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9:49

광주시/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주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광주광역시의 교통에 대한 내용은 광주광역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철도2. 도로
2.1. 고속도로2.2. 일반도로2.3. 지방도
3. 버스
3.1. 시내버스 및 광역버스3.2. 시외버스

1. 철도

경강선이 지나가며, 역은 삼동역, 경기광주역, 초월역, 곤지암역으로 총 네 곳이다. 2016년 9월 24일에 신설된 노선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만 운영 중이지만 추후 월곶~판교 구간이 개통하면 인천발 KTX가, 여주~원주 구간이 개통하면 강릉선 KTX 안동/ 태화강/ 부전 KTX-이음이, 중부내륙선이 개통하면 충주/ 문경/ 김천 KTX-이음[1], 남부내륙선이 개통하면 진주/ 거제 KTX-이음이 정차할 예정이다. 수서광주선이 개통하면 서울로 직통하는 열차도 신설될 예정이다. 철도가 왜 이제야 생겼는지에 대해 말하자면, 광주시는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이 만나는 곳이라 구한말 이전에는 하상(河上)교통이 발달했다. 이러한 광주의 지형 때문에 중앙선 철도가 양평군을 거쳐가게 되었고, 그나마 수려선이라도 한때 지나갔던 옆동네 이천, 여주와는 달리 광주시는 2016년까지 철도 교통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몇 안 되는 경기도 지자체 중 하나이기도 했다.

태전지구에 교통체증이 굉장히 심하다. 그래서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태전지구 주변 도로가 온통 출퇴근하려는 자동차로 붐벼있다. 얼마나 심각하면 태전지구에 있는 현수막에 '태전지구 교통 문제 전철로 해결하라'와 같은 구호가 붙어져 있을 정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각각 광주시장 후보들은 광주시 특히 태전지구의 교통체증을 감소시킬 정책을 내겠다라는 공약도 달았다.

2. 도로


2.1. 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있다. 이 중 제2중부고속도로에는 나들목이 없기 때문에 지나기만 지난다.[2] 2025년에는 세종포천고속도로 남구리IC ~ 남안성JC 구간이 개통 예정이며, 광주시에는 성남이천로와 연결되는 광남IC, 43번 국도 추자리부근에 오포IC가 생길 예정이다.

2.2. 일반도로

회덕동과 목현동 방면으로 쭈욱 가다보면 성남시와 이어지는 이배재고개가 나온다. 고개가 좀 험난하긴 하지만, 성남과 인접한 곳에 사는 목현동 주민들은 31-3번, 마을버스 3-3번을 타면 약 5분 안에 성남시에 도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서 버스가 자주 다닌다. 3번 국도가 출퇴근시간에 차량이 많아서 많이 밀리는 것에 비해 이배재고개는 차량은 비교적 적어서 밀리고 하는 현상은 없지만, 꼭 고개에서 무리하게 넘어가다가 사고가 나는 차량 때문에 엄청나게 밀리는 경우가 가끔 가다 있는데 출근 시간대 버스들이 언덕길 중간에 퍼져서 있는 경우는 종종 볼 수 있다. 이배재고개 자체 경사도 경사인데 이곳을 사람이 가득찬 만원 버스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데 버스들도 많이 힘들어 하는 느낌이다. 신형 버스들은 뭔가 힘차게 치고 올라 가지만 좀 낡은 버스들은 엔진의 굉음과 함께 느릿느릿 올라간다. 안에 타고 있으면 괜히 손에 땀을 쥐게 한다. 겨울에 눈이 오면 제설 작업 이전엔 사실상 마비가 되는데 위와 같은 교통 문제는 이배재고개 아래쪽으로 성남과 연결하는 이배재터널이 개통되면서 어느 정도 해결 되었다.

국도로는 3번 국도, 17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가 지나간다.
  • 3번 국도( 성남이천로): 이천시에서 넘어와 곤지암읍 - 초월읍 - 시내동지역을 관통하여 성남시로 넘어간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이상으로 도로가 잘 뚫려는 있지만 구 3번 국도 구간인 경충대로나 신 3번 국도 구간인 성남이천로나 언제나 교통량이 많고 출퇴근시간만 되면 헬게이트가 열린다. 성남이천로는 광주원주고속도로 연계용으로도 사용되는 도로인데, 이로 인해 쌍동IC - 초월IC 구간도 휴일마다 헬게이트가 열린다.
  • 17번 국도: 2021년에 종점이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서 광주시 도척면으로 연장되었다. 차후 도로 개설 예정.
  • 43번 국도: 용인시에서 넘어와 오포읍 - 광주시내 - 남한산성면을 관통하여 하남시로 넘어간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이상. 3번 국도 못지않게 교통량이 많은데,[3] 특히 경충대로와 만나는 장지IC와 성남이천로와 만나는 태전IC 사이 구간에 하필 평면교차로(신장지사거리)가 끼어 있어 이 두 나들목 사이에 정체가 극심하다. 시내 북부 구간은 나란히 달리는 중부고속도로의 우회로로 사용된다.
  • 45번 국도: 용인에서 넘어와 하남으로 넘어간다는 건 43번 국도와 동일하고, 실제로 광주시 내에서는 대부분의 구간이 43번 국도와 중첩된다. 대신 광주IC를 기점으로 남한산계곡을 타고 가는 43번 국도와는 달리 45번 국도는 퇴촌면 - 남종면을 통해 한강변( 팔당호)을 왕복 2차로로 느긋하게 타고 올라가며 하남으로 향한다.

2.3. 지방도

3. 버스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00aa5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colcolor=#ddd,#444>
광역콜
직행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3200번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00aa5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9775> 시내
광남동
쌍령동
곤지암읍
도척면
초월읍
퇴촌면
남종면
광주공영버스
맞춤형버스
* : 연계 노선
}}}}}}}}} ||


3.1. 시내버스 및 광역버스

일단 버스는 성남 쪽으로 가는 버스 노선이 굉장히 많다. 대표적인 노선으로는 모란역 기준으로 경안동으로 바로 이어주는 3-1번과 이배재를 거쳐 목현동으로 운행하는 31-2번 31-3번, 3-3번, 태전지구를 경유해 경안동으로 운행하는 32번과 태전지구까지 운행하는 32-1번 320번이 있고, 야탑역 기준으로 경안동, 초월읍을 거쳐 곤지암까지 운행하는 300번이 있으며, 그리고 서현역에서 신현리 일대로 운행하는 520번, 521번, 522번, 522-2번이 있고, 판교와 오포읍 고산지구를 이어주는 3100번, 모란과 야탑, 서현을 거쳐 신현리 및 오포를 경유하는 17번 17-1번이 대표적이다.

서울과 멀지 않은 지역이라 서울로 가는 버스가 어느 정도 있다. 대표적으로 잠실로 운행하는 3302번, 32번과 500-1번, 강변역으로 운행하는 13번과 1113번[4], 1113-1번, 1113-2번, 무역센터로 운행하는 500-2번과 G3202번, 서울역으로 운행하는 3201번, 양재역으로 운행하는 3800번, 강남역으로 운행하는 1005번[5] 등이 있고 2020년 3월부터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서울역까지 가는 광역버스 3201번 삼성역까지 가는 경기도 공공버스 G3202번이 개통됐다.

그 외 용인시내로 이어주는 20번, 이천시내, SK하이닉스, 그리고 장호원으로 이어주는 114번도 있다.

여전히 농촌지역이 많아 공영버스가 다니는 곳도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경기도 지자체중에서 버스 면허수는 가장 많은데, KD 운송그룹 계열사중 가장 큰 경기고속 대원고속이 광주 면허이기 때문이다. 경기도 공공버스로 노선 면허는 넘어갔더라도 차량 면허는 여전히 광주시이다. 자세한 사항은 광주시 버스 목록 참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서울 버스 서울06이 능평동 일부에 한해 출근시간 맞춤형으로만 다닌다.

3.2. 시외버스

광주종합터미널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수서광주선 개통 전까지는 광주시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2] 요즘에는 출퇴근 시간 한정 하남 방면으로 가는 길을 열어둔다. [3] 광주시내에서 퇴촌면을 거치지 않고 하남시를 가려면 이 도로로 가야하기 때문에 정체가 극심하다. [4] 단, 1113번은 에버랜드에서 출발한다. [5] 단, 1005번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에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