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f4123>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동구 |
남구 |
북구 |
광산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c499c>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8f3d> 양동, 양3동 | 양동 | |||||||||||
농성1, 2동 |
구청
농성동
|
|||||||||||
광천동 | 광천동 | |||||||||||
유덕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내방동 | 덕흥동 | 쌍촌동 | 유촌동 | 치평동 | }}} | |||||
치평동 | 치평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 | ||||||||||
상무1, 2동 | ||||||||||||
화정1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내방동
|
}}} 화정동 | |||||||||
화정2~4동 | ||||||||||||
서창동 | 마륵동 | 매월동 | 벽진동 | 서창동 | 세하동 | 용두동 | ||||||
금호1, 2동 | 금호동 | |||||||||||
풍암동 | 풍암동 | |||||||||||
동천동 | 동천동 | }}}}}}}}} |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서구
西區 Seo-gu |
}}} | |||
<colbgcolor=#0c499c><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경열로 33 ( 농성동)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8 동[1] | |||||
면적 | 47.74㎢ | |||||
인구 | 279,339명[2] | |||||
인구 밀도 | 5,851.26명/㎢[3] | |||||
구청장 |
|
김이강 (초선) | ||||
구의회 |
|
11석[4] | ||||
|
1석[5] | |||||
|
1석[6] | |||||
시의원 |
|
4석[7] | ||||
국회 의원 |
<colbgcolor=#0c499c><colcolor=#fff> 갑 |
|
조인철 (초선) | |||
을 |
|
양부남 (초선) | ||||
상징 | 구화 | 목련 | ||||
구목 | 느티나무 | |||||
구조 | 해오라기 | |||||
지역번호 | 062 | |||||
홈페이지 | ||||||
SNS | | | |
[clearfix]
1. 개요
|
광주광역시 서구청 |
광주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
지도를 놓고 봤을때 광주광역시의 중남부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서쪽의 송정시와 광산군이 광주직할시(현 광주광역시)로 편입되어 광산구가 되면서, 옛 광주시의 서쪽이었던 서구가 광주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래서 광주광역시의 다른 구와는 달리 유일하게 전라남도 타 시/군과 맞닿아 있지 않다. 그리고 반대로 광주광역시의 모든 구와 직접 맞닿아 있다.
1973년에 구제 실시로 개청되었고 1979년에 농성동으로 이전한다. 1980년에 북구가 개청되어 일부 지역을 북구로 넘긴다.[8] 1995년에 일부 지역이 남구로 분리되었으나, 한 달 후에 광산구에 있던 서창동을 편입하였다.[9] 그리고 2011년에 북구 동림동 일부 지역을 분리, 편입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 지역 특징
상무지구, 금호지구, 풍암지구 등 광주광역시의 대규모 주거지역들을 관할하고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유스퀘어가 있기 때문에 주요 고속도로로 나가는 길이 있는 북구와 더불어 교통의 요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천저수지, 풍암저수지 등은 호수공원으로 단장되어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 엑스포를 기념해 운천저수지에 설치된 레이저쇼 공연은 새로운 명물이 되어 가고 있다.광주광역시청이 상무지구[10]로 옮겨오면서 사실상 광주광역시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양동에는 양동시장이 있는데 이곳이 광주광역시의 지리적인 중심점이다. 광산구를 제외한 광주광역시 4개 구의 모든 주요 시설 및 장소가 이 곳에서 자가용으로 3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 광산구라고 해도 차가 막히지 않으면 이 곳에서 길어야 30분, 대개 20분 내로 끊을 수 있다. 지금은 양동시장 근처가 몰락해서 태는 안 나지만 이 근처에서 살다 보면 왜 이곳에 시장이 생겼는지 바로 알 수 있다. 차 한 대만 있으면 광주광역시 어디를 가더라도 서두를 이유가 없다.
3. 인구
광주광역시 서구 인구 추이 (1975년~현재) |
1973년 7월 1일 광주시 서구 설치 |
1975년 253,624명
|
1980년 4월 1일 광주시 서구 일부 지역 + 광주시 동구 일부 지역 → 광주시 북구 승격 분리 |
1980년 289,945명
|
1985년 383,153명
|
1990년 472,336명
|
1995년
3월 1일 광주광역시 서구 일부 지역[11] →
남구 승격 분리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서창출장소 → 광주광역시 서구 편입 |
1995년 226,007명
|
2000년 280,810명
|
2005년 313,863명
|
2010년 303,219명
|
2015년 305,028명
|
2020년 296,576명
|
2024년 10월 279,67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풍암동 34,864명
|
치평동 29,439명
|
|
금호2동 27,251명
|
|
상무1동 23,988명
|
|
상무2동 22,642명
|
|
화정2동 19,841명
|
|
금호1동 19,506명
|
|
화정4동 19,500명
|
|
화정1동 15,501명
|
|
동천동 15,469명
|
|
농성1동 11,564명
|
|
유덕동 10,472명
|
|
화정3동 9,235명
|
|
광천동 6,975명
|
|
서창동 5,721명
|
|
농성2동 4,502명
|
|
양3동 4,284명
|
|
양동 3,237명
|
|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
양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양동 → 양1동, 양2동 분리 |
1966년 23,486명(양1동 15,686명 + 양2동 7,800명)
|
1970년 7월 1일 양1동 → 양1동, 양3동 분동 |
1970년 21,276명(양1동 12,791명 + 양2동 8,485명)
|
1975년 19,268명(양1동 12,420명 + 양2동 6,848명)
|
1980년 18,003명(양1동 10,393명 + 양2동 7,610명)
|
1985년 17,952명(양1동 9,589명 + 양2동 8,363명)
|
1990년 17,790명(양1동 8,727명 + 양2동 9,063명)
|
1995년 11,167명(양1동 5,079명 + 양2동 6,088명)
|
1999년 1월 18일 양1동 + 양2동 → 양동 합동 |
2000년 7,836명
|
2005년 6,288명
|
2010년 5,661명
|
2015년 4,789명
|
2020년 4,015명
|
2023년 12월 3,23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양3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70년 7월 1일 양1동 → 양1동, 양3동 분동 |
1970년 9,896명
|
1975년 12,641명
|
1980년 13,657명
|
1985년 13,758명
|
1990년 13,150명
|
1995년 8,135명
|
2000년 6,654명
|
2005년 5,649명
|
2010년 5,522명
|
2015년 5,302명
|
2020년 4,765명
|
2023년 12월 4,28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농성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농성동(법정동) → 농성동(행정동) |
1966년 4,021명
|
1970년 6,151명
|
1975년 12,086명
|
1980년 26,463명
|
1983년 10월 1일 농성동 → 농성1동, 농성2동 분동 |
1985년 18,058명
|
1990년 18,420명
|
1995년 14,572명
|
2000년 11,410명
|
2005년 10,473명
|
2010년 8,787명
|
2015년 8,545명
|
2020년 11,071명
|
2023년 12월 11,56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농성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농성동 → 농성1동, 농성2동 분동 |
1985년 14,150명
|
1990년 13,771명
|
1995년 10,551명
|
2000년 7,528명
|
2005년 6,607명
|
2010년 5,984명
|
2015년 5,886명
|
2020년 5,125명
|
2023년 12월 4,50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광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광천동(법정동) → 광천동(행정동) |
1966년 7,662명
|
1970년 12,861명
|
1975년 15,857명
|
1980년 18,769명
|
1985년 21,239명
|
1990년 20,043명
|
1995년 14,302명
|
2000년 10,100명
|
2005년 9,962명
|
2010년 11,036명
|
2015년 10,242명
|
2020년 8,639명
|
2023년 12월 6,97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유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유림동 + 덕흥동 → 유덕동 신설 |
1966년 5,803명
|
1970년 7,342명
|
1975년 7,799명
|
1980년 8,562명
|
1985년 10,239명
|
1990년 10,766명
|
1995년 7,985명
|
2000년 11,840명
|
2005년 13,261명
|
2010년 12,495명
|
2015년 11,777명
|
2020년 10,770명
|
2023년 12월 10,47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치평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
2003년 2월 17일 상무1동 → 상무1동, 치평동 분동 |
2005년 32,957명
|
2008년 31,024명
|
2009년 30,365명
|
2010년 30,471명
|
2011년 31,035명
|
2012년 31,072명
|
2013년 30,577명
|
2014년 30,564명
|
2015년 30,588명
|
2016년 31,172명
|
2017년 31,270명
|
2018년 31,268명
|
2019년 31,153명
|
2020년 30,602명
|
2021년 30,293명
|
2022년 29,433명
|
2023년 12월 29,43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상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쌍촌동 + 화정동 + 치평동 + 내방동 → 상무동 신설 |
1966년 7,691명
|
1970년 10,663명
|
1975년 17,228명
|
1979년 5월 1일 상무동 → 쌍촌동, 화내동 분동 |
1980년 17,108명
|
1985년 23,032명
|
1990년 28,459명
|
1993년 12월 1일 쌍촌동 → 상무1동, 상무2동 분동 |
1995년 13,355명
|
2000년 49,105명
|
2003년 2월 17일 상무1동 → 상무1동, 치평동 분동 |
2005년 25,387명
|
2010년 25,279명
|
2015년 23,931명
|
2020년 25,076명
|
2023년 12월 23,98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상무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3년 12월 1일 쌍촌동 → 상무1동, 상무2동 분동 |
1995년 31,271명
|
2000년 29,763명
|
2005년 27,922명
|
2010년 25,375명
|
2015년 25,330명
|
2020년 24,062명
|
2023년 12월 22,64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화정1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5월 1일 상무동 → 쌍촌동, 화내동 분동 |
1980년 17,807명
|
1983년 10월 1일 화내동 → 화정1동, 화정2동 분동 |
1985년 18,504명
|
1990년 23,379명
|
1995년 18,640명
|
2000년 16,007명
|
2005년 18,672명
|
2010년 16,583명
|
2015년 16,473명
|
2020년 15,838명
|
2023년 12월 15,50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화정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화내동 → 화정1동, 화정2동 분동 |
1985년 26,412명
|
1990년 1월 1일 화정2동 → 화정2동, 화정3동 분동 |
1990년 24,319명
|
1995년 23,322명
|
2000년 22,879명
|
2005년 20,920명
|
2010년 17,857명
|
2015년 11,834명
|
2020년 20,945명
|
2023년 12월 19,84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화정3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90년 1월 1일 화정2동 → 화정2동, 화정3동 분동 |
1990년 29,891명
|
1994년 7월 1일 화정3동 → 화정3동, 화정4동 분동 |
1995년 17,934명
|
2000년 14,676명
|
2005년 13,256명
|
2010년 12,840명
|
2015년 12,109명
|
2020년 10,317명
|
2023년 12월 9,23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화정4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4년 7월 1일 화정3동 → 화정3동, 화정4동 분동 |
1995년 26,886명
|
2000년 25,580명
|
2005년 23,599명
|
2010년 22,145명
|
2015년 19,740명
|
2020년 15,833명
|
2023년 12월 19,50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서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2,640명
|
1970년 12,452명
|
1975년 13,411명
|
1980년 12,946명
|
1985년 14,470명
|
1988년
1월 1일
광산군 → 광주직할시 편입 광산군 서창면 → 광산구 서창출장소 전환 |
1990년 10,689명
|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서창출장소 → 서구 편입 및 서창동 전환 |
1995년 27,887명
|
2000년 67,432명
|
2001년 8월 6일 서창동 → 서창동, 금호풍암동 분동 |
2005년 5,211명
|
2010년 6,467명
|
2015년 6,624명
|
2020년 5,944명
|
2023년 12월 5,72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만 명 |
금호1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
2001년
8월 6일 서창동 → 서창동, 금호풍암동 분동 2003년 2월 17일 금호풍암동 → 금호동, 풍암동 분동 2005년 7월 4일 금호동 → 금호1동, 금호2동 분동 |
2005년 25,622명
|
2008년 24,823명
|
2009년 25,054명
|
2010년 25,000명
|
2011년 25,359명
|
2012년 25,211명
|
2013년 24,983명
|
2014년 24,313명
|
2015년 23,581명
|
2016년 23,014명
|
2017년 22,504명
|
2018년 21,944명
|
2019년 21,284명
|
2020년 20,570명
|
2021년 20,012명
|
2022년 19,982명
|
2023년 12월 19,50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금호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
2005년 7월 4일 금호동 → 금호1동, 금호2동 분동 |
2005년 27,950명
|
2008년 30,122명
|
2009년 29,868명
|
2010년 30,032명
|
2011년 29,647명
|
2012년 29,753명
|
2013년 29,807명
|
2014년 29,231명
|
2015년 28,791명
|
2016년 29,173명
|
2017년 30,538명
|
2018년 30,308명
|
2019년 29,582명
|
2020년 29,122명
|
2021년 28,572명
|
2022년 27,531명
|
2023년 12월 27,25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풍암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
2003년 2월 17일 금호풍암동 → 금호동, 풍암동 분동 |
2005년 40,127명
|
2008년 41,267명
|
2009년 41,248명
|
2010년 41,685명
|
2011년 41,690명
|
2012년 41,895명
|
2013년 42,581명
|
2014년 41,913명
|
2015년 41,395명
|
2016년 40,543명
|
2017년 39,827명
|
2018년 39,473명
|
2019년 38,391명
|
2020년 37,513명
|
2021년 36,781명
|
2022년 35,593명
|
2023년 12월 34,86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
동천동 인구 추이 (2011년~현재) |
2011년 10월 1일 북구 동림동 일부 + 운암1동 일부 → 동천동 신설 |
2011년 17,907명
|
2012년 18,231명
|
2013년 18,399명
|
2014년 18,282명
|
2015년 18,091명
|
2016년 17,950명
|
2017년 17,472명
|
2018년 17,363명
|
2019년 17,022명
|
2020년 16,369명
|
2021년 16,245명
|
2022년 15,828명
|
2023년 12월 15,46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4.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b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ba2>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5ba2> 2 | <colbgcolor=#ffffff,#191919> 2순환로 | |
ㄱ | 경열로 · 계수로 · 군분2로 · 군분로 · 금부로 · 금화로 · 김치로 | ||
ㄴ | 내방로 · 눌재로 | ||
ㄷ | 독립로 · 동천로 | ||
ㅁ | 마륵로 · 마륵복개로 · 마재로 · 매월1로 · 매월2로 · 매월3로 · 매월4로 | ||
ㅂ | 발산로 | ||
ㅅ | 상무공원로 · 상무누리로 · 상무번영로 · 상무버들로 · 상무민주로 · 상무시민로 · 상무연하로 · 상무오월로 · 상무자유로 · 상무중앙로 · 상무평화로 · 상일로 · 서광주로 · 송암로 · 송풍로 · 시청로 · 시청서편로 · 쌍촌로 · 쌍학로 | ||
ㅇ | 양동로 · 운천로 · 월드컵4강로 · 월드컵남로 · 월드컵동로 · 월드컵서로 · 월산로 · 염화로 · 유덕로 · 유림로 | ||
ㅊ | 천변좌로 · 천변우하로 · 천변좌하로 · 치평로 · 칠성로 | ||
ㅍ | 풍금로 · 풍서우로 · 풍서좌로 · 풍암1로 · 풍암2로 · 풍암공원로 · 풍암순환로 · 풍암신암로 · 풍암신흥로 · 풍암운리로 · 풍암중앙로 | ||
ㅎ | 학생독립로 · 화개1로 · 화개2로 · 화개중앙로 · 화운로 · 화정로 · 회재로 | ||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노후 주택가가 있는 양동, 농성동과 아예 개발이 되지않은 마륵동, 서창동 쪽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택지개발로 정비된 신시가지라서 도로상황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동서로 하남대로, 무진대로, 상무대로가 관통하고, 남북으로는 빛고을대로- 운천로, 화운로, 죽봉대로[12] 등이 관통하며, 남서쪽으로 광주제2순환도로가 지나간다. 고속도로는 접속해있지 않지만 빛고을대로, 제2순환도로 등을 이용하면 빠르게 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광천동에 광주의 관문이라 할수 있는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13] 개발이 전혀 안된 서창동 일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택지개발이 이뤄져서 버스교통은 훌륭한 편이다.
철도 교통으로는 남서쪽으로 경전선이 지나가며, 매월동에 서광주역이 있다. 다만 이용률이 매우 낮고, 하루 몇 차례만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상무대로를 따라 쌍촌동, 화정동, 농성동, 양동을 지나간다.
이후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고 나면 그간 지하철 사각지대였던 서구 택지지구의 중심(상무, 금호, 풍암지구)과 시청, 월드컵경기장을 지나가게 되어서 대중교통체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5. 경제
기아 광주공장( 오토랜드 광주)의 영향으로 광주에서 가장 잘 사는 동네. 광주광역시청이 위치한 상무지구를 필두로 광주의 행정, 경제를 책임지는 곳이며 유스퀘어와 상무지구가 있어 상권도 가장 발달한 동네이다. 당연히 광주에서 제일 가는 부촌.[14]다만 최근 들어 광산구에게 부촌 타이틀을 빼앗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광주가 광산구 일대도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과거 대전의 경우도 서구가 굉장히 잘 살았지만 유성구에게 타이틀을 빼앗긴 사례가 있듯이 광주 역시 그러한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대전 중심지인 둔산신도시의 경우 행정와 금융 등 대부분을 총괄하는 지역이지만, 광주 중심지인 상무지구의 경우 행정만 총괄하고 금융은 금남로(구 전남도청 일대) 일대가 총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5.1. 금융
광주 서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 |||
제1금융권 [괄호] | |||
중앙은행 | |||
한국은행 (1) | |||
국가기관 | |||
서광주우체국 (13)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4)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2) | 농협은행(중앙회) (8)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3) | 우리은행 (2) | ||
SC제일은행 (1) | 하나은행 (3) | ||
국민은행 (5) | |||
지방은행 | |||
광주은행 (15)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서창농협 (9) | 서광주농협 (11) | 광주원예농협 (2) | 남광주농협 (1) |
광주축협 (2) | |||
수산업협동조합 | |||
장흥군수협 (1) | |||
새마을금고 | |||
광주새마을금고(2) | 양동새마을금고 (3) | 온누리새마을금고 (2) | 푸른새마을금고 (1) |
무등새마을금고(2) | 화정새마을금고 (2) | 상무새마을금고 (3) | 염주새마을금고 (1) |
신흥새마을금고(3) | 동광새마을금고 (1) | 기아자동차광주공장새마을금고 (1) | 광주광역시청새마을금고 (1) |
신용협동조합 | |||
광주웨슬리신용협동조합 | 광주우리신용협동조합 | 광주원광신용협동조합 | 광주와이신용협동조합 |
광주향림신용협동조합 | 광주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 양동행복신용협동조합 | 광주미래신용협동조합 |
광주중부신용협동조합 | 북동신용협동조합 | 삼애신용협동조합 | |
화정신용협동조합 | 광주신우신용협동조합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페퍼저축은행 (1) | 한국투자저축은행 (1) | 대한상호저축은행 (1) | OK저축은행 (1) |
6. 교육
광주광역시 서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계수초등학교 | 광림초등학교 | 광주광천초등학교 | 광주극락초등학교 | 광주상무초등학교 |
광주서초등학교 | 광주양동초등학교 | 광주화정초등학교 | 금당초등학교 | 금부초등학교 | |
금호초등학교 | 마재초등학교 | 만호초등학교 | 빛고을초등학교 | 살레시오초등학교 | |
서광초등학교 | 성진초등학교 | 송학초등학교 | 신암초등학교 | 염주초등학교 | |
운리초등학교 | 운천초등학교 | 유덕초등학교 | 유촌초등학교 | 주월초등학교 | |
치평초등학교 | 풍암초등학교 | 화개초등학교 | 화정남초등학교 | 효광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광주광역시 서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광덕중학교 | 광주동명중학교 | 광주서석중학교 | 광주중학교 | 광주화정중학교 | |
광주효광중학교 | 금호중학교 | 대자중학교 | 상무중학교 | 상일중학교 | |
운리중학교 | 유덕중학교 | 전남중학교 | 치평중학교 | 풍암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광주광역시 서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광덕고등학교 | 광주대동고등학교 | 광주서석고등학교 | 광주여자고등학교 | ||
상무고등학교 | ⊙ 상일여자고등학교 | 전남고등학교 | 풍암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여담으로 광주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대학교가 존재하지 않는 자치구이다.[18]
7. 의료기관
광주광역시의 경우 지역 내 최대 병원이 모두 동구에 몰려 있어 다른 자치구들은 중형 종합병원들이 굉장히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다. 서구도 마찬가지여서 광주한국병원(쌍촌동, 249병상), 상무병원(치평동, 202병상), 서광병원(금호동, 198병상), 선한병원(광천동, 196병상), 미래로21병원(화정동, 192병상), 광주동림병원(동천동, 124병상) 등 중형 종합병원들이 산재해 있다.8. 정치
자세한 내용은 서구(광주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9. 하위 행정구역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 |||||||||||||||||||
전라남도 광주시 (全羅南道 光州市, 1949) |
→ |
광주시 (光州市, 1955) |
→ |
광주시 (光州市, 1957) |
→ |
광주시 (光州市, 1963) |
→ |
광주시 서구 (光州市 西區, 1973) |
→ |
광주직할시 서구 (光州直割市 西區, 1986) |
→ |
광주광역시 서구 (光州廣域市 西區, 1995) |
|||||||
광산군 극락면 (光山郡 極樂面, 1935) |
|||||||||||||||||||
광산군 서창면 (光山郡 西倉面, 1935) |
광산군 서창면 (光山郡 西倉面, 1963) |
→ |
광주직할시 광산구 (光州直割市 光山區, 1988) |
10. 기타
2023년 12월, 광주광역시의 지역사연구인이 조선시대 이전에 상무대 일대 고읍터로 추정되는 장소가 발견했다고 주장해 주목되고 있다.2024년 8월 22일 오후 1시 14분경 광주 치과 사제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11. 출신 인물
- 구하라 - 걸그룹 카라의 멤버.
- 김상균 - 보이그룹 JBJ의 멤버.
- 모창민 - 전 NC 다이노스 야구 선수.
- 이성종 - 보이그룹 인피니트의 멤버.
- 표혜미 - 걸그룹 나인뮤지스의 멤버.
- 윤경 - 걸그룹 로켓펀치의 멤버.
- 태산 - 보이그룹 BOYNEXTDOOR의 멤버.
- 조이현 - 전 DIA의 멤버.
[1]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일치한다.
[2]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1월 기준.
[4]
서구 가선거구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김수영, 김형미,
전승일
서구 나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오광록, 임성화
서구 다선거구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고경애, 백종한
서구 라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안형주, 윤정민
서구 비례대표: 김균호, 오미섭 [5] 서구 나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김태진 [6] 서구 라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김옥수 [7] 서구 제1선거구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강수훈 (초선)
서구 제2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명진 (초선)
서구 제3선거구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이명노 (초선)
서구 제4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심철의 (재선) [8] 이때 동구에서 현 남구 소속인 양림동, 방림동, 봉선동을 편입하였다. [9] 서창동은 같은 시기에 남구로 편입된 대촌동과 함께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잠시 광산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었다가 환원된 적이 있다. [10] 원래 육군부대와 보병학교 등이 있었던 상무대가 있었지만 장성군으로 이전하였고 그 자리에 상무지구를 개발하였다. [11]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봉선1동, 봉선2동, 사구동, 서1동, 서2동,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12] 1번 국도 [13] 터미널 앞의 무진대로는 무려 왕복 16차로이지만, 신세계백화점+유스퀘어문화관+터미널 조합으로 언제나 헬게이트(...)다. [14] 참고로 남구 역시 서구와 광산구에 버금가는 부촌이다. 의사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계 종사자들은 고법, 지법, 고검, 지검 등이 있는 법조단지가 동구 지산동에 있기 때문에 주로 동구에 많이 살고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8] 원래 광주가톨릭대학교와 호남대학교 쌍촌캠퍼스가 있었으나 각각 1998년 나주, 2015년에 광산구로 모두 이전했다.
서구 나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오광록, 임성화
서구 다선거구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고경애, 백종한
서구 라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안형주, 윤정민
서구 비례대표: 김균호, 오미섭 [5] 서구 나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김태진 [6] 서구 라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김옥수 [7] 서구 제1선거구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강수훈 (초선)
서구 제2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명진 (초선)
서구 제3선거구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이명노 (초선)
서구 제4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심철의 (재선) [8] 이때 동구에서 현 남구 소속인 양림동, 방림동, 봉선동을 편입하였다. [9] 서창동은 같은 시기에 남구로 편입된 대촌동과 함께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잠시 광산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었다가 환원된 적이 있다. [10] 원래 육군부대와 보병학교 등이 있었던 상무대가 있었지만 장성군으로 이전하였고 그 자리에 상무지구를 개발하였다. [11]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봉선1동, 봉선2동, 사구동, 서1동, 서2동,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12] 1번 국도 [13] 터미널 앞의 무진대로는 무려 왕복 16차로이지만, 신세계백화점+유스퀘어문화관+터미널 조합으로 언제나 헬게이트(...)다. [14] 참고로 남구 역시 서구와 광산구에 버금가는 부촌이다. 의사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계 종사자들은 고법, 지법, 고검, 지검 등이 있는 법조단지가 동구 지산동에 있기 때문에 주로 동구에 많이 살고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8] 원래 광주가톨릭대학교와 호남대학교 쌍촌캠퍼스가 있었으나 각각 1998년 나주, 2015년에 광산구로 모두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