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16 15:36:35

다발성 골수종

암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발생 위치에 따른 종류
<colbgcolor=#f5f5f5,#555555><colcolor=#000,#fff> 간암 · 갑상샘암 · 고환암 · 골육종 · 교모세포종 · 구강암 · 구순암
난소암 · 뇌종양 · 뇌하수체 종양
다발성 골수종 · 담관암 · 담낭암 · 대장암 · 두경부암
림프종
메켈세포암종
방광암 · 백혈병 · 복막암 · 부신암 · 비암 · 비장암
설암 · 소장암 · 식도암 · 신장암 · 심장암 · 십이지장암
악성중피종 · 안암 · 요관암 · 요도암 · 외음부암 · 외이도암 · 위암 · 유방암 · 음경암 · 인두암
자궁경부암 · 자궁내막암 · 전립선암 · 종격동암 · 직장암 · 질암
췌장암 · 치은암 · 치종암 · 침샘암
카포시육종
테라토마
편도암 · 폐암 · 피부암
항문암 · 혈액암 · 횡문근육종 · 후두암
진행에 따른 종류
1기(초기) 2기(중기) 3기(후기) 4기(말기)
}}}}}}}}} ||
국제질병분류기호(ICD-10) C90.0
진료과 혈액내과
관련증상 빈혈 증상, 골통증, 신부전 증상, 감염
관련질병 혈액암, 림프종, 백혈병

1. 개요 및 원인2. 증상3. 진단4. 치료5. 그 외 형질세포(plasma cell) 관련 질병

[clearfix]

1. 개요 및 원인

/ multiple myeloma

'형질세포(plasma cell)'라고 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백혈구에서 기원한 종양이다. 중요한 점은 단 하나의 항체를 생성하는 형질세포 혈통에서 종양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일클론성 면역글로불린(monoclonal immunoglobulin)이 발견된다. IgG 및 IgA 항체가 주를 이룬다.

혈액암의 일종이기 때문에 해부학적인 특정 위치에 국한되어 있는 일반 과 달리 수술이 불가능하여 바로 전신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항체가 단백질이기 때문에 혈중 단백질 수치가 높아지는데, 단백질 수치가 높은 것에 비해 원래 우리 혈액에서 가장 많아야 할 알부민 수치는 별로 높지 않은 것에서 의심할 수도 있다.

주로 50대 이상의 환자군에게서 발견되며, 미국에선 특히 흑인에게서 자주 발견된다고 한다.

병이 진행되면서 골수(bone marrow)에 상주하는 다양한 혈액 세포들이 이 형질세포(plasma cell)로 대체되며, 이로 인해 빈혈(anemia), 백혈구 감소증(neutropenia) 및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의 증상이 나타난다.

2. 증상

미친듯이 생성된 항체로 인해 전신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 골격(skeletal) 관련 증상
    • 형질세포(plasma cell)의 직접적인 골세포 용해(lysis)와 더불어 이 종양세포가 뼈 파괴세포 활성인자(osteoclast activating factor)를 분비해 증상이 나타난다.
    • 골통(bone pain) - 골세포 용해로 인해 통증이 발견되고, 이로 인해 골절(fracture) 및 척추의 붕괴(vertebral collapse)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요통(LBP), 갈비뼈(ribs) 및 턱뼈(mandible)에 통증이 자주 나타난다고 한다.
    • 척추의 붕괴로 인해 키가 줄게 된다.
    • 고칼슘혈증(hypercalcemia)이 나타나게 된다.
  • 빈혈(anemia)
    • 종양의 골수(bone marrow) 침입 및 신부전(RF)으로 인한 EPO 호르몬 저하로 정상적혈구빈혈(normocytic anemia)이 나타난다.
  • 신부전(renal failure)
    • 골수종신장증(myeloma nephrosis)은 과다하게 생성된 항체가 신요관(renal tubules)에서 침전하면서 신부전을 일으키고, 특징적으로 벤스 존스 단백질(Bence Jones protein) 원주(cast)가 발견된다.
    • 고칼슘혈증(hypercalcemia)으로 인해 신장의 기능이 저하된다.
  • 반복적인 감염(infection)
    • 항체가 정상적으로 생산되지 않아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킨다.
    • 다발성 골수종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가장 흔한 합병증(70% 이상의 원인)이다.
  • 척수압박증(cord compression)
    • 형질세포종(plasmacytoma) 및 척수 골절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환자에게서 드물게 보여지나 상당히 위급한 응급증상이다. 이 경우 급히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고 MRI를 통해 영상적인 진단을 내리게 된다.

3. 진단

우선 혈청(serum) 및 소변내 단백질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해 단일클론성 면역글로불린의 증가(monoclonal spike)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를 M-Protein 이라고 한다. 또한 X-ray를 통해 뼈를 검사할 시 용해적인 뼈의 병변(lytic bone lesion)이 발견되는데, 이때 구멍이 뚫린 병변(punched out lesion), 골다공증 및 골절(fracture)이 보여지게 된다.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하기 위해선 골수의 생검(biopsy)이 꼭 필요하며, 이때 10% 이상의 비정상적인 형질세포(plasma cell)가 발견되게 된다.

그 외 보여질수 있는 다른 검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 혈청에 전체적인 단백질 수치 증가(hyperglobulinemia)
  • 말초혈액도말검사(Peripheral blood smear)시 적혈구의 염주형성(rouleaux formation) 발견[1]
  • ESR 수치 증가
  • 소변 내 Bence Jones 단백질 발견
  • 질병이 진행되면서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백혈구 저하증(leukopenia) 등이 나타남

이를 종합하여,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골수 생검시 10% 이상의 비정상적 형질세포의 발견과 "더불어" 아래 검사결과가 하나 이상 보여질 경우.
    • 혈청 내 M-Protein이 보여질 경우
    • 소변 내 M-Protein이 보여질 경우
    • 뼈의 영상적 검사 시 용혈성 병변(lytic lesion)이 보여질 경우(well defined radiolucencies)

4. 치료

가장 선호되는 치료는 자가조직 조혈성 세포 이식술(HCT)이라는 "골수이식술"이다. 이는 항암치료에 비해 환자의 생존률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식술의 경우 주로 젊거나 관련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환자군에 한해서 이루어진다. 만일 HCT 이식술을 시행할 경우 항암치료는 시작하지 않는다.

항암치료의 경우 알킬화약물인 melphalan 등이 사용되며, 만일 항암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나 통증을 줄이기 위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특이하게 탈리도마이드를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혈액암 중 근 20년동안 치료 요법이 가장 발달한 질병이고, 진단을 받은 후 평균 생존기간은 4-10년이며, 이는 환자의 나이, 자가조혈모세포 이식 후 1차 재발 기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도 환자의 긍정적인 정신 상태와 의지, 주변 가족의 격려와 도움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다른 암보다도 치료 기간이 장기적이기 때문에 주변 가족이 환자 본인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돌봐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5. 그 외 형질세포(plasma cell) 관련 질병

미확정단일클론성면역글로불린혈증(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은 주로 노인층에게서 보이는 질병으로, 관련증상이 보이지 않는 형질세포의 전암상태(premalignant)이다. 약 20%의 환자에게서 10-15년 안에 다발성 골수종(MM)이 발병된다고 하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서 이 질병이 나타났다고 한다.

진단은 IgG 항체 수치 증가(spike)가 3.0 g 이하, 골수 생검시 10% 이하의 비정상적 형질세포, Bence Jones 단백질이 1 g/24 hours 이하로 발견되며, 위에 서술된 다발성 골수종의 증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뚜렷한 치료법은 없으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다발성 골수종의 발병을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고 한다.

발덴스트롬마크로글로불린혈증(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혹은 원발성 고분자글로불린혈증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병은 형질세포모양 림프종(plasmacytoid lymphocytes)의 전이로 인해 증상이 나타난다. 이 세포들은 다발성 골수종과 달리 IgM 항체를 과다하게 생성하는데, 다른 항체에 비해 IgM 항체가 크기 때문에 과다점성증후군(hyperviscosity syndrome)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망막혈관(retinal vessel)이 확장되면서 출혈이 발생하며 맹아(blindness)로 진행될 수 있다. 그 외 무기력함, 체중저하, 신경결손(neurologic symptoms), 임파선염(lymphadenopathy), 비장종대(splenomegaly), 빈혈,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전기영동(electrophoresis) 검사시 IgM 수치가 5g/dL 이상으로 나타나며, 약 10%의 환자에게서 Bence Jones 단백질이 발견된다. 뼈와 관련된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역시 뚜렷한 치료법이 없으며, 항암치료제 및 혈장분리교환법(plasmapheresis)을 통해 과다점성증후군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다.


[1] 혈청의 단백질 수치 증가로 인해 적혈구가 서로 응집하면서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