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0 23:10:35

광산구/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산구
1. 개요2. 철도
2.1. 일반철도2.2. 도시철도
3. 도로
3.1. 고속도로3.2. 일반국도3.3. 지방도3.4. 기타도로
4. 시외버스5. 시내버스6. 택시

1. 개요

광주공항 광주송정역으로 인해 광주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광주는 자가용과 버스의 교통분담률이 매우 높은 도시이다.[1] 그래도 2015년 4월 호남고속선과 2016년 12월 SRT 개통으로 이용객이 개통 전보다 광주송정역 기준 3배 가량 늘었고 버스 수요를 많이 빼앗아 버렸다. 앞으로도 광주송정역,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둘다 이용객이 꾸준히 늘어날 것이다.

2. 철도

2.1. 일반철도

호남선 호남고속선이 구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으며 관내에 소재한 역으로 광주송정역, 북송정역, 하남역, 임곡역(이상 호남선), 동송정역( 경전선), 극락강역( 광주선)이 있다. 그러나 여객영업을 하는 역은 광주송정역과 극락강역 뿐.

한편, 전남도차원이지만 목포군산간 서해안철도를 관철시키기위해 달빛철도 광주에서 영광으로 연장시키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2.2. 도시철도

도시철도로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송정권을 지나며 공항역, 송정공원역, 광주송정역, 도산역, 평동역이 있다. 허나 송정권 자체가 현재 광산구 전체에서 보면 유동인구가 적은 외진 편에 속해 아쉬운 점이 크다. 그래도 잘만 아용하면 금남로 상무지구까지 교통정체에서 벗어나 빨리 갈 수 있어서, 멀리서는 광산구 서부와 북부 주민들이 주로 송정공원역이나 공항역을 통한 환승을 위해 버스를 타고 넘어온다.

북구, 동구, 남구 서구를 잇는 순환선인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고 나면 광산구의 중심구간(신가, 운남, 수완, 첨단)을 관통하게 되어 교통체계가 크게 편리하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송정권은 상무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거나 운남에서 버스를 타고 가야 한다.

3.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7dc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dc5>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7dc5> 2 <colbgcolor=#ffffff,#191919> 2순환로
건재로 · 고봉로 · 금봉로
남산로 · 내상로 · 노안삼도로
동곡로
목련로
박호등임로 · 본동로 · 본량동서로 · 비아로 · 비아중앙로 · 빛가람장성로
사암로 · 삼도로 · 선운로 · 산월로 · 선운중앙로 · 소촌로 · 손재로 · 송도로 · 송정로 · 송정외로 · 수등로 · 수완로 · 신가로 · 신가번영로 · 신창로
앰코로 · 왕버들로 · 연산로 · 영광로 · 용아로 · 용보로 · 용진로 · 우산로 · 원두로 · 월계로 · 월곡산정로 · 월전로 · 유곡로 · 임곡로
장덕로 · 장신로 · 중앙로 · 진곡산단1번로 · 진곡산단2번로 · 진곡산단3번로 · 진곡산단4번로 · 진곡산단5번로 · 진곡산단6번로 · 진곡산단중앙로
첨단과기로 · 첨단강변로 · 첨단내촌로 · 첨단월봉로 · 체암로
평동로 · 평동산단1번로 · 평동산단2번로 · 평동산단3번로 · 평동산단5번좌로 · 평동산단5번우로 · 평동산단6번로 · 평동산단로 · 평동산단외로 · 평동옥동로 · 풍영로 · 풍영철길로
하남산단1번로 · 하남산단2번로 · 하남산단3번로 · 하남산단4번로 · 하남산단5번로 · 하남산단6번로 · 하남산단7번로 · 하남산단8번로 · 하남산단9번로 · 하남산단10번로 · 하남진곡산단로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3.1. 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가 구의 북쪽 끝을, 광주제2순환도로가 구의 동쪽 끝을 지나간다. 광주와 무안국제공항을 잇는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로는 목포, 무안, 함평으로 나가는 관문이 되었다. 49번 지방도 광주시 구간(본덕 - 와산)도 마침내 2013년에 개통되어 4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와도 통하게 된다. 그리고 금천교차로에서 빛가람장성로로 통해 계속 내려가면 해남, 강진, 영암 등으로 통하는 길과도 만나고, 나주시 혁신산업단지의 중간을 지나게 된다. 또한 무안 남악신도시에서 나주 혁신산단까지 직통하는 도로가 완공되었다. 2022년 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개통으로 호남고속도로와 49번 지방도가 연결되었다.

아래는 광산구에 위치한 고속도로 구조물 일람.

3.2. 일반국도

1번 국도 13번 국도, 22번 국도가 지난다. 광산구가 광주의 위성도시 포지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산구의 도로는 광주와의 도로 위주로 짜여져있다. 상무대로(22번 국도), 무진대로, 하남대로, 북문대로(1번 국도), 임방울대로 등의 도로가 이에 해당한다. 2000년대까지도 위에 서술한 도로의 절반이 없거나 왕복 2차로 수준으로 좁았기 때문에 출퇴근길의 상무대로와 하남대로는 언제나 헬게이트였다. 북문대로가 확장되고 무진대로가 개통되면서 헬게이트는 어느 정도 완화된 편.

3.3. 지방도

49번 지방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가 지정한 822번 지방도[3] 734번 지방도[4]가 있다.

3.4. 기타도로

그러나 광산구 자체를 관통하는 도로는 막장이다. 농촌지역인 동곡, 임곡, 본량, 삼도, 평동 등은 말할 것도 없고, 남북축을 잇는 보행/자동차 겸용 도로는 사암로- 송도로- 동곡로(13번 국도) 하나 뿐이었다.[5] 특히 사암로는 하남공단을 지나는 산업도로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첨단, 신가, 하남 생활권에서 송정권으로 나가는 유일한 길인지라 출퇴근길이 아니더라도 언제나 차가 많다. 1990년대 중후반까지만 해도 호남고속도로에서 전남 남부권으로 가는 차량들마저 죄다 사암로 쪽으로 몰리는 통에 주말이나 연휴에는 지옥을 봐야 했을 정도. 하남2지구와 수완지구가 개발되면서 용아로(구 산정로), 임방울대로 등의 남북축 도로가 생겼지만 반쪽자리 도로인지라 지켜봐야 알 일이다. 최근에 광산구 외곽을 잇는 하남진곡산단로가 개통되었고, 나주~혁신도시~본량~임곡~장성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 49호선이 있지만 모두 자동차전용도로이다.

북구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운수IC까지의 하남진곡산단로가 2017년 5월 18일에 전 구간이 개통, 또 하나의 남북측 도로가 완전 개통되었다. 이로써 13번 국도(사암로)를 대체하는 구간이 생겨, 첨단에서 선운지구까지 신호 없이 직통으로 갈 수 있게 됐다. 사암로, 임방울대로, 상무대로, 무진대로의 고질적 교통 체증이 풀리길 기대해 본다.

4. 시외버스

버스터미널은 원래 광주송정역 옆에 있었으나 문을 닫았다. 송정전화국 맞은편(영광통)에 문장, 영광 방면의 시외버스가 정차하고 영광, 목포, 해남 방면의 시외버스 일부가 광주송정역 앞에 정차하였으나, 송정리 시외버스정류소는 광주송정역으로 통합되었다. 서울-광주간 등 호남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고속버스 중 일부가 하행에 한해 고속도로 중간(비아동)에서 하차하긴 하는데, 연결되는 대중교통이 없어 이용률이 저조한 편. 비아, 첨단 방면이 목적지라면 비아에서 하차하여 10분 정도 걸어가서 비아호반아파트 정류장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타 지역간의 장거리 이동은 광주송정역이나 광천터미널을 이용한다.

5. 시내버스

시내 대중교통으로 지하철이 있긴 하나, 시내버스 이용이 높은 편. 위에서 설명했듯 광산구가 광주의 위성도시 역할을 하다보니 대부분의 버스노선 역시 옛 광산군 시절부터 광주 시내로 나가는 형태의 노선이 다수. 구 내부를 이동하는 지선버스는 노선 수만 많고 배차 간격은 한참 길다. 이처럼 구 내부 교통이 막장이라 마을버스 노선이 3개나 있는데, 이 중 시내 버스를 발라버리기도 한다.[6]

한편 일부 전라남도 소속의 농어촌 버스들도 광산구를 경유하거나 회차지로 삼는 경우가 있다. 비아(일부 시간대는 임곡 추가 경유)를 거쳐 광주 시내까지 운행하는 장성군 농어촌버스 노선들과, 나름 삼도주민들의 발인 나비버스 함평교통 500번, 상무대로를 거쳐 광주로 나가는 나주 버스 160번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나주교통 600번대(구 150번) 버스들이 노안, 평동을 거쳐 송정리까지 운행한다. 회차지는 송정IC 부근.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산구가 광역시 절반의 면적을 자랑하고, 인구도 급격히 늘어나는데 비하여 노선은 한정되어 있으니 상무지구나 구도심에 나가기가 쉽지는 않다. 오죽하면 지역 현안 중 하나가 노선 증설일지.. 다만 최근 광주송정역~시청~조선대학교 노선을 거치는 좌석02번과, 광주광역시 남구 송암공단~시청~광산구 우산동~광산구 하남동을 이어주는 송암68번이 신설되었으니 그나마 나으려나 싶다. 특히 무진대로변에 있는 주요 관공서 주변에는 배차시간 20분을 자랑하는 금호46번만 다녔는데, 송암68번이 추가되니 조금은 나아지려나.. 여전히 출퇴근 때는 압박이라더라 어차피 시청 쪽은 헬게이트니 포기해야 편해..2017년 2월부로 선운14번도 신설되었다.

2016년 10월 22일부터 급행노선 수완03번이 신설되어, 초반에는 수완지구~운남지구~유스퀘어~조선대~광주대~효천지구 노선으로 운행했으나. 2019년 7월부터는 첨단지구~수완지구~운남지구~유스퀘어~전남대사거리~교육대~조선대~남광주역~백운광장~광주대~효천지구~송원대 노선으로 연장되었다.

6. 택시

송정리나 하남, 신가, 수완, 첨단 등 도시지역이라면 택시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은 없다. 다만 기본요금이 조금씩 인상된 결과 택시를 이용하여 시내쪽으로 갈 때(시내에서 올 때도 마찬가지) 운암동이나 상무지구같이 가까운 곳을 제외하면 요금이 센 편이다.

반면 임곡, 본량, 삼도, 동곡의 전 지역, 평동 일부 지역(용곡동 광주시 농업기술센터 서쪽)은 광주시계 내임에도 불구하고 20%의 추가할증이 붙는다. 각 경계마다 할증 안내판이 있다. 광산구 도시지역에서 출발할때도 적용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7]
[1] 현재 실질적인 광주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은 광주송정역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다. [2] 이름과는 달리 장성에 있다. [3] 광산구 삼거교차로-나주시 노안면 양천교차로 [4] 광주-장성군 접경인 월산2교부근 [5] 사실 지금도 광산구 도시지역 북쪽 끝인 첨단에서 남쪽 끝인 송정을 쭉 잇는 일반도로는 13번 국도 단 하나 뿐이다. 임방울대로는 첨단에서 운남까지만 갈 수 있고, 용아로도 하남산단부터 광주광역시경찰청까지만 갈 수 있기 때문이다. [6] 어차피 광주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의 요금이 같아서 구별의 의미가 거의 없다. [7] 광주의 다른 지역 중 할증이 적용되는 곳은 무등산 주변과 남구 대촌동 일대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