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a5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초월읍 | 도척면 | 퇴촌면 | 남종면 | 남한산성면 | ||||
곤지암읍 |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dd0027> 경안동 | 경안동 | 역동 | ||||||
광남1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목동 | 삼동 | 장지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중대동 | 직동 | }}} 태전동 | }}} | ||||
광남2동 | ||||||||
송정동 |
시청
송정동
|
|||||||
쌍령동 | 쌍령동 | |||||||
탄벌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벌동 | 목현동 | 회덕동 | }}} | |||
능평동 | 능평동 | |||||||
신현동 | 신현동 | |||||||
오포1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고산동 | 문형동 | 추자동 | }}} | |||
오포2동 | 매산동 | 양벌동 | }}}}}}}}} |
광주시의
면 남종면 南終面 | Namjong-myeon |
|||
<colbgcolor=#00aa51><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035 | ||
관할 법정리 | 8리 | ||
하위 행정구역 | 14행정리 40반 | ||
면적 | 48.57㎢ | ||
인구 | 1,465명[1] | ||
인구밀도 | 30.1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주시 갑 | |
|
소병훈 (3선) | ||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
유영두 (초선) | ||
광주시의원 | 가 선거구 | |||
|
주임록 (재선) | ||
|
허경행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분원길 9 (분원리 132) | ||
남종면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광주시 북부에 위치한 면. 낙후지역에 속한다.이름은 '남쪽(南) 끝(終)'인데, 실제로는 광주시의 북쪽 끝에 있다.
2. 주요 시설
2.1. 교육
3. 교통
3.1. 도로
3.2. 버스
크게 수청리와 양평까지 운행하는 노선과 하남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으로 나뉜다.- 하남 방면 노선
- 경기광주 버스 1-23 : 1-21번과 38-51번이 결합된 형태로 시청 → 축협 → 직동 → 축협 → 배알미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4 : 35번과 38-51번이 결합된 형태로 보건소 → 현산마을 → 축협 → 배알미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1 : 축협 ~ 배알미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2 : 하남BRT센터 ~ 배알미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3 : 축협 ~ 배알미 구간 운행. 축협 방면 퇴촌 경유.
- 수청리 방면 노선
- 경기광주 버스 38-2 : 축협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1 : 축협 → 퇴촌 → 수청리 → 퇴촌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22 : 퇴촌 → 수청리 → 퇴촌 → 축협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23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4 : 38-2번과 34번이 결합된 형태로 축협 → 퇴촌 → 수청리 → 퇴촌 → 축협 → 봉골 → 축협 → 보건소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5 : 축협 ~ 퇴촌 ~ 수청리 ~ 강하 ~ 양평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6 : 수청리 ~ 퇴촌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7 : 수청리 ~ 강하 ~ 양평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40 : 경기광주역 → 정지리 → 퇴촌 → 수청리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41, 경기광주 버스 38-41A : 수청리 → 퇴촌 → 정지리 → 경기광주역 경로로 운행.
4. 하위 법정리
4.1. 분원리(分院里)
조선조 시대 궁중에서 쓰는 사기그릇을 관장하던 사옹원(司甕院)의 현지 제작소가 있던 곳으로서 분점이란 뜻에서 분원이라 불렸다. 영조시대에는 분루원이라고도 불렀다. 이곳에는 옹기 및 사기를 구워 파는 시장이 오랫동안 번창하였으나 을측년 대홍수 이후에는 쇠퇴하였으나 광주 분원하면 지금도 사기(司器)그릇을 연상하는 곳이다.
출처
남종면사무소가 있다.
조선시대 궁중의 그릇 등을 관장하던 사옹원(司甕院)의 분원인 관요가 있었다 해서 지명이 그대로 분원리가 되었다.
현대에는 도자기보다는 붕어찜으로 유명해서 1998년부터 15년간 붕어찜축제를 개최했으나 자전거 도로 등 하천유역 정비사업으로 인해 붕어 개체수가 급감하여 2013년 이후로 붕어찜축제는 열지 않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자덕후들에게 분원리 하면 꽤 인지도가 있는 곳이다. 암사동, 미사리 등 서울 동부에서 출발하여 팔당댐을 거쳐 남한강을 끼고 43번 국도, 342번 지방도를 달리는 A급 라이딩 코스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경치와 코스의 질은 일품이지만, 업힐이 5~6차례 이상 나올 정도로 제법 난이도가 있으니 초심자는 무리하지 않도록 하자. 남종면을 벗어나면 나오는 양평군 강하면 '홍가네 슈퍼'라는 작은 슈퍼마켓이 라이더들의 보급소(수분/당분 섭취, 휴식) 역할을 하고 있다.
4.2. 검천리(檢川里)
능곡ㆍ알미ㆍ종단의 세 자연부락을 합하여 원래는 '사천리'(四川里)라 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개천을 측량한 이후에는 '검천리'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4.3. 수청리(水靑里)
이 마을 앞으로 흐르는 강줄기가 하도 맑고 푸르러서 이름을 푸르레여울'이라 부르고 한자이다. 윗마을은 '청탄' 아래 부락은 '작은 청'이라 부른다.
출처
광주시내에서 남종면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의 종점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여기까지 양평군 농어촌버스가 운행하기 때문에 2020년 8월 26일에 양평까지 바로 운행하는 38-25번이 생기기 전에는 여기서 양평군 농어촌버스로 환승하는 방식으로 광주 ~ 양평을 오갔다. 지금은 경기광주 버스 38-27, 양평 버스 4-5가 그 역할을 하는 중.
4.4. 귀여리(歸歟里)
귀여리에 위치한 팔당물안개공원.
조선조 중종 때 정승 한 분이 이곳에 낙향하여 귀여정(歸歟亭)이란 정자를 짓고 소일하였다고 하여 이 마을을 '귀여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귀여리'라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
출처
귀네라고도 한다. 작은 농촌마을이다.
마을 입구 맞은 편에는 팔당물 안개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주말에는 제법 관광객이 몰린다.
자전거 대여 및 야구장이 구비되어 있어 찾아오는 인원도 상당하다.
4.5. 우천리(牛川里)
본래 소내마을이라 하여 아랫소내, 윗소내 두개 마을이 존재했으며 우천장이라 하여 1960년대까지 5일장이 열리던 곳이었다. 그러다 팔당댐이 생기면서 마을 전체가 수몰되었으며, 소내섬은 팔당호로 인해 수몰되고 남은 섬이다. 즉, 이 무인도와 동쪽의 또다른 무인도의 절반이 우천리의 땅이다. 인구가 0명인 유령마을이며, 별 볼일 없는 작은 섬들에 불과하기 때문에 밤섬같이 항구조차 없다.4.6. 금사리(金沙里)
예부터 이 마을 앞으로는 하천이 하나 있는데 이 하천에는 사금(砂金)이 났다고 한다. 따라서 이 마을을 '金沙里'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4.7. 삼성리(三成里)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에 '삼정동'(三政洞), '과학동(過鶴洞), '족자동'(族子洞)을 합하여 '세 마을이 모여 이루어진 마을'이란 뜻으로 '삼성리'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4.8. 이석리(二石里)
이곳은 1914년 전국의 행정구역이 개편도던 이전 시기까지는 성림동(聖林洞)이라 부르다가 조선조 말기 고종의 자(字)가 성림(聖臨)이라 황공하여 석림(石林)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이웃의 석조정(石潮亭)을 합하여 '이석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출처
5. 기타
이곳은 경기광주 북부 3면에 속하는 지역으로 생활권은 하남시와 양평군 생활권이다.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2]
참고로 남시(南始)면과 남중(南中)면은 양평군에 잔존하였고, 역시 부군면 통폐합이 실시될 때 폐지되어 각각 남시면은 강상면으로, 남중면은 강하면으로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3]
사실은 여기도 원래는 퇴촌면에 속했으나, 1973년에 남종면으로 넘어온 곳이다. 이때 금사리도 퇴촌면에서 남종면으로 넘어왔으나, 이쪽은
월경지에 해당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