円)
2011.03.26.
STAGE 26[15] 貫け 奴よも速く
꿰뚫어라! 녀석보다 빠르게!
오오바리 마사미
오하라 마사카즈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오오바리 마사미
노부타 유우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카바시마 요스케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오오바리 마사미
니시이 마사노리
야마네 마사히로
2011.04.02.

5. 평가

메카닉 작화는 매우 뛰어난 애니메이션이다. 오오바리 마사미 감독 자신. 야마네 마사히로, 오오모리 히데토시, 시게타 사토시, 요시다 토오루, 나카타니 세이이치, 오오츠카 켄, 아메미야 아키라, 콘노 나오유키, 무타구치 히로키, 토코로 토모카즈 가 참여한다. 특이한 건 애니메이터가 아닌 카토키 하지메가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애니메이터로 참여한 것. 반면 캐릭터 작화의 질이 매우 떨어지는데 캐릭터 작화를 담당한 카바시마 요스케의 그림체가 호불호가 갈리는 것도 있고 나중에는 작화감독이나 하청사가 마구 투입된 걸 생각하면 제작 현장이 상당히 꼬였단 걸 알 수가 있다. 그런 상황에서 캐릭터 작화는 포기하고 메카닉 작화에 몰아주는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원래대로라면 50화가 넘을 이야기를 26화에 다 때려박을려다 보니 생략이나 비중 축소등으로 23화까지 줄거리의 70% 정도 밖에 소화를 못하더니 결국 24화 부터는 서두르는 게 눈에 보일만큼 급 전개를 보여주었다.

결말부분은 디바인 워즈에 이은 제2의 소드마스터 야마토 코스로 인스팩터가 단 2화만에 전원 정리되어 버리는 쾌거와 더불어 원작에도 없는 웬드로의 아인스트화를 달성했다. 일부에선 슈퍼로봇대전이 원래 마지막 보스라인은 고화력 필살기 쏟아부어 순살한다는 것을 들어 게임의 충실한 재현으로 칭하는데 사실 슈퍼로봇대전 게임 극후반부 전개가 보통 이런식인 걸 생각하면 일리가 없는 말은 아니다.

24-25화는 소드마스터였지만 2화 정도만 추가해서 24-25화의 내용을 4편 정도로 나뉘어서 더 만들었으면 소드마스터 이야기는 없었을 것인데 아쉬운 결말이긴 하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코믹스판인 RoA 디 인스펙터가 전작인 디바인 워즈처럼 엉성하게 넘어간 부분을 게임의 설정을 빌려와서 멋지게 보완을 해주고있다.

촉박한 일정 속에서, 전부다 완벽하게 할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몇몇 띄워줄 캐릭터만 철저하게 띄워주고 나머지는 진행상 어쩔 수 없이 구색을 맞춰준 캐릭터가 많다는점에서 비판의 소리가 나왔지만, 게임과는 완전히 다른 영상매체로선 합리적인 선택이였다고 할 수 있다. 제작비화를 밝히면서 이야기하던 것과 그 결과물인 후반부 에피소드를 기억해보면 계획성과 짜임새가 있는 전개였다고 말해주긴 힘들지만 TVA 50화가 넘어갈 내용을 상당히 그럴듯하게 압축시켰다는 건 감안한다면 오히려 이 정도로 나온거는 제작진이 분전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일본에서의 평가도 의외로 나쁘진 않았다. 전체적인 이야기가 너무 급전개였다는 것엔 다들 동의하지만 연출적인 면에서는 훌륭할 정도로 원작재현을 해주고 궁극 게슈펜스트 킥같은 게임 내적 요소도 깨알같이 반영해준데다 비록 비중 면에서는 어쩔수 없다지만 그래도 그 많은 캐릭터들을 하나도 안 자르고 어떻게든 다 출연시킨 것만으로도 대견하다는 것. 그밖에도 제작진들이 굉장히 화려하다보니 작화가 매우 들쑥날쑥(...)하지만 전체적으로 상당한 질을 보여주는데다 전작인 디바인 워즈가 워낙에 실망스럽다보니(...) 상대적으로 더더욱 괜찮아 보이는데다가 이후 발매된 DVD/BD는 방영 당시 문제가 되었던 작붕수정은 물론이고 아예 새로 그리거나 추가컷까지 넣는 등 더더욱 평가가 좋아지고 있다. 특히 호룡왕의 첫 출격에서 그냥 쇳덩어리 드릴로 나와 멋을 깎아먹던 것이 bd에서 그룬가스트 삼식의 것과 흡사한 배리어블 드릴로 바뀌었다. 하지만 애초에 연출이 극히 짧기 때문에 잘 봐야 알수 있다.

끝부분에서 액셀 알마 알피미의 처우, 코우타 아즈마, 휴고 메디오, 토우마 카노우 등의 까메오 등장을 생각하면 OG외전 떡밥을 뿌렸다고 볼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시나리오가 짧은 편인 OG외전이 애니화될 경우, 좀 더 밀도있는 진행을 기대해볼수도 있다. 또한 디바인 워즈에서 유제스 곳초가 게임 보다도 더 먼저 언급이 되었던 걸 생각해보면 훗날에 나올 OG 시리즈에서 베오울프의 등장도 예상해볼수 있다.

이래저래 말이 많았지만 볼거리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로봇 애니메이션의 BD박스로선 예상을 한참 뛰어넘는 수준으로 팔렸다고 웹라디오에서 밝혔다. 디바인 워즈의 실패로 자포자기 하지 않고 심기일전해서 다시 애니메이션화를 시도했던 보람은 확실히 있는 모양. 이 걸 봤을 때 OG외전 애니화도 상당한 가능성이 보인다. 문제는 이 작품 이후의 OG 시리즈 게임 원작은 다 평가가 작살이 나버려서 애니화해도 잘나갈지 의문이라는 것.

6. 원작과의 차이점

  • 프롤로그에서 엑서런스 팀에 관한 이야기는 제외되었으며, 본작에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 리 린쥰과 시로가네가 섀도우 미러에 붙는 전개는 삭제되었다. 때문에 리와 시로가네는 계속 연방군 소속으로 남는다. 이러한 전개에 대한 영향인지 리의 성격 묘사도 부정적인 부분이 많이 삭제되어서 그냥 좀 깐깐한 아군 상사 정도로만 묘사되었다. 최후반부에 살아남은 강룡전대를 약간의 미소와 함께 회수하는 것을 보면 과거의 원한 같은 것은 아예 삭제한 모양이다.
  • 리가 아군이 됨으로써 다이테츠 미나세의 전사 원인이 바뀌었다. 원작에서는 시로가네의 기습 포격 때문이었던 반면 애니에서는 섀도우 미러의 모함 간란드가 공간전이로 기습해온 후 포격을 가해 전사하는 전개가 되었다.
  • 액셀이 쿄스케에게 치명상을 입히는 장면은 소울게인이 아니라 애쉬세이비어로 변경되었다. 원래대로라면 일방적인 공격이었던 것이 그나마 상대적으로 대등한 조건에서 승리한 셈이 되었다.
  • 용호왕 & 호룡왕의 아군 합류 시점이 바뀌었다. 원작에서는 중반부에 치우총에서 등장한 후, 해당 에피소드에서 바로 쿠스하와 불릿에게 협력하지만, 애니에서는 초반부에 용왕기 & 호왕기가 모습을 드러냈다가 엑셀렌이 아인스트화 한 후반부에서야 쿠스하 일행에게 협력하여 용호왕 & 호룡왕으로 거듭난다. 덧붙여, 용왕기와 호왕기의 성우가 처음으로 기용되었는데 각각 오오바리 마사미 테라다 타카노부가 맡았다. 예산 문제로 도저히 다른 성우를 기용할 수 없어서 직접 녹음했다고 한다.
  • 원작에서 지간스파다에 탑승한 아치볼트가 그라비리온을 탑승하면서 지간스파다는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 원작에서 등장한 휘케바인 Mk-3를 대신해 엑스바인과 가바인이 등장한다.
  • 비가지의 기체인 갈가우가 다이젠가의 첫 전투에서 파괴된다. 이후 비가지는 '메가 갈가우'에 탑승한다.
  • 머시너리 칠드런의 일원인 스리사즈와 안사즈가 어스 크레이들 전투가 아닌, 제오라가 기억을 되찾는 에피소드에서 사망한다. 스리사즈는 빌트빌거의 스태그 비틀 크래셔에 콕핏 째로 집혀서, 안사즈는 아라드와 제오라가 처음 시전한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를 맞고 사망하는 것으로 전개가 변경되었다.
  • 남은 머시너리 칠드런의 일원인 울즈와 그 창조자 이그레트 페프는 어스 크레이들 전투에 참전하지 않고고 함락 전에 비밀리에 이탈해 모습을 감췄다. 때문에 원작과 달리 둘 다 살아남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원작에서 이들은 어스 크레이들 전투에서 슬레이드 겔미르의 성체의 태도를 맞고 잔해 밑에 깔려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제2차 OG에서 생존한 것으로 나왔다. 애니에서나 원작에서나 경위는 다르지만 결국 어스 크레이들 전투에서 살아남게 된 것이다.
  • 원작에서는 나름 지휘도 하고 흉계도 꾸미는 웬드로였지만, 애니에서는 그런 모습이 거의 나오지 않으며, 등장하는 장면에서조차 "파괴는 창조, 창조는 파괴" 같은 이상한 말만 되새기는 등 제정신이 아닌 모습을 보인다. 그 후, 최종전에서 아인스트에 침식되었다는 오리지널 전개가 추가되었다.
  • 웬드로의 전개가 바뀜에 따라 메키보스가 지구인에게 감화되는 전개는 삭제되었다. 동생인 웬드로와 싸우는 이유도 지구인의 편을 들어서가 아닌 아인스트와 동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로 바뀌었다. 때문에 라이벌 각을 세웠던 이름과의 접점도 거의 없어졌다.
  • 섀도우 미러 및 인스펙터와의 최종 결전은 화이트 스타 내부에서 이루어졌으나 애니에서는 우주에서 이루어진다.
  • 원작에서 최종보스였던 노이 레지세이아는 화이트 스타를 집어삼켜 '슈테른 노이 레지세이아'로 거듭나지만, 애니에서는 화이트 스타의 일부만을 침식하는 형태로만 등장해 슈테른 노이 레지세이아가 되지 않는다. 또한 등장 직후 금세 격파된 이후에는 프롤로그에서 생사불명이 되었던 섀도우 미러 세계의 아인스트 쿄스케가 등장하고 최종보스가 되기 때문에 노이 레지세이아는 페이크 보스화 되고 말았다.
  • 본래 액셀은 화이트 스타 내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리타이어했으나 애니에서는 경상인 상태로 살아남아 아인스트 퇴치에 협력한다. 이후 노이볼프에게 현무금강탄을 박은 후 반격당해서 소울게인이 사지가 박살나버리고 멀리 날려져서 작중에선 생사불명 처리된다.
  • 알피미의 최후가 변경되었다. 본래 원작에서는 쿄스케 일행과 적대하다가 레지세이아와의 결전에서 자신만의 정체성을 갖고 싶다는 꿈을 쿄스케 일행에게 고백하며 강룡전대에 협력. 레지세이아 격퇴 후에는 자신을 받아주는 모두의 모습을 보고 감사를 표하며 아인스트와 함께 소멸해 강룡전대의 모두가 슬퍼하는 전개였지만, 애니에서는 급전개로 알피미 본인은 인간이 될 수 없다는 레지세이아의 말에 슬퍼하다가 쿄스케를 지키고 소멸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원작과 달리 애니에서는 강룡전대와 알피미 간 교감할 타이밍이 없었기 때문에 알피미가 죽어도 그 누구도 슬퍼하지 않고 언급조차 안된다.
  • 원작에서는 쿠로가네를 가지고 왔을 때 말고 등장도 안 한 슈우 그랑존의 활약이 추가되었다. 특히 애니가 어스 크레이들 중심으로 진행됐기에 문 크레이들 구출은 그랑존이 단독으로 처리하였고, 인스펙터의 전함인 디아우스의 주포에 아군이 위기에 처했을 때 블랙홀 클러스터로 주포를 박살내고 등장, 곧바로 비가지도 블랙홀 클러스터로 한 방에 처리함으로써 그 명성에 뒤지지 않는 활약을 보였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이자 스토리 보완 뒷처리 담당. 그 뒤에는 큰 활약은 없지만 최종전까지 아군으로서 싸웠다.
  • 원작에서 슈테른 레지세이아는 단순히 의지가 없는 레지세이아를 복제할 뿐이었지만, 슈테른 레지세이아 대신 노이볼프는 강룡전대의 핵심 전력 기체들을 복제해 수족으로 부렸다. 이 중에는 반프레 최초의 오리지널 캐릭 그레이트 카미나리몬도 있다. 이는 1 VS 다수보다는 다수 VS 다수를 해보고 싶었던 제작진들의 의도라고 한다.
  • 중반부에 쿄스케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기체이자 자신 전용으로 커스텀 된 게슈펜스트 MK-2 타입 S에 탑승하는 전개가 추가되었다.[16]

7. 원작으로의 설정/연출 역수입

본작에서 처음 등장한 캐릭터나 기체 등의 오리지널 요소가 원작에 일부 역수입되었다.
  • 아즈키 사와
    하가네의 오퍼레이터. 본작에서 첫 등장했으며, 원작 게임에서는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부터 등장한다. 설정상 원래부터 하가네의 크루로, 원래는 제2함교에 있었으나 제1함교로 옮겨져 모습을 비추게 되었다는 설정이다.
  • 현무금강탄
    소울게인의 새로운 오른팔. 마찬가지로 제2차 OG부터 등장한다. 본작에서는 액셀이 섀도우 미러의 세계에서 OG의 세계로 전이하기 직전, 달려드는 아인스트 볼프에게 '현무강탄'을 사용하면서 오른팔을 잃었기 때문에, 새롭게 보수되면서 추가되었으나 원작 게임판 설정에서는 아무런 언급도 없이 그냥 바뀌어있다.[17]
  • 디아우스( 우유다로급 제압포함)
    본작에서 인스펙터 세력이 사용한 거대한 레이저 포. 원작 게임에서는 슈퍼로봇대전 OG 다크 프리즌에서 등장했으며, 무려 최종보스를 차지했다.
  • 엑스바인
    본작 제작 당시에는 판권 문제 때문인지 휘케바인 대신 엑스바인이 등장하며, 원작 게임에서는 슈퍼로봇대전 OG 문 드웰러즈부터 등장한다. 또한 애니판 출신이기 때문인지 엑스바인 복서의 '가이스트 너클'과 '캐터펄트 킥'의 연출은 디 인스펙터의 장면을 그대로 게임화한 것이다. 가이스트 너클( 애니 Ver.(1:15초~) / 게임 Ver.(48초~)) 캐터펄트 킥( 애니 Ver.(1:30초~) / 게임 Ver.(1:12초~))
  •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의 기동씬
    제2차 OG에서 프리케라이가 참전하는 CG 영상의 구도는 애니메이션 디 인스펙터 오프닝의 알트아이젠의 구도를 그대로 오마쥬한 것이다. #


[1] 직접 애니메이터로 참여하기도 했으며, 이 작품을 계기로 다시 애니메이터로 복귀했다. [2] 특히 카토키 하지메가 애니메이터로서 참여한건 디 인스펙터가 최초라고 한다. [3] 등장할 때 해당 캐릭터의 전용 BGM이 나오는가 싶더니, 뭔가를 하기도 전에 끝난다. [4] 왜 건담 W이 링크되였을까?에 대해 설명하자면 건담 W 2번째 오프닝이자 주제곡인 'Rhythm Emotion'도 당시 감독 교체로 파행이였던 건담 W의 제작 스케쥴로 인해 2기 오프닝이 온전히 방영히 되지 못했다. [5]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 [6] 원화 오오고모리 유키히토(大籠之仁), 아메미야 아키라, 스즈키 칸타, 카바시마 요스케, 오오바리 마사미 등. [7] A파트 [8] B파트 [9] 원화 쿠스메기 신야(久壽米木信弥), 이와키 코지(岩木孝司), 무타구치 히로키, 타무라 카츠유키(田村勝之), 니시자와 스스무,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카토키 하지메, 코토부키 츠카사, 키무라 타카히로, 야마네 리히로, 오오바리 마사미 등. [10] 원화 이와키 코지, 쿠스메기 신야, 무타구치 히로키, 요시다 토오루, 나카자와 유이치(牟田口裕基), 시키지 유키요시, 토쿠다 히로타카, 코노 요시타카(河野悦隆), 아오시마 카츠미(青嶋克己),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나카타니 세이이치, 오오츠카 켄, 니시이 마사노리(西井正典), 오오바리 마사미 등. [11] 원화 토쿠다 히로타카, 스즈키 칸타, 코노 요시타카, 나가오카 야스치카, 콘노 나오유키, 이와키 코지, 야마네 리히로, 오오바리 마사미 등. [12] 방송 당시 도호쿠 대지진 직후였음에도 그냥 방영했다. 심지어 휴방도 없이 예정대로 쭉. [13] A파트 [14] B파트 [15] 원화 이와키 코지, 쿠스메기 신야, 스즈키 칸타, 아메미야 아키라, 요시다 토오루, 나카자와 유이치, 시키지 유키요시, 코노 요시타카, 토쿠다 히로타카, 타테자키 히로시(舘崎 大), 타무라 카츠유키, 시게타 사토시, 코우노 사치코, 카토키 하지메,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사이토 요시나리, 야마네 리히로, 카바시마 요스케, 하마사키 켄이치(浜崎賢一), 오오바리 마사미 등. [16] 알트아이젠이 수리중이라서 대신 타고 나온 것. 기체의 도색을 알트아이젠과 같은 붉은색으로 했으며 알트아이젠의 무장인 히트 혼과 리볼빙 스테이크를 장비하였다. [17] 게임 내 설정에서도 현무금강탄에 대한 설명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