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23:40:22

대한민국 GDP 세계 순위 (1961년~)



세계 은행(World Bank) 통계에 따른 한국의 역대 GDP 세계 순위(1961년~)를 주요 경제 사건과 함께 표로 정리한 것이다. 참고: 세계은행(World Bank) GDP in current USD[1]
역대 정부 연도 순위 GDP
(백만달러)
주요 사건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 39위 2,418 5.16 쿠데타
1962 38위 2,814 통화개혁 (10환→1원)[2]
증권 파동 (4대 의혹 사건)[3][4][5][6][7]
박정희 정부 1963 37위 3,988
1965 대일청구권 자금 (무상 3억 달러)[8][9][10][11]
베트남 전쟁 특수 (전사자 5,099명, 부상자 약 10만 명) [12]
1970 경부고속도로 완공 - 전체 공사비 429억 원 (일본 외채로 조달)
※착공 당시 전국 차량 대수 4만대. 적정 시기는 1985년 (전국 차량 대수 100만대)[13][14]
1972 33위 10,862 8.3 사채 동결 조치
10월 유신
박정희
유신 정권
1973 제1차 오일 쇼크 (※경제성장률 14.8%)
1974 중동 건설 특수[15][16]
1975 수출 50억 달러, 수입 72억 달러
1977 1인당 국민소득 1,053달러, 수출 100억 달러
1979 만성적인 재정적자, 무역적자 지속
(수출 150억 달러 / 수입 203억 달러)[17]
율산그룹 부도, 정경유착[18][19][20]
최규하 정부 1980 27위 65,398 5.17 비상계엄
※ 물가상승률: 28.7%
전두환 정부 1981 산업 합리화 조치[21]
※외채 325억 달러[22]
※세계 4대 채무국: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한국[23]
1982 경제성장률이 물가상승률을 추월한 원년
※외채 380억 달러 (아르헨티나와 동액)[24]
야간통행금지조치 해제[25]
영기준예산제도 도입 (예산동결, 재정적자 급감)
1983 일본에서 외채 40억 달러 차입
("독도는 우리 땅" 노래 일시적으로 방송 금지)
1985 국제그룹 부도 (※외채 468억 달러)
플라자 합의
(※달러-엔 환율 1985년 238.28 → 1989년 137.98
달러-원 환율 1985년 890.20 → 1989년 679.60)
1986 3저 호황으로 사상 첫 경상수지 흑자 46억달러
1987 19위 147,948 6월 민주항쟁
노태우 정부 1988 국민연금 제도 시행 [26]
1989 코스피 지수 1,015P
12.12. 증시 부양 조치[27]
1990 소련 수교
시장평균 환율제도
1991 수입자유화 (비율 - 97.3%)
1992 13위 355,525 중국 수교
김영삼 정부 1993 금융실명제[28][29]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1994 1인당 국민소득 10,357달러
1995 수출 1,000억 달러 돌파
부동산실명제
쓰레기 종량제[30]
1996 대한민국 OECD 가입 (29번째 가입국)
1997 11위 569,754 아시아 금융위기[31][32][33]
※대한민국의 17번째[34] IMF 구제금융 지원 (1965년~1997년) [35]
김대중 정부 1999 대우그룹 부도[36][37][38]
→ 분식회계 42조 - 세계 경제사의 최대 분식, 부도 사건
2000 닷컴 버블
2002 11위 627,246 카드 대란
노무현 정부 2004 1인당 GDP 대만 추월
2006 수출 3천억달러 돌파
2007 13위 1,172,614 코스피 지수 2,085P
이명박 정부 2008 글로벌 금융위기
2012 14위 1,278,427
박근혜 정부 2016 11위 1,500,111 사드 배치→중국의 경제보복[39][40]
문재인 정부 2017 국민소득 31,734달러
2019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대법원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반발 차원) ↔ 적절한 대처로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2020 글로벌 팬데믹 경제위기 ↔ 한국은 K-방역으로 코로나 특수 [41][42]
※GDP 순위 OECD 통계(9위), IMF 통계(10위)[43]
군사력 세계 6위[44]
2021 11위 1,818,432 코스피 지수 3,316P
윤석열 정부 2022 13위 1,673,917
2023 14위 1,712,793

[1] 순위는 위 사이트에서 수기로 직접 체크, 202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2] 김입삼 회고록 '시장경제와 기업가 정신'(39) '통화개혁' (한국경제, 1999.03.01.) [3] 증권파동을 계기로 우리나라 증권 시장에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도입(당시 상하한가폭 4%). 세계 선진 증권 시장에서는 일본 등 극히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상한가, 하한가 제도를 찾아보기 어려움. [4] 한국경제 비화 (조세금융신문, 2018.07.21) [5] 강성진의 증권반세기 "100배 솟구친 주식이 1/200토막…"(머니투데이, 2014.04.25) [6] 강성진의 증권반세기 "끝날 줄 모르는 탐욕에 또 다시…"(머니투데이, 2014.05.02) [7] 정운현의 역사 에세이 "삼성 사카린 밀수사건" (오마이뉴스, 2012.05.30) [8] 日기업 6곳, '朴 대선자금' 제공후 한일협정 체결돼 (노컷뉴스, 2019.8.13.) [9] '원조' 둔갑 8억달러 추적해보니…그 뒤엔 '전범기업' (JTBC, 2019.8.5.) [10] 대일 청구권 자금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쟁점이 있다.
첫째, 자금의 성격. 일본의 식민 지배가 불법이었으므로 '배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에 '독립축하금' 명목으로 자금을 제공하였다. 이는 일제 식민통치가 합법적인 것이었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이 관철된 결과였다.
둘째, 자금의 규모. 당초 대한민국 정부는 만 35년 간의 식민통치에 대해 8억 달러 배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1965년 수령한 독립축하금은 3억 달러에 불과했다. 참고로 2차 세계 대전 중 4년 간 일본에 점령되었던 필리핀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비준하기에 앞서 5.4억 달러의 '배상' 협정을 체결했다. 2억 5천만 달러의 상업 차관 제공은 별도였다.
이와 같이 일본과의 협상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유독 굴종적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군사 쿠테타로 집권한 까닭에 정권의 정통성 유지를 위해 미국, 일본에 의존적인 외교를 펼칠 수밖에 없었다. 둘째, 당시 주요 관료나 사회 지도층이 일본과 유착되어 있거나 일본을 동경하는 성향이 컸다.
[11] “박정희·김종필, 일본서 거액 정치자금 받았다”(경향신문, 2012.06.21) [12] "도둑놈" 고성에 욕설…법정 꽉 채운 200명의 노병들, 무슨 일(중앙일보, 2024.6.15.) [13] 경제기획원 등의 대다수 경제 관료가 사업추진을 반대했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사업의 경제성이 현저히 낮고, 둘째, 누적된 재정적자로 재정 부담이 과다했으며, 셋째, 기존의 경부국도나 경부선 철도 등을 고려할 때 중복ㆍ과잉투자라는 지적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대학교 상대 교수 전원이 반대 성명을 냈을 정도였다. [14] 경부고속도로 사업의 경제성과 관련하여,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었던 오원철의 회고록에서 몇 가지 흥미로운 비화를 발견할 수 있다.
당시 한국 정부는 사업비 조달을 위해 서독 정부 측에 차관 제공을 요청했는데, 실제 물동량을 파악하기 위해 방한한 실사단이 경부국도 중간 지점인 추풍령에서 살펴본 바 하루종일 3~4대 차량밖에 오가지 않았다고. 이를 의아하게 여긴 실사단이 헬기로 서울과 부산을 오갔는데도, 도로 상에 차량 통행량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이에 비경제성 이유로 거절하였다. 추후 차관 제공을 요청 받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도 상기와 같은 실사 과정을 거쳤으나 결과는 동일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일본 외채로 공사비를 조달하게 된다.
한편 현대건설 정주영 회장은 예상되었던 공사비의 절반 가량을 제시하여 전체 공사구간의 50% 이상을 수주했다. 이에 따른 부실공사의 결과로 공사비 이상의 보수비가 소요되었다고 한다. 예컨대 겨울철 얼어붙은 땅 위에 제대로 된 기초공사도 없이 아스팔트를 들이부어, 다음 해 봄 바로 보수공사에 들어간 구간도 있었을 정도라고.
[15]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프레시안, 2015.1.1.) [16] 천자칼럼 '제2의 중동특수' (한국경제, 2012.02.26) [17] 한국무역협회 통계 [18] 박정희 파헤친 '프레이저 보고서' (한겨레, 2014.02.19.) [19] "박근혜 증권 채권 반 트럭 분량 가져왔다" 증언 나와 (TV조선, 2017.04.15.) [20] "재벌 독대, 정경유착, 부패는 박정희 모델의 핵심" [21] 전두환 취임사 중 일부 발췌 -
지난 36년 간에 있었던 혼란과 전쟁과 갈등이 대단히 어렵고 괴로운 시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 모두는 스스로 겪은 체험과 역사적 교훈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고통으로부터 해방될 것을 줄기차게 갈망하였습니다.
그것은 첫째, 전쟁의 위협으로부터의 해방이요. 둘째, 빈곤으로부터의 해방이며 셋째는 정치적 탄압과 권력남용으로부터의 해방입니다.
본인은 주어진 임기동안에 국민 모두가 오랫동안 갈구하고 희망하고 요청해온 이 세가지의 해방을 쟁취하기 위하여 본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능력과 애정을 다 바쳐 일할 것을 이 자리에서 분명히 밝혀 두는 바입니다.
[22] 파일:세계 부채현황(81년).jpg 매일경제 1982년 10월 18일자 기사에 등재된 세계 주요 채무국의 외채 현황표에 따르면, 한국의 외채는 세계 4위로 325억 달러에 달한다. [23]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24] 파일:세계 부채현황(82년).jpg OECD 통계, 1982년 말 한국의 외채는 380억 달러였다. 이는 아르헨티나와 같은 액수였다. [25] 대통령 한 마디에 언론들이 앞다퉈 내놓은 기사(오마이뉴스, 2024.08.10.) [26] 내년부터 시작될 국민연금… (MBC, 1987.4.16.) [27] 당시 명동을 뒤덮었던 주식 주문표 [28] [오늘 다시보기] 금융실명제 시행 첫날 (MBC, 2018.08.13.) [29] 금융실명제 전격 발표..금융시장 마비 (이데일리, 2013.08.07.) [30] "쓰레기 종량제 추진했더니 살해협박…그때 YS 결단 있었다" (중앙일보, 2024.06.05.) [31] 대한민국에서 IMF사태라고 불리는 '아시아 금융위기'는 아시아 경제의 중심국가였던 일본의 장기 불황으로 인해, 주변국가(태국 등 동아시아)에서 발생, 확산한 금융위기였다. [32] 일본경제`제조업 우위' 믿다 금융전쟁서 완패 (조선일보, 1998.6.16.) [33] "과감한 금융개혁-엔화 국제화 절실" (조선일보, 1998.6.16.) [34] 파일:정인용회고록.jpg "그 사이 우리나라는 IMF와 열여섯번째 스탠드 바이 차관 협정을 맺었고, 결국 그 돈을 다 갚아 버렸다. 열일곱번째 협정이 바로 97년의 IMF 구제 금융이었다. 우리나라의 IMF 대표부는 87년, 생긴지 23년 만에 철수했었다. 그로부터 10년만에 다시 IMF를 불러들인 것이다." - 정인용(전 경제부총리) 회고록 [35] 국제통화기금(IMF) [36] 빚으로 쌓아올린 모래성, 빚으로 무너지다(오마이뉴스, 2020.02.07.) [37] 대우그룹서 대우조선까지… 부실 덮는 '검은 손' 똬리(국민일보, 2016.6.23.) [38] [조윤제 시론] 대폭 출자전환 있어야 (조선일보, 2001.3.13.) [39] '사드보복' 때 한국 돕지 않은 美, 中의 경제강압 대응팀 구성 (연합뉴스, 2024.04.30.) [40] 드디어 팔렸다…롯데百, 中 마지막 매장 11년 만에 매각 (헤럴드경제, 2024.08.29.) [41] 코로나가 中企 수출 살렸다…‘K방역’ 견인 (서울경제TV, 2020.10.20.) [42] 팬데믹 시기 벌어진 물류난으로 (...) 해운업계 호황 (머니투데이, 2024.02.14.) [43] OECD, IMF의 세계 GDP 통계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본 카테고리에서는 World Bank 수치로 연표 작성. [44] 한국, 세계 군사력 순위 6위…북한, 8계단 하락 25위 그쳐 (한겨레, 20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