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08:56:04

드와이트 구든

드와이튼 구든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2d72>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뉴욕 메츠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1965년 ~
1965
레스 로
투수 / 전체 2번
1966
스티븐 칠콧
포수 / 전체 1번
1967
존 매틀랙
투수 / 전체 4번
1968
팀 폴리
유격수 / 전체 1번
1969
랜디 스털링
투수 / 전체 4번
1970
조지 암브로우
유격수 / 전체 23번
1971
리치 푸이그
2루수 / 전체 14번
1972
리차드 벵스턴
포수 / 전체 13번
1973
리 마질리
외야수 / 전체 14번
1974
클리프 스펙
투수 / 전체 17번
1975
버치 벤튼
포수 / 전체 6번
1976
톰 서버그
외야수 / 전체 13번
1977
월리 백맨
유격수 / 전체 16번
1978
허비 브룩스
외야수 / 전체 3번
1979
팀 레리
투수 / 전체 2번
1980
대럴 스트로베리
외야수 / 전체 1번
1980[1]
빌리 빈
외야수 / 전체 23번
1980[2]
존 기븐스
포수 / 전체 24번
1981
테리 블로커
외야수 / 전체 4번
1982
드와이트 구든
투수 / 전체 5번
1983
에디 윌리엄스
3루수 / 전체 4번
1983[3]
스탠 제퍼슨
외야수 / 전체 20번
1983[3]
캘빈 슈랄디
투수 / 전체 27번
1984
숀 아브너
외야수 / 전체 1번
1985
그렉 제프리스
유격수 / 전체 20번
1986
리 메이
외야수 / 전체 20번
1987
크리스 도넬스
3루수 / 전체 24번
1988
데이브 프록터
투수 / 전체 21번
1989
앨런 진터
포수 / 전체 24번
1990
제로미 버니츠
외야수 / 전체 17번
1991[5]
알 실리
외야수 / 전체 18번
1991[5]
바비 존스
투수 / 전체 36번
1991
FA 빈스 콜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2
프레스턴 윌슨
유격수 / 전체 9번
1992[7]
크리스 로버츠
투수 / 전체 18번
1992[7]
존 워드
투수 / 전체 30번
1993
커크 프레슬리
투수 / 전체 8번
1994
폴 윌슨
투수 / 전체 1번
1994[9]
테런스 롱
1루수 / 전체 20번
1994[9]
제이 페이튼
외야수 / 전체 29번
1995
라이언 제론킥
유격수 / 전체 18번
1996
롭 스트래튼
외야수 / 전체 13번
1997
제오프 고에츠
투수 / 전체 6번
1998
제이슨 타이너
외야수 / 전체 21번
1999
FA 로빈 벤추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0[11]
빌리 트래버
투수 / 전체 16번
2000[11]
바비 케펠
투수 / 전체 36번
2000
FA 토드 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1[13]
애런 힐만
투수 / 전체 18번
2001[13]
데이비드 라이트
3루수 / 전체 38번
2001
FA 케빈 에이피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2
스캇 카즈미어
투수 / 전체 15번
2003
래스팅스 밀리지
외야수 / 전체 12번
2004
필립 험버
투수 / 전체 3번
2005
마이크 펠프리
투수 / 전체 9번
2006
FA 빌리 와그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7[15]
에디 쿤즈
투수 / 전체 42번
2007[15]
나단 빈야드
투수 / 전체 47번
2007
FA 모이세스 알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8[17]
아이크 데이비스
1루수 / 전체 18번
2008
리즈 헤븐스
유격수 / 전체 22번
2008[17]
브래들리 홀트
투수 / 전체 33번
2009
FA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0
맷 하비
투수 / 전체 7번
2011
브랜든 니모
외야수 / 전체 13번
2011[19]
마이클 풀머
투수 / 전체 44번
2012
개빈 치키니
유격수 / 전체 12번
2012[20]
케빈 플라웨키
포수 / 전체 35번
2013
도미닉 스미스
1루수 / 전체 11번
2014
마이클 콘포토
외야수 / 전체 10번
2015
FA 마이클 커다이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6
저스틴 던
투수 / 전체 19번
2016[21]
앤서니 케이
투수 / 전체 31번
2017
데이비드 피터슨
투수 / 전체 20번
2018
제러드 켈닉
외야수 / 전체 6번
2019
브렛 베이티
3루수 / 전체 12번
2020
피트 크로우-암스트롱
외야수 / 전체 19번
2021
쿠마 라커
투수 / 전체 10번
2022[22]
케빈 파라다
포수 / 전체 11번
2022
제트 윌리엄스
유격수 / 전체 14번
2023[CBA]
콜린 후크
유격수 / 전체 32번
2023
사치세 초과로
인한 지명권 후퇴
2024
카슨 벤지
외야수 / 전체 19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메츠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1] FA 앤디 해슬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 FA 스킵 락우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FA 피트 팔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5] FA 대럴 스트로베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5] [7] FA 프랭크 바이올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7] [9] FA 시드 페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9] [11] FA 존 올러루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1] [13] FA 마이크 햄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3] [15] FA 로베르토 에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5] [17] FA 톰 글래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7] [19] FA 페드로 펠리시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0] FA 호세 레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1] FA 대니얼 머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2] 쿠마 라커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 [CBA]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2d72>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뉴욕 메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5910> 1962~1963 1964~1965 1966 1967 1968~1977
로저 크레이그 앨 잭슨 잭 피셔 돈 카드웰 톰 시버
<rowcolor=#ff5910> 1978 1979~1980 1981 1982 1983
제리 쿠스먼 크레이그 스완 팻 재크리 랜디 존스 톰 시버
<rowcolor=#ff5910> 1984 1985~1986 1987 1988~1991 1992
마이크 토레스 드와이트 구든 밥 오헤다 드와이트 구든 데이비드 콘
<rowcolor=#ff5910> 1993~1994 1995~1996 1997 1998 1999
드와이트 구든 바비 존스 피트 하니시 바비 존스 알 라이터
<rowcolor=#ff5910> 2000 2001~2002 2003~2004 2005 2006~2007
마이크 햄튼 알 라이터 톰 글래빈 페드로 마르티네스 톰 글래빈
<rowcolor=#ff5910> 2008~2010 2011 2012 2013 2014
요한 산타나 마이크 펠프리 요한 산타나 존 니스 딜런 지
<rowcolor=#ff5910> 2015 2016 2017~2018 2019~2021 2022
바톨로 콜론 맷 하비 노아 신더가드 제이콥 디그롬 타일러 메길
<rowcolor=#ff5910> 2023 2024
맥스 슈어저 호세 퀸타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2d72>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뉴욕 메츠
영구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ccac00> No.14 No.16 No.17 No.18
<rowcolor=#ffffff> 길 호지스 드와이트 구든 키스 에르난데스 대럴 스트로베리
<rowcolor=#ccac00> No.24 No.31 No.36 No.37
<rowcolor=#ffffff> 윌리 메이스 마이크 피아자 제리 쿠스먼 케이시 스텡겔
<rowcolor=#ccac00> No.41 No.42 SHEA
<rowcolor=#ffffff> 톰 시버 재키 로빈슨 윌리엄 A. 셰이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2d72>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뉴욕 메츠
명예의 전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조안 휘트니 페이슨 케이시 스텡겔 길 호지스 조지 와이스 자니 머피
윌리엄 셰이 랄프 카이너 밥 머피 린지 넬슨 버드 해럴슨
러스티 스타우브 톰 시버 제리 쿠스먼 에드 크레인풀 클레온 존스
제리 그로티 터그 맥그로 무키 윌슨 키스 에르난데스 게리 카터
토미 에이지 프랭크 카센 드와이트 구든 데이비 존슨 대럴 스트로베리
존 프랑코 마이크 피아자 에드가르도 알폰소 론 달링 존 매틀랙
게리 코헨 하위 로즈 하워드 존슨 알 라이터
}}}}}}}}}}}} ||

드와이트 구든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6worldserieschampionamazingmets.gif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1986 2000

파일:1984 MLB 올스타전 로고.png 파일:1985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1986 MLB 올스타전 로고.png 파일:1988 MLB 올스타전 로고.gif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84 1985 1986 1988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릭 서클리프
( 시카고 컵스)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마이크 스캇
(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신인왕
대럴 스트로베리
( 뉴욕 메츠)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빈스 콜먼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92년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실버 슬러거
톰 글래빈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오렐 허샤이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호아킨 안두하르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평균자책점왕
알레한드로 페냐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마이크 스캇
(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4년 ~ 198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탈삼진왕
스티브 칼튼
( 필라델피아 필리스)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마이크 스캇
(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로고.svg 메이저 리그 투수 트리플 크라운
스티브 칼튼
( 필라델피아 필리스, 1972년)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1985년)
로저 클레멘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1997년)

짐 파머
(2.58/ 1970년대 )
드와이트 구든
(2.64/ 1980년대)
그렉 매덕스
(2.54/ 1990년대)
}}} ||
}}} ||
파일:Dwight Gooden.png
<colbgcolor=#002d72><colcolor=#ffffff> 뉴욕 메츠 No. 16
드와이트 구든
Dwight Gooden
본명 드와이트 유진 구든
Dwight Eugene Gooden
출생 1964년 11월 16일 ([age(1964-11-16)]세)
플로리다 주 탬파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88cm / 94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5번, NYM)
소속팀 뉴욕 메츠 (1984~1994)
뉴욕 양키스 (1996~1997)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98~1999)
휴스턴 애스트로스 (2000)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2000)
뉴욕 양키스 (2000)
1. 개요2. 선수 시절
2.1. 리즈시절2.2. 날개 잃은 에이스
3. 은퇴 이후4. 피칭 스타일5. 연도별 성적6. 이야깃거리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

통산 16시즌 430경기(410선발) 194승 112패 2,800.2이닝 3.51ERA/111ERA+ 68완투/24완봉 2,293K/954BB 3.33FIP 1.256WHIP 48.1bWAR.[1]

1980년대 뉴욕 메츠의 상징적인 에이스였으며, 메이저리그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부터 빠른 속도로 MVP급 성적을 기록한 투수로 반드시 꼽히는, 야구 역사상 최고의 천재 투수 중 하나이다. 별명은 "Dr. K", 그리고 이걸 줄인 "닥터" (Doctor, Doc).

2. 선수 시절

2.1. 리즈시절

파일:투수 최고 시즌.jpg
파일:1984~6 구든.jpg
1982년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메츠의 지명을 받아 입단한다.[2] 입단 후 바로 다음 시즌인 1983년은 싱글 A에서 보내게 되었고, 27경기에 등판해서 19승 4패를 거두며 <베이스볼 아메리카>지의 "올해의 마이너리거"로 뽑히면서 메츠 구단을 설레게 만들었다.

마침내 1984년, 구든은 고작 19세의 나이로 콜업되어, 218이닝 276K 17승 9패 2.60ERA 1.69FIP 8.3fWAR 5.5bWAR이라는 충격적인 성적을 냈다. 1.69의 FIP는 당시 역대 13위에, 1911년 이후의 기록으로는 1968년 밥 깁슨의 1.77을 경신하는 라이브볼 시대 1위 기록이었다. 이는 1999년 페드로 마르티네스가 1.39[3]라는 독보적 기록을 작성할 때까지 1위를 유지했다. [4][5] 이 엄청난 활약으로 신인상은 받았지만 사이영상은 2위에 그쳤다. 이 해 수상자 릭 서클리프는 시즌 중간에 클리블랜드에서 컵스로 넘어와 NL에서 150.1이닝 16승 1패 2.69ERA 155K 3.9bWAR을 기록했다는데 릭의 AL 성적까지 합쳐서 비교해도[6] 이닝과 승수를 빼면 구든의 압살이었지만 당시엔 사이 영 상을 받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하필이면 이닝과 승수였기에 아쉽게 2위에 그쳤다.

그리고 맞이한 두 번째 시즌에는 소포모어 징크스 따위는 무시하듯 24승 4패와 1.53[7][8]의 평균자책점을 거두면서, 만장일치로 표를 받아 사이 영 상을 받는다. 이 시즌 구든은 16경기나 완투를 하고 276이닝을 던졌으며, 다승 / 평균자책점 / 탈삼진에서 메이저리그 1위를 차지했다. 이닝과 완투 수는 내셔널리그 1위였다.[9] 이 시즌이 바로 1968 깁슨, 1999~2000 페드로와 함께 최고의 단일 시즌으로 꼽히는 1985 구든이다.[10][11]

구든은 21세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리그를 지배하는 성적을 2년 연속으로 올린 야구 역사상 최고의 천재 투수 중 하나로 거론된다. 20대 극초반에 저렇게 리그를 지배하는 성적을 올린 것은 메이저리그 전체를 통틀어서도 마이크 트라웃 등 극소수 사례밖에 없다. 최고구속 100마일에 달하는 무지막지하게 강력한 포심 패스트볼로 순수 기량 역시 고평가받았다.

이렇게 역대급 천재 투수가 배출되자 메츠 팬덤은 톰 시버도 넘어설 투수라는 설레발을 떨었고, 심지어 ' 구든은 300승을 넘어서 400승을 거둘 투수다!'라는 말까지 나오기까지 했었다.

2.2. 날개 잃은 에이스

하지만 혹사로 인한 패스트볼의 구속저하와 새 구종인 체인지업의 장착에 실패했고 게다가 마약이라는 늪에 빠지며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걷는다. 1986년 월드 시리즈 직후 마약을 본격적으로 복용하기 시작[12]한 구든은 다음해인 1987년에는 스프링캠프 때 마약을 복용한 것이 들통나 재활센터에 입소하면서 시즌을 두달이나 날려먹었고, 그 뒤로 구든의 성적은 계속해서 저조했다. 1992년에는 마침내 10승 13패로 5할 승률도 넘기지 못했고, 1994년 다시 연속으로 코카인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처음에는 60일 출장 정지였다가[13] 1995년에는 아예 시즌에 참가하지도 못하도록 중징계를 받기에 이른다.

구든은 1996년 FA로 뉴욕 양키스와 계약을 하기에 이르는데, 1996년 시즌에 1991년 이후 잃어버렸던 5할 이상의 승률을 다시 되찾는데 성공한다.[14] 월드시리즈에 진출해 우승반지를 따는 데도 성공. 하지만 그 뒤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고향 팀인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등을 전전하다 2000년 양키스로 돌아오는데, 우승반지 까지 얻어내지만 그해에 양키스에서도 방출당한다.

3. 은퇴 이후

그렇게 쓸쓸히 2001년 은퇴를 선언한 구든은 이후 한때 몸담았던 양키스의 프런트로 일했고, 그 후 양키스의 올드 타이머 데이에 몇차례 나오기도 했다. 한편으론 은퇴후 오만 사건으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2002년에는 음주운전이 적발되어 면허를 정지당했는데 2003년에는 면허정지중에 운전을 하다 발각되었고 2005년에는 전처의 안면을 가격하는 폭행사건을 일으켰으며 2006년에는 보호관찰중에 마약에 손을 대는등의 사건을 일으켰다. 2019년에 또 코카인 소지 혐의로 체포되었다. 현재는 문제 없이 생활하는 듯 하다. 트위터에서 근황을 살펴볼 수 있다.

2020년 11월에 마약 소지로 집행 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구든은 유죄 인정 후 마약중독 재활 치료보호 프로그램을 이수하며 갱생 의지를 키웠다. 재판부도 구든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4. 피칭 스타일

1980년대를 대표하는 파이어볼러 중 하나이며[15] 1980년대 버전 제이콥 디그롬으로 꼽히는 투수이다. 전형적인 투피치 투수로, 빠른 포심과 커브를 이용하여 삼진을 잡아내는 스타일이었다. 마른 체구에도 불구하고 당대 상식을 뛰어넘는 수준의 패스트볼 구속과 강력한 파워커브를 보여준 선수이다. 또한, 동 시대의 대릴 스트로베리와 함께 당대 메츠 최고의 투타 선수로 활약하며 1986년 메츠의 두 번째 우승에 큰 공헌을 했다.[16]

그런데 당시 메츠의 투수코치였던 멜 스토틀마이어는 구든이 롱런을 하려면 여러 구질을 써야 한다면서 구든에게 체인지업을 가르쳤는데, 거기까지는 좋았다. 하지만 문제는 그 때 스토틀마이어가 구든의 투구폼까지 억지로 바꾸어버린 것이었다. 그 결과 구든은 새 투구폼에 적응하지 못하였고, 체인지업은 발전하지 않는데 점차 구든의 주무기였던 포심의 구속이 떨어지기에 이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1984년 ~ 1986년 단 3시즌 동안, 포스트시즌에서의 등판을 포함하여 770이닝이나 공을 던졌다는 것.[17] 95경기에 등판해서 35경기나 완투를 했을 정도로 혹사가 심했다.[18] 구든이 파이어볼러형 투수라는 점을 고려하면 놀란 라이언급의 초인이 아닌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

5.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드와이트 구든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1984 NYM 31 17 9 0 0 218 2.60 161 7 73 2 276 1.073 137 8.3 5.5
1985 35 24 4 0 0 276⅔ 1.53 198 13 69 2 268 0.965 229 8.9 12.2
1986 33 17 6 0 0 250 2.84 197 17 80 4 200 1.108 126 4.8 4.5
1987 25 15 7 0 0 179⅔ 3.21 162 11 53 2 148 1.197 119 4.5 3.7
1988 34 18 9 0 0 248⅓ 3.19 242 8 57 6 175 1.204 101 6.0 3.4
1989 19 9 4 0 1 118⅓ 2.89 93 9 47 2 101 1.183 113 1.8 1.5
1990 34 19 7 0 0 232⅔ 3.83 229 10 70 7 223 1.285 98 6.8 2.5
1991 27 13 7 0 0 190 3.60 185 12 56 3 150 1.268 102 4.0 3.3
1992 31 10 13 0 0 206 3.67 197 11 70 3 145 1.296 96 3.5 2.3
1993 29 12 15 0 0 208⅔ 3.45 188 16 61 9 149 1.193 116 3.7 3.5
1994 7 3 4 0 0 41⅓ 6.31 46 9 15 1 40 1.476 67 0.1 -0.6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1996 NYY 29 11 7 0 0 170⅔ 5.01 169 19 88 9 126 1.506 100 2.1 2.6
1997 20 9 5 0 0 106⅓ 4.91 116 14 53 7 66 1.589 92 0.4 1.2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1998 CLE 23 8 6 0 0 134 3.76 135 13 51 9 83 1.388 127 1.8 2.7
1999 26 3 4 0 0 115 6.26 127 18 67 9 88 1.687 80 0.5 -0.7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00 HOU
TB
NYY
27 6 5 2 2 105 4.71 119 23 44 3 55 1.552 104 -0.4 0.7
MLB 통산
(16시즌)
430 194 112 2 3 2800⅓ 3.51 2564 210 954 78 2293 1.256 111 56.7 48.1

6. 이야깃거리

  • 같은 팀에서 뛰었던 대럴 스트로베리와 많이 엮인다. 공교롭게도 스트로베리, 구든은 둘 다 1980년대 메츠 최고의 투타 에이스였는데, 둘 다 1990년대 들어 마약을 비롯한 자기 관리 문제로 몰락했다는 점이 유사하다.
  • 데뷔하자마자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며 굉장한 임팩트를 선사했으나,[19] 마약을 비롯한 여러 문제들로 인해 빠르게 추락했다는 점에서 야구 역사상 최고의 단기 임팩트의 상징 중 한 명으로 꼽힌다.[20]
  • 또한 역대 최고의 꾸준함 및 훌륭한 누적 성적과 약물 복용 논란이 공존하는 투수인 로저 클레멘스와 계속 비교되는 선수인데, 둘 다 1980년대 리그 최상위권이었으며, 패스트볼의 구위로 타자를 찍어누르는 투수라는 점에서 비슷하다.[21] 사실, 25세 이전의 커리어만 따지면 구든이 더 낫다. 스테로이드 같이 운동력을 증강시켜주는 약물을 사용하지도 않았다.[22] 반면 클레멘스는 1980년대 반짝하기는 했으나, 구든은 리그를 지배하는 수준이었고 클레멘스는 MVP, 사이 영 상을 탈 수 있는 꾸준한 활약을 하는 선수였다. 허나, 보사구팽 당한 뒤로 약을 먹고 약켓이 되는 바람에 토론토 이후의 커리어는 점점 흑역사가 되었다. 물론 구든도 마약 문제 때문에 이미지가 좋진 않다지만 클레멘스보단 이미지가 훨씬 나은 편이다.
  • 마약과 지독하게 싸운 사람. 1999년 "HEAT"라는 자서전에서 마약과 싸운 자기의 이야기를 써내려갔는데, 은퇴 이후 마약을 빨고 운전을 하다 두 번이나 걸렸다. 그리고 그 후로도 몇년간 마약 중독으로 고생했다. 마약은 한번 시작하면 절대 끊을 수 없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비슷한 경우인 조시 해밀턴 역시 마약중독을 극복하고 현역으로 복귀한 사례가 될 줄 알았으나 결국 마약에 다시 손을 대었다.
  • 경기 중에 삼진 잡으면 K라고 적힌 카드를 구장에 거는걸 유행시켰다.

파일:Gooden-Signed-Mets-K-Korner.jpg
  • 이전부터 뛰어난 전성기에 비해 불미스러운 기량 하락으로 이미지가 나빠 명전감이라는 평은 못 받았으나 명예의 전당에 첫 턴 탈락할 커리어는 아니라는 말이 많았고, 이후 재평가되었으며 2023년에는 1980년대 메츠의 에이스라는 상징성으로 인하여 그의 등번호 16번이 영구결번되었다.

7. 관련 문서



[1] 투수 48.1+타자 4.8= 52.9 [2] 메츠는 1981년 드래프트에서 로저 클레멘스를 지명했으나 클레멘스가 지명을 거부하고 대학을 가버렸다. 다행인건 1980년 드래프트에서 데리고 온 대릴 스트로베리가 구든이랑 같이 터지면서 80년대 메츠의 주축 선수가 되었다는 거. [3] 시대 불문 3위, 1911년 이후 1위. [4] 구든은 이 시즌 메이저리그 신인 최다 탈삼진 기록을 갈아치웠다. 뿐만이 아니라 이 시즌 구든의 K/9는 11.39였다. 그러니까 9이닝 동안 11개의 삼진을 잡았다는 거. 그리고 2경기 동안 32탈삼진, 3경기 동안 43탈삼진을 잡는 기록을 세우는데, 전자의 기록은 지금도 메이저리그 최다 타이 기록. [5] 그리고 구든이 미친듯이 셰이스타디움에서 삼진을 잡아내자 메츠 관중들은 스타디움 한쪽 벽에 구든이 삼진을 잡을 때마다 "K" 카드를 붙이기 시작했는데 곧 이게 메이저리그 전체로 퍼졌다. [6] 사실 릭은 AL 성적을 합치면 더 불리해진다. 클리블랜드에서 94.1이닝 4승 5패 5.15ERA를 기록하고 컵스로 넘어왔다. [7] 이 기록은 1968년 1점대 평균자책점 투수가 7명이 나오는 사상최악의 투고타저로 인해 메이저리그 마운드가 15인치에서 10인치로 낮아진 1969년 이후 가장 낮은 평균자책점 기록이다. 참고로 1968년에는 위에도 나온 밥 깁슨이 무려 1.12(!)의 정신나간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8] 메츠의 역대 수많은 선발 투수 중에서 한시즌 기준으로 가장 낮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선수다. [9] 메이저리그 1위는 아닌데, 왜냐하면 당시 아메리칸 리그의 버트 블라일레븐이 구든보다 더 많은 이닝을 던지고 완투를 더 많이 했기 때문이다.(24완투, 293이닝) [10] 이 시즌의 bWAR 12.2는 라이브볼 시대 이후 투수 최고 기록이다. fWAR의 경우 1999년 페드로 마르티네스의 11.6이 역대 1위다. [11] 의외로 이 해 구든의 fWAR는 8.9밖에 안 된다. 1984년도 그렇고 fWAR-bWAR 격차가 꽤 크게 나는 케이스. 근데 1984년은 fWAR가 bWAR보다 3 정도 높다. [12] 어느 정도였느냐하면, 월드시리즈 우승 이후 메츠 구단 측에서 개최한 축하 파티조차 불참할 정도였다. 물론 당시에는 '월드시리즈에서 너무 쌔빠지게 던져서 쉴래요'라고 핑계를 댔지만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마약하느라 못 간 걸로 [13] 7경기에 출전해서 평균자책점 6.31로 성적도 처참했다. [14] 노히트 노런도 이 해에 거둔다. [15] 전성기 시절, 공식 최고구속이 100마일로 무려 놀란 라이언, 구스 고시지와 비슷했다. 허나 놀란 라이언은 100마일에 육박하는 공을 현역 내내, 즉 무려 27년이나 던졌기 때문에 역사상 최고의 파이어볼러로는 당연히 놀란 라이언한테 압도적으로 밀린다. 게다가 마약으로 빠르게 추락한 구든과 다르게, 놀란 라이언은 현역 내내 자기관리도 잘 했고, 부상도 거의 없었다. 구스 고시지와 비교하자면 구스 고시지가 조금 더 앞 시대 선수이지만 그 선수는 마무리 투수였다. [16] 게다가 둘 다 마약 문제 및 부실한 자기 관리로 인해 폭망했다는 점도 유사하다. [17] 게다가 1986년은 메츠가 월드시리즈까지 진출한 시즌이었다. [18] 당시 KBO나 NPB를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 NPB의 경우 애초에 등판 간격 텀이 길어서 완투율이 높은 것이다. [19] 페르난도 발렌수엘라와 유사하다. 이 두 투수 모두 80년대 최고의 임팩트를 가진 투수로 꼽히지만 전성기가 짧아서 명전에 못 갔다. 다만 드와이트 구든은 데뷔한 지 좀 되어 터졌고 페르난도 발렌수엘라는 데뷔 직후 유명해졌는데, 이로 인해서 성적은 더 나음에도 불구하고 페르난도 발렌수엘라에게 덜 언급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페르난도 발렌수엘라가 구든보다 일찍 유명해졌는데, 발렌수엘라는 1980년대 초에, 구든은 1984~1986년에 최전성기를 맞았다. [20] 사실 승수랑 WAR만 보기에는 명예의 전당에 가기 약간 부족한 편인데, 구든 정도의 임팩트면 아예 언강생심까지는 아니었다. 다만 이미지가 좋지 않았던지라 200승만 채웠어도 조금의 가능성이라도 논해볼 수 있었으나 200승도 못 채워서 명예의 전당에 첫 턴에 바로 탈락했다. 물론 관리 같은 거 없었던 80년대 선수들의 명전행 기준은 지금보다 훨씬 높으므로, 현대의 투수들의 기준으로 보면 WAR, 승수 모두 비벼볼 만한 수치이지만, 구든의 압도적인 데뷔 당시의 임팩트와 마약으로 인한 몰락 과정으로 인하여 이미지를 많이 깎아먹어서 성적 대비해서도 표를 많이 못 받은 축에 들어간다. 대표적인 임팩트형 명전 투수인 디지 딘 샌디 코팩스의 경우엔 구든 쪽이 누적은 좀 더 낫고 심지어 임팩트도 구든과 비슷하지만 딘은 한 시즌 30승을 달성한 상징성이 있고 코팩스는 정점에서 은퇴해서 이미지가 좋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21] 1986년 올스타전에서 타석에 들어선 클레멘스가 구든의 패스트볼을 체험해보고 포수였던 게리 카터에게 '저 공이나 네 공이나 누가 낫고 못한 수준은 아니고 비슷비슷하다.'는 말을 듣고 자신의 구위에 확신을 가졌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22] 다만 구든이 복용했던 마약은 하필 코카인이었다는 게 문제인데, 코카인은 각성 계열이다보니 경기력 향상 효과는 분명히 존재하긴 한다. 그렇지만 통상적으로 코카인은 도핑 목적으로는 쓰이지 않는데, 효과가 스테로이드 계열에 비하면 새발의 피 정도인데다 중독성이 엄청난 마약이기 때문이다. 즉 마약 복용은 그냥 본인이 마약 즐기고 싶어서 했는데 거기에 경기력 향상 효과가 조금 있었던 경우. 애초에 구든은 코카인으로 문제가 된 이후 그걸 끊지도 않았는데도 성적이 그 이전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기 때문에 아예 성립이 안되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