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0:58:42

동슬라브

동슬라브족에서 넘어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민족
<colbgcolor=#fafafa,#1a1a1a> 동슬라브 루스인(역사적) |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인 | 루신인
서슬라브 폴란드인 | 체코인 | 슬로바키아인 | 소르브인 | 카슈브인 | 실레시아인
남슬라브 슬로베니아인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인 | 몬테네그로인 | 불가리아인 | 마케도니아인 | 보슈냐크인 | 포마크인 | 토르베시인 | 고라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미승인국)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소르브.png 루사티아 | 파일:이다비루 주기.svg 이다비루
언어 및 문화
언어 슬라브어파
사상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범슬라브주의
신화 슬라브 신화 }}}}}}}}}


1. 개요2. 상세3. 동슬라브족 위주의 국가·지역4. 관련 문서

1. 개요

동슬라브는 슬라브어파의 동슬라브어군 언어를 구사하는 슬라브 민족이다.

2. 상세

중세 시대에는 키예프 루스를 시초로 형성된 루스 지역의 주요 구성원이었으나, 키예프 루스가 13세기 중엽 몽골 제국에게 멸망을 당한 이후 루스인, 즉 루테니아인은 여러 갈래로 분화되었다.[1]

키예프 기준의 북쪽 삼림지대에 살던 루스인들은 모스크바 대공국을 중심으로 하는 러시아인이 되었으며, 서북부에서 몽골의 점령을 겪지 않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게 된 루스인들은 벨라루스인이 되었다. 키이우 인근에 남아 몽골[2]이나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지배를 겪은 루스인 공동체는 우크라이나인으로 분화되었으며,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헝가리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 이들은 루신인이 되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동슬라브족의 인구 수는 약 2억 명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슬라브의 세 분파 중 몽골- 튀르크- 우랄 유목민족 계열과의 접촉과 혼혈이 많아서, 가장 유라시아적이다.[3]

종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오스트리아의 지배로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이 다수인 자카르파탸, 갈리치아 지역을 제외하면 모두 정교회를 주로 믿는다.

3. 동슬라브족 위주의 국가·지역

4. 관련 문서



[1] 다른 슬라브족과 달리 특이하게도 동슬라브족은 키예프 루스 이전에 동슬라브 부족이 세운 국가가 언급되지 않는다. [2] 킵차크 칸국이나, 몽골 제국의 주요 세력이 멸망한 이후에도 동유럽에 잔류한 크림 칸국 등. [3] 물론 각 국가들마다 다르다. 몽골의 지배를 받지 않은 벨라루스는 가장 유럽적이고 반대로 오랫동안 몽골의 지배를 받은 러시아는 몽골을 비롯한 아시아 유목민들의 문화가 짙게 깔려있다. 우크라이나같은 경우에는 러시아처럼 몽골의 지배를 받았지만 더 이른 시기에 해방되고 유럽 국가들의 지배를 받아서 유럽과 몽골 문화가 반반씩 섞여있다. 이들 중 러시아의 경우 워낙 영토가 넓다 보니 그 정도도 지역별로 다르다.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 사할린· 하바롭스크· 캄차카반도로 대표되는 극동 지역은 동아시아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러시아령 중앙아시아 지역( 카자흐스탄과의 접경지대)과 러시아령 캅카스 지역은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칼리닌그라드는 본래는 발트계 민족인 프루스인들의 영역이었고, 이후에는 동방식민운동의 영향으로 독일어권이 되었으며,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된 후에도 국경을 맞댄 폴란드(와 이후 소련 붕괴로 독립국이 된 리투아니아)의 영향을 받아서 러시아 본토에 비해 덜 유라시아적이다. 카렐리야 공화국 콜라반도는 좁은 의미의 러시아인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과 우랄계 원주민들을 막론하고 종교가 정교회인 것만 빼면 혈통적·문화적으로 러시아 본토인들에 비해 우랄계 민족에 가깝다. [4] 인구의 6할을 차지한다. 나머지 4할 중 3할은 라틴 계통의 몰도바인 [5] 에스토니아의 영토이지만 러시아계가 다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