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나무위키:프로젝트/한자/성과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문서는 나무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 | |||
지진 | 천문학 | 의학 | 한자 |
[clearfix]
1. 개요
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는 2016년 10월 29일에 전 관리자 base64의 허가를 받아 사용자 SVHL이 개설한 프로젝트입니다.2. 프로젝트 홍보
로 홍보해 주세요.
문법은
[include(틀:유저박스/프로젝트,프로젝트=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입니다.3. 프로젝트의 목적
이 프로젝트는 한자(漢字)들이나 한자와 관련된 내용의 문서를 만들거나 보충하는 프로젝트입니다.또한, 한자 문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문서들에 등장하는 한자에 링크를 겁니다.
4. 참가 방법
4.1. 문서 생성
- 등재하고자 하는 한자를 검색합니다.
- 없으면 문서를 만듭니다.
- (권장 사항) 문서 작성을 끝마쳤으면 한자/색인/음별, 한자/색인/부수별, 한자/색인/획수별 문서에 가서 목록에 자신이 등재한 한자를 차례에 맞게 추가합니다.
- (권장 사항) 한자의 훈음, 신자체, 간체자, 이체자[1] 등을 리다이렉트 문서로 추가합니다.
- (선택 사항) 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성과에 자신이 생성한 문서를 기록합니다.
4.2. 문서 작성 시 조건(템플릿 규정 해설)
4.2.1. 템플릿:한자 규정 해설
- 본 템플릿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에 명시되어 규정의 효력을 가지며, 세부 지침 및 양식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2년 2월 부로 양식이 일부 개정되었으니 참고 바랍니다.
한자의 표준자형, 대표훈음, 부수, 나머지 획, 총획수, 급수는 한국어문회의 배정한자표에서 지정한 것(
링크)을 따릅니다.
-
원칙적으로 어문회 급수가 배정된 한자의 훈음은 어문회에서 정한 것을 따릅니다. 그러나 본문이나 훈음 리다이렉트는 이러한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어문회에서 정한 훈음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또는 그 하위문서(예: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4급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日: 날 일(O), 해 일(X)
數: 셈 수(O), 셀 수(X), 자주 삭(X)
北: 북녘 북, 달아날 배(O) -
나머지 획이나 총 획수를 세는 기준도 원칙적으로 어문회에서 정한 것을 따릅니다. 관련 자료는 어문회에서 공식 홈페이지의 '한자능력급수'>'학습자료'>'기타자료'>'배정한자 전체 대표훈음 부수 음표 명기본'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花( 艸 + 4획): 총 획수 8획(O), 7획(X)
近( 辵 + 4획): 총 획수 8획(O), 7획(X)
한국에서 사용되나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에 없는 한자의 대표훈음은 그 한자의 용례를 고려하여 기재합니다.
- 한국에서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한자의 부수는 형태의 변형 여부에 상관없이 본래의 형태로 기재합니다.
-
일부 부수는 다른 한자와 결합할 때 형태가 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부수는 본래의 형태로 기재합니다.
예시
花: 艸(O), 艹(X)
近: 辵(O), 辶(X)
江: 水(O), 氵(X)
- 일본어 훈독을 히라가나, 일본어 음독이나 외국어 훈독을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것은 일본어 사전의 관습을 따른 것입니다.
-
오쿠리가나는 주로 활용어미를 나타내기 위해 훈독의 일부를 가나로 적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일본어 사전이나 일본의 한자 사전에는 오쿠리가나의 경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시
失: うしな-う(O), うしなう(X), ウシナウ(X), ウシナ-ウ(X)
三: サン(O), さん(X)
頁: ページ(O), ぺーじ(X)
* 상용한자표에 등재된 독음이지만 특이한 독음이라고 명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괄호를 표기하며, 미등재된 독음 또는 표외한자의 독음은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통용규범한자자전」에 미등재된 독음 또는 「통용규범한자표」 기준 일급자나 이급자가 아닌 한자의 독음은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대만에서 쓰이는 독음과 중국 대륙에서 쓰이는 독음이 다를 경우에는 대만에서 쓰이는 독음을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비상용독음은 상용독음보다 뒤에 사전순으로 기재하며, #c88(연한 빨간색)로 표기합니다.
* 「통용규범한자자전」에 미등재된 독음 또는 「통용규범한자표」 기준 일급자나 이급자가 아닌 한자의 독음은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대만에서 쓰이는 독음과 중국 대륙에서 쓰이는 독음이 다를 경우에는 대만에서 쓰이는 독음을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비상용독음은 상용독음보다 뒤에 사전순으로 기재하며, #c88(연한 빨간색)로 표기합니다.
-
일본어(
상용한자표) 또는 중국어(
일급자(1),
일급자(2),
이급자(1),
이급자(2))의 독음은, 앞에서 제시한 문서에 해당 독음이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아예 해당 한자가 등재되어 있지 않으면 #c88(연한 빨간색)으로 표시합니다.
예시
爲[2]: イ(O), ため(O)[3], ため(X)
其: そ-の(O)[4], そ-の(X)
夕: xī(O), xì(O)[5], xì(X)
醵: jù(O)[6], jù(X)
* 비상용독음은 상용독음보다 뒤에 사전순으로 기재하며, #c88(연한 빨간색)로 표기합니다.
* 일본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오십음도 순서를 따릅니다(JIS X 4061( 링크)의 4.4.10 및 5.1 참고).
* 중국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라틴 문자 순서를 따릅니다(GB/T 13418-1992( 링크)의 5.1.1, 5.2.5.5 및 5.2.6.6 참고).
* 일본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오십음도 순서를 따릅니다(JIS X 4061( 링크)의 4.4.10 및 5.1 참고).
* 중국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라틴 문자 순서를 따릅니다(GB/T 13418-1992( 링크)의 5.1.1, 5.2.5.5 및 5.2.6.6 참고).
- 일본어 비상용독음을 배열할 때의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적으로 あいうえお 순으로 정렬하되, 탁음이나 반탁음이 있을 경우 탁점(゛)과 반탁점(゜)을 제거한 상태에서, 가타카나가 있을 경우 히라가나로 고친 상태에서 정렬합니다.
예시
撥: バチ→ハツ(O), ハツ→バチ(X)
誦: ジュ→ショウ(O), ショウ→ジュ(X)
米: メートル→よね(O), よね→メートル(X) -
다른 요소가 동일할 때는 청음→탁음 순으로 정렬합니다
예시
劫: コウ→ゴウ(O), ゴウ→コウ(X)
呆: ホウ→ボウ(O), ボウ→ホウ(X) -
비상용독음은 사전순과 상관없이 항상 상용독음 뒤에 옵니다.
예시
乙: オツ→イツ(O), イツ→オツ(X)
二: ニ→ジ(O), ジ→ニ(X) - 중국어 비상용독음을 배열할 때의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4.2.2. 기타
-
급수가 배정된 한자는
[[분류:XX급 한자]]
를, 급수가 배정되지 않은 한자는[[분류:급수 미배정 한자]]
를 꼭 써주시기 바랍니다. -
외국어 훈독이 있는 한자는
[[분류:일본어 훈독이 외국어인 한자]]
-
한국어 훈이 외국어인 한자는
[[분류:한국어 훈이 외국어인 한자]]
- 瓲(톤 톤)
-
별도로 독립된 문서로 만들 명분이 없는 한 간체자, 신체자, 이체자 등은 해당 글자의 정자[8]로 리다이렉트하는 것을 권합니다.
간혹 하나의 한자가 두 개 이상의 한자로 리다이렉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메타 문서 처리하며,[[분류:동음이의어/기타 문자]]
를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发 → 發, 髮 -
한자는 다른데 훈음이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한자는 다른데 훈음이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한글 훈음을 메타 문서로 작성, 혹은
훈음이 같은 한자의 하위 문서에 리다이렉트하고 각 한자를 문서로 만들면 됩니다. 이때,
[[분류:훈음이 같은 한자]]
를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4.3. 문서 편집 방향
1. 새로운 한자 문서를 등재할 때나 기존 한자 문서에 훈음 리다이렉트가 없는 것을 발견하였을 시 훈음 리다이렉트를 추가합니다.2. 용례 부분은 가나다순으로 편집하며, 유의자, 상대자, 모양이 비슷한 한자 부분도 음을 기준으로 가나다순으로 편집합니다. 음이 같을 경우에는 훈을 비교하여 가나다순으로 편집합니다.
<기타>
4. 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 분류:같은 한자를 세 개 합친 한자, 분류:같은 한자를 네 개 합친 한자가 있으니 이런 모양의 한자를 문서로 만드실 때 분류를 넣어주시면 좋겠습니다.
5. 분류:갖은자, 분류:국자, 분류:일본 고유 한자, 분류:중국에서만 쓰이는 한자, 분류:훈을 알 수 없는 한자, 분류:음을 알 수 없는 한자, 분류:다음자/한국어, 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도 적절히 사용해 주십시오.
4.3.1. 문단 편집
위와 같이 문단을 만들어 놓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위의 방식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많은 한자 문서에서 이 구성을 따르고 있을 뿐 아니라 한자 문서를 만들 때 알기 쉬운 가이드라인이 되어 줄 것입니다. 기존의 여러 한자 문서들을 검색하고 편집하다 보면 문단 구성뿐 아니라 세세한 서술 방식에 대한 감도 생길 것입니다. 이 역시 꼭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따르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문단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clearfix]
는 문서 우상단에 삽입하는 템플릿 때문에 꼭 삽입해주셔야 합니다.훈의 특성상 유의자[9]나 상대자[10]가 존재할 수 없는 한자는 유의자 및 상대자 문단을 생략하셔도 무방합니다.
5. 팁
한자의 정보를 찾고자 할 때에는 네이버 한자사전[11], goo辞書[12], 漢典[13], 윅셔너리 영문판[14] 등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6. 훈음
- 네이버 한자사전은 잘못된 훈이나 음을 안내하는 잘못된 면이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네이버 일본어사전 역시 한자의 독음 및 오쿠리가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7. 자형
정자 | 신자체 | 간체자 |
步(걸음 보) | 歩 | - |
弱(약할 약) | 弱 | |
翼(날개 익) | 翼 | 翼 |
者(놈 자) | 者 | |
擢(뽑을 탁) | - | 擢 |
淸(맑을 청) | 清 |
위와 같이 신자체에서만 변형이 일어나기도 하고, 간체자에서만 변형이 일어나기도 하고, 모두 변형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弱의 경우 신자체와 간체자 모두 변형이 일어나지만, 弱이 포함되어 있는 한자, 곧 溺(빠질 닉), 搦(억누를 닉)에서는 간체자에서만 변형이 일어나는 등 불규칙한 면이 있으니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요컨대 羽(깃 우) 모양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서 그 부분이 꼭 羽 모양으로 바뀌는 것이 아니며, 翰(편지 한) 역시 간체자에서만 이와 같은 변형이 일어나는 예입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이 불규칙한 사례는 많으니 절대 자형을 지레짐작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步와 涉(건널 섭)은 신자체에서만 획수가 하나 추가되지만(歩, 渉), 陟(오를 척)은 신자체와 간체자 모두 이러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 翟(꿩 적)이 포함된 한자 역시 변화 양상이 통일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책받침)이나 ⺬(보일시변)이 들어가는 다수의 한자는 신자체에서 자형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템플릿에서 신자체가 누락된 문서들이 남아 있으므로 발견 시 빈칸을 채워 주시기 바랍니다. 주의할 것은 책받침이나 보일시변이 들어갔다고 해서 무조건 차이가 난다는 것이 아니며, 해당 한자가 상용한자표에 들어가 있을 경우 그렇다는 것입니다.
7.1. 용례
네이버 한자사전 단어 탭에 한자를 검색하면 그 한자가 쓰이는 용어들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용례를 입력할 때는 가급적 나무위키에 문서로 등록되어 있는 단어, 혹은 자주 쓰이는 단어를 우선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7.2. 고사성어
네이버 한자사전 고사성어·숙어 탭에 한자를 검색하면 그 한자가 쓰이는 고사성어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7.3. 인명
- 위키백과 검색창에 성씨로 자주 쓰이는 한자(예컨대 金, 李, 朴 등) + 띄어쓰기 + 해당 한자를 검색하면 해당 한자를 쓰는 인명을 쉽게 검색할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 일본인 인명에 쓰이는 사례는 일본의 성씨 목록 문서에서 Ctrl + F로 페이지 내 검색을 통해 찾아보시면 도움이 됩니다.[15]
7.4. 지명
- 위키백과 검색창에 해당 한자 + 띄어쓰기 + 행정구역 단위를 나타내는 한자(예를 들어 道(도)[16], 市(시)[17], 洞(동), 郡(군)[18], 邑(읍), 里(리), 面(면), 県(현)[일본], 都(도)[일본], 町(정)[일본], 村(촌)[22], 省(성)[중국], 县(현)[중국], 区(구)[25] 등)를 검색하면 해당 한자를 쓰는 지명을 쉽게 검색할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 네이버 한자사전 단어 탭에 한자를 검색하면 그 한자가 쓰이는 한국의 지명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주로 페이지 끝자락에 나와 있습니다.
7.5. 자원(字源) 설명
현재 한자의 표준 자형은 원시적인 형태에서 매우 크게 벗어났기 때문에, 현재 자형을 기준으로 자원을 풀이하려고 하면 경우에 따라 매우 잘못된 해석을 낳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서체 중에서 한자의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서체는 갑골문이므로, 자원을 설명할 때는 가급적 갑골문을 기준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온라인 상으로 검색할 때는 구글에다가 '(찾고자 하는 한자) 甲骨文'이라고 입력한 다음 이미지를 검색하면 웬만해서는 나오지만, 되도록 여러 자형을 참고하고 싶을 때는 汉字字源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정리가 매우 잘 되어 있지만 모든 갑골문을 수록한 것은 아니어 보이니, 자원을 명확히 하고 싶은 기여자는 여러 사전을 검색하며 비교할 것을 권장합니다. 네이버 사전에 올라와 있는 풀이는 근거를 알 수 없는 것도 있으니 적절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외에 古今文字集成, 漢語多功能字庫 등의 사이트도 참고할 만합니다.7.6. 육서 분류
해당 문서에도 충분히 설명되어 있지만, 육서는 한자를 분류할 때 그다지 좋은 기준이 되지 못합니다. 자원을 풀이하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상형자와 지사자, 회의자와 형성자, 독체자와 합체자가 얼마든지 오락가락할 수 있는 것이 육서입니다. 따라서 복수의 카테고리에 해당한다고 의심되거나 어느 쪽에 분류할지 감이 잘 안 잡힌다고 생각될 시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명시해 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7.6.1. 회의자와 형성자
회의자와 형성자에 관해서는 항상 조심스럽게 다뤄야 합니다. 어떤 글자가 형성자인지를 판별할 때는 현대의 한국 한자음을 기준으로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한자가 만들어질 당시와 현대 사이에는 2000년이 넘는 간극이 존재하며, 그 동안 한자음은 영어의 대모음추이보다도 더한 극심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형성자 판별을 위해서는 시경 등을 통해 압운을 찾아 보고, 상고음에서 중고음으로 넘어갈 때의 음운 변화 규칙을 숙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지만, 중국 음운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Pulleyblank, Zhengzhang Shangfang, Baxter–Sagart 등의 언어학자들이 재구한 상고음을 토대로 판별하고 서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Zhengzhang Shangfang, Baxter–Sagart의 재구음은 비교적 최근에 연구된 것이기도 하고, 온라인 상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만약 어떤 글자가 형성자라고 판단될 경우, 성부(聲符)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소위 우문설)은 되도록 삼가시기 바랍니다. 독자에게 도리어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의미를 부여한다고 해도, 성부가 성부임을 명시하고, '성부에 이러이러한 식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라는 식의 열린 서술을 권합니다.
7.6.2. 참가자 서명
- 개설자
- 참가자
-
whatback11[영구차단] - LR11
-
Wikipedia[영구차단] - e080hsm
- jinmy0413
- meatloaf
-
treecyclopedia[영구차단] -
blackbox20150927[30] -
seohae1999[영구차단] - cdkshadow
- mint
- DODOKE
- dorabiarep
- Ev3rlasting_
-
yellowlove[영구차단] - ktiger0412
- wopre
-
iinarnu[영구차단] - 가을사람
- mikajja
- ToPenKun
- slsnsn01
-
Alowercreature2[영구차단] - qudtnf2006
- yjs4655
- jhp0148
- Luke
- unitedkingdon1015
- AraragiKoyomi
- kinsunbe123
- Quaral
- Yunchikztunes437
- ufo001
- cgj5232
- yh1
- kira248
- dgr487
- sweethan810
- KiPyu
- kid219
- nextspaceedition0110
- EunDaeng
- Hahahyunwoo
- tetsuline
- gotcha
- Courage = New_Courage
- shiritorinokami
- HARTH_STONEBREW
-
js1400cdef[영구차단] - Triumph
- sintaro
- wjdEhdrh
- coronahater1002
- Light7
- joe310
-
rkdcl[영구차단] - sumi9981
- Piko2ju935
- youcl
- Sksooskwmw
- Bee
-
Under78[영구차단] - Matryoshka
- Stg123
- samcheonli
-
aahidden1[영구차단] -
rkdalswjd3[영구차단] - som0926
- SYSTEMEOW
- Hanjafactory[40][탈퇴]
- Pond
- soyi90
- khm1011
- Omokgyo
- befl1914
- yuki2730
- milk8662
- mycar1885
- seoseunghan0417
- sontopman
- jmjang1212
- yesyouare
- hwag0426
- hoit
- uk9504
- dekiruko
- kometvest
- yunjae130308
- spinodal
- Gans
- lollstv
- NyS_12
- jilijilij
7.7. 문서 편집 필요
7.8. 작성이 필요한 문서
작성된 문서는 목록에서 지워 주시기 바랍니다.- 각종 기초가 되는 한자들. 어려운 한자를 문서로 만드는 것도 좋지만 기본 한자도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 오히려 기본적이고 쉬운 한자가 용례가 풍부하니 문서 만들기엔 더 좋습니다.
- 현재 1급 한자까지의 한자들은 모두 작성되었습니다.
틀을 좀 만들어봤습니다. 여기 있는 것들 문서로 만들어서 문법적 기능을 설명해야 합니다. '그 외'는 기본적인 뜻은 어조사가 아니지만 어조사로 쓸 때도 있는 한자들입니다. 그 중 대부분은 개별 문서로 만드는 것이 무의미할 것 같아서 링크는 안 걸었습니다. 아예 문서 이름을 '어조사 마'로 하고 그 훈음을 가진 한자 3개는 리다이렉트 거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링크가 걸려 있는 것들은 문서로 만들어야 할 것 같은 한자들입니다. 그 이외에도 문서로 만들면 좋을 것 같은 한자들은 개별 문서로 만들어주세요. 문서 만들 때는
[include(틀:한문의 어조사)]
|
8. 보충이 필요한 문서
내용이 부족하거나 토막글인 문서를 여기에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급히 만드느라 용례가 없는 한자 문서들이 많습니다. 보인다면 이 문단에 추가해 주십시오.
- 한자의 훈음·신자체·간체자 리다이렉트가 없는 한자 문서가 있습니다.
- 별도의 분류:한자의 하위 분류가 배속되어 있는 이상, 분류:한자는 필요없습니다. 예를 들어 竝 문서는 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와 분류:3급 한자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분류:한자를 넣지 말아야 합니다. 불필요한 분류:한자를 보실 경우 삭제하거나 하위 분류로 대체해 주십시오.
- 한자/목록/음별, 한자/목록/부수별, 한자/목록/획수별에 누락된 한자들이 많습니다.
-
각 한자의
유니코드,
창힐수입법도 '상세' 문단에 넣어주시면 좋겠습니다. 네이버 한자사전이 업데이트되면서 한자의 유니코드가 나오게 되었으니 쉽게 볼 수 있습니다.
9. 어문회 급수 훈음 갱신
어문회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배정한자표의 대표훈음을 따라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문서의 모든(준4급~특급 포함) 한자의 훈음이 갱신되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배정한자표에도 극히 일부분에서 오타나 잘못된 정보가 확인되는바, 지침서와 인터넷 배정한자표에서 제시하는 대표훈음에 차이가 있는지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10. 템플릿 수정 필요
10.1. 프로젝트 성과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프로젝트/한자/성과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별 문서로 생성할 당위성이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합니다. 가령
柒의 경우
漆의 속자지만,
七의
갖은자로 쓰이기도 합니다.
[2]
爲는
상용한자표에 為의 구자체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3]
상용한자표에 등재되지 않은 독음
[4]
상용한자표에 등재되지 않은 한자의 독음
[5]
대만 표준 독음
[6]
통용규범한자표 삼급자에 등재된 한자의 독음
[7]
이 글자는 통용규범한자표 이급자에 등재되어 있지만, 중국어 상용독음도 비상용독음과 마찬가지로 사전순으로 정렬되므로 예시로 제시합니다.
[8]
어문회 급수가 배정되어 있을 경우 어문회 기준
[9]
渽(강이름 재)와 같이 고유한 대상만을 가리키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
[10]
人(사람 인),
口(입 구)와 같이 의미상 상대되는 어휘가 없는 한자
[11]
훈, 음, 부수, 획수,
한자검정시험 급수 등.
[12]
신자체, 훈독, 음독 등.
[13]
간체자, 중국어 병음 등.
[14]
중국어 언어별 발음(광동어, 객가어, 민둥어, 민난어, 우어 등), 베트남어(쯔놈) 발음, 유니코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입력방법 등.
[15]
단 이 경우에는 성씨만 검색되고 이름에 쓰이는 사례는 찾기 힘듭니다.
[16]
한국, 일본 공통.
[17]
한국, 중국, 일본 공통.
[18]
한국, 일본 공통.
[일본]
주로 일본.
[일본]
[일본]
[22]
일본
[중국]
주로 중국.
[중국]
[25]
일본, 중국 공통.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30]
계정을 이용하지 않는다.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40]
1.226.33.95와 동일인.
[탈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