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4 11:15:56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수학 상수
Mathematical Constant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math(0)]
(덧셈의 항등원)
[math(1)]
(곱셈의 항등원)
[math(sqrt{2})]
(최초로 증명된 무리수)
[math(^\ast)]
[math(495)], [math(6174)]
( 카프리카 상수)
[math(0)], [math(1)], [math(3435)], [math(438579088)]
( 뮌하우젠 수)
[math(pi)]
(원주율)
[math(^{\ast\ast})]
[math(tau)]
(새 원주율)
[math(^{\ast\ast})]
[math(e)]
(자연로그의 밑)
[math(^{\ast\ast})]
[math(varphi)]
(황금비)
[math(^\ast)]
[math(i)]
(허수단위)
[math(G)]
(카탈랑 상수)
[math(^{\ast?})]
[math(zeta(3))]
(아페리 상수)
[math(^{\ast\ast?})]
[math({rm Si}(pi))]
(윌브레이엄-기브스 상수)
[math(^{\ast?})]
[math(gamma)]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math(^{\ast?})]
[math(gamma_n)]
(스틸체스 상수)
[math(^{\ast?})]
[math(Omega)]
(오메가 상수)
[math(^{\ast\ast})]
[math(2^{sqrt{2}})]
(겔폰트-슈나이더 상수)
[math(^{\ast\ast})]
[math(C_n,)]
(챔퍼나운 상수)
[math(^{\ast\ast})]
[math(A,)]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math(^{\ast?})]
[math(A_k,)]
(벤더스키-아담칙 상수)
[math(^{\ast?})]
[math(-e, {rm Ei}(-1))]
(곰페르츠 상수)
[math(^{\ast?})]
[math(mu)]
(라마누잔-졸트너 상수)
[math(^{\ast?})]
[math(B_{2})], [math(B_{4})]
(브룬 상수)
[math(^{\ast?})]
[math(rho)]
(플라스틱 상수)
[math(^\ast)]
[math(delta)], [math(alpha)]
(파이겐바움 상수)
[math(^{\ast?})]
[math(G)]
(란다우 상수)
[math(^{\ast?})]
[math(C_A)]
(아르틴 상수)
[math(^{\ast?})]
[math(^{\ast?})]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음
}}}}}}}}} ||
1. 개요2. 항등식3. 벤더스키-아담칙 상수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Glaisher-Kinkelin constant

글레이셔-킨켈린 상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상수로, 잉글랜드의 수학자 제임스 위트브레드 리 글레이셔 스위스의 수학자 헤르만 킨켈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 &= \lim_{n\to\infty} \frac{\prod_{k=1}^n k^k}{n^{\frac{n^2}2+\frac n2+\frac1{12}} e^{-\frac{n^2}4}} \\
&\approx 1.2824271291
\end{aligned} )]

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n A &= \lim_{n\to\infty} \Biggl[ \sum_{k=1}^n k\ln k -\!\biggl( \frac{n^2}2 +\frac n2 +\frac1{12} \biggr) \!\ln n +\frac{n^2}4 \Biggr] \\
&\approx 0.248754477
\end{aligned} )]

2. 항등식

  • 제타 함수의 미분값 중 일부는 이 상수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zeta'(-1) &= \dfrac1{12} -\ln A \\
&\approx -0.1654211437
\end{aligned}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n=1}^\infty \frac{\ln n}{n^2} = -\zeta'(2) &= \frac{\pi^2}6 (12\ln A -\gamma -\ln(2\pi)) \\
&\approx 0.9375482543
\end{aligned} )]}}}||
  • 위 급수에 지수함수를 취하면 다음과 같다. 홀수 버전도 있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rod_{n=1}^\infty n^{^{\small\frac1{n^2}} } &= \biggl( \frac{A^{12}}{2\pi e^\gamma} \biggr)^{\!\!\normalsize\frac{\pi^2}6} \\
&\approx 2.5537126827 \\
\prod_{n=1,3,5,\cdots}^\infty n^{^{\small\frac1{n^2}} } &= \biggl( \frac{A^{36}}{2^4\pi^3e^{3\gamma}} \biggr)^{\!\normalsize\frac{\pi^2}{24}} \\
&\approx 1.5190966334
\end{aligned} )]}}}
  • 소수를 사용한 비슷한 식도 있다. 아래에서 [math(p_n)]은 [math(n)]번째 소수이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rod_{n=1}^\infty {p_n}^{\small\frac1{{p_n}^2-1}} &= \frac{A^{12}}{2\pi e^\gamma} \\
&\approx 1.7681980782
\end{aligned}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1/2} \ln\Gamma(x) \,{\rm d}x &= \frac32\ln A +\frac5{24}\ln2 +\frac14\ln\pi \\
&\approx 0.8037198496 \\
\int_0^{1/2} \ln\Gamma(x+1) \,{\rm d}x &= \frac32\ln A -\frac7{24}\ln2 +\frac14\ln\pi -\frac12 \\
&\approx -0.04285374065
\end{aligned} )]}}}||
  • 기타 적분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1 \frac{x\ln x}{e^{2\pi x}-1} \,{\rm d}x = \frac12\,\zeta'(-1) &= \frac1{24} -\frac12\ln A \\
&\approx -0.08271057185
\end{aligned} )]}}}||

3. 벤더스키-아담칙 상수

글레이셔-킨켈린 상수는 일반화될 수 있다. 이를 일반화된 글레이셔-킨클린 상수(generalized Glaisher-Kinkelin constants) 또는 벤더스키-아담칙 상수(Bendersky-Adamchik constants)라고 부른다. 미국의 수학자 Victor S. Adamchik와 벨기에의 수학자 L. Bendersky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정의는 복잡하므로 두 논문 링크로 대체한다. 이 논문의 "5. Generalized Glaisher's constants" 문단과 이 논문의 "2 Bendersky-Adamchik constants" 문단을 참고하라.

몇몇 예시는 아래와 같다. 편의를 위해 로그를 취한 상태로 나열했다. 아래에서 [math(A_0 = \sqrt{2\pi})]은 흔히 스털링 상수라고 불리고, [math(A_1)]이 바로 글레이셔-킨켈린 상수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n A_0 &= \lim_{n\to\infty} \Biggl[ \sum_{k=1}^n \ln k -\!\biggl( n +\frac12 \biggr) \!\ln n +n \Biggr] \!= \frac12\ln(2\pi) \\
\ln A_1 &= \lim_{n\to\infty} \Biggl[ \sum_{k=1}^n k\ln k -\!\biggl( \frac{n^2}2 +\frac n2 +\frac1{12} \biggr) \!\ln n +\frac{n^2}4 \Biggr] \\
\ln A_2 &= \lim_{n\to\infty} \Biggl[ \sum_{k=1}^n k^2\ln k -\!\biggl( \frac{n^3}3 +\frac{n^2}2 +\frac n6 \biggr) \!\ln n +\frac{n^3}9 -\frac n{12} \Biggr] \\
\ln A_3 &= \lim_{n\to\infty} \Biggl[ \sum_{k=1}^n k^3\ln k -\!\biggl( \frac{n^4}4 +\frac{n^3}2 +\frac{n^2}4 -\frac1{120} \biggr) \!\ln n +\frac{n^4}{16} -\frac{n^2}{12} \Biggr] \\
\end{aligned} )]

4. 여담

  • 아직까지 글레이셔-킨켈린 상수와 벤더스키-아담칙 상수가 무리수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의는 없는 실정이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