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0080> |
광주광역시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수요응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800080,#ff7ffe> 광산구 | 700 |
|
720 |
|
남구 |
|
|
남구715 | ||
서구 | 서구760 |
|
|||
북구 | 북구777 | 북구788 |
|
||
|
|
1. 노선 정보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광산720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하남2지구) |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응암공원) | ||
종점 행 |
첫차 | 05:20 |
기점 행 |
첫차 |
05:35(신가우미아파트) 05:45 |
막차 | 평일 21:20 / 토요일,공휴일 21:28 | 막차 | 평일 22:02 / 토요일,공휴일 22:05 | ||
평일배차 | 10~22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4~28분 / 공휴일 23~52분 | ||
운수사명 | 광산버스 | 인가대수 | 14대[1] | ||
노선 | 하남2지구 - 광주여자대학교 - 우산빛여울채아파트(서) - 광주경찰청입구 - 광주인력개발원 - 금호타이어 - 송정공원역 - 소촌금호아파트 - 광산중 - 월곡일신아파트 - 월곡시장 - 목련마을6단지 - 목련마을 - 신가동 - 신가사거리 - 신가주공아파트 - 신창동우체국 - 신창중 - 신창초교 - 남부대 - 응암공원 |
2. 개요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노선으로, 하남2지구와 첨단지구를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72번(송광중-5일장-정광고-광산중-무역회관), 72-1번(서호-동곡-광주송정역-자동화설비고-광산중)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72-1번은 당시 본덕동 서호마을에서 출발해 광산구 우산동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했으며, 오지노선이라 특별 구간요금을 받았다.
- 2006년 대개편 때 포화상태였던 70번과 75번을 보조할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2] 번호도 72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구 36번의 노선을 모방했기 때문에[3] 한동안 '구 36번과 노선 동일'이라는 스티커를 붙여놓고 다녔다.
- 구민버스[4]의 부도로 인해 750번 마을버스[5]가 폐선되면서 긴급 증편이 실시되었고, 서호마을, 월곡동, 진흥고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기존 신창동 지역은 첨단93번[6]이 운행하게 되었으며, 월곡동 주택단지는 대체노선이 없었고, 서호마을은 710번에서 '두산 - 동곡 - 서호 - 송대 - 송정리 - 월곡동' 식으로 운행하게 되었다.[7]
- 영신운수 부도로 인해 780번 마을버스[8]가 폐선되면서 잉여차량을 증차분으로 사용하였다. 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 2014년 4월에 '하남역 - 광주여대(성심병원)' 구간이 연장되었다.
4. 특징
- 광주 버스들 중에서 첫차가 굉장히 이르다. 하남2지구 기준 5시 20분이 첫차인데 대부분 일반 시내버스들은 첫차가 5시 40분(급행, 간선)하고 6시 00분(지선)임을 감안하면 첫차가 굉장히 빠르다고 할 수 있다.
- 첨단지구가 종점이긴 하지만, 첨단공영차고지로는 가지 않는다. 하지만 천연가스버스인 만큼 가스충전을 위해서라면 갈지도...[9]
- 마을버스치고는 매우 깔끔한 선형을 가지고 있다. 골목길로 들어가지도 않으며, 오히려 인근에 다니는 첨단40번보다도 굴곡이 적다. 시내버스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노선이기 때문. 반대로 첨단40번은 폐선된 마을버스 대타로 들어가기 위해 노선을 바꿔서 오히려 마을버스 같은 선형을 가지고 있다.
- 기점인 하남2지구와 종점인 첨단지구 응암공원까지는 별로 멀지 않다. 하남2지구에서 수완12번을 타고 농수산물유통센터(북)에서 금호46번이나 송정33번으로 환승하면 25~30분 정도 소요된다. 약 7km 거리다.
- 이 노선 상에 있는 정류장들 중 절반 가까이 광주 마을버스 원년 노선인 마을700번과 만난다.[10]
- 여담으로 월곡동에서 하남2지구까지 가는데 문흥18번을 타면 약 10분이 걸리나, 이 노선은 약 25분이 걸린다.[11] 18번은 하남중 앞으로 가지만, 이 노선은 사암로를 타고 내려와 송정IC까지 간 다음에 영광통과 소촌산단을 지나서 하남2지구로 가기 때문. 원래 기점이 소촌동 시공무원연수원 앞이었기에 생긴 일이다. 다만 운남동에서 하남2지구로 가려면 일곡10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12] 다만 일곡10번은 배차 문제 때문에 곧 도착이지 않는 이상 차라리 약간 돌더라도 문흥18번을 타는게 낫다.
- 반대로 운남동에서 첨단응암공원까지 가는데 수완03번, 금호46번을 타면 약 15분 정도 걸리고, 이 노선은 약 30분 정도 걸린다. 수완03번, 금호46번을 타면 임방울대로로 직통하지만 이 노선은 신가동, 남부대를 거치기 때문이다. 다만 운남.월곡동~첨단2동주민센터까지 가는 경우에는 700번보다 이 노선이 제일 빠르다.[13]
- 대체로 운전이 험한 편이다. 노선이 같은 시내버스를 상대로 보복운전을 한 적도 있으며 # 노선이 겹쳐서 수요를 빼앗김과 배차시간표 때문에 그런 듯 하다.
- 2022년 3월 이전에는 첨단, 신창동, 신가지구 권역은 첨단09번하고, 신가동 · 운남동, 송정동 권역은[14] 송정29번과 수요가 분담되어 이용하기가 쾌적했으나 3월 이후 기존 송정29번과 첨단09번 이용객 중 90%를 흡수해 버려서 광주 마을버스 중에서도 최악의 혼잡도를 기록해버리고 말았다.[15] 문이 제대로 열리지 않을 정도. 초만원 버스 중 하나인 이 노선은 계단까지 승객이 꽉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차거부를 하는 게 아니라 승객을 오히려 더 받아내는 위험천만한 일이 생기기도 한다. 승차거부 문서에도 보다시피 초만원 상태의 버스는 정당하게 승차를 거부할 수 있다. 사람이 너무 많이 타기 때문에 기점부로 거슬러 가서 타는 경우도 극소수 있다.
- 상술하다시피 평일에는 이용승객이 많아 차내가 혼잡해 보인다면[16] 대체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다음 구간은 중단거리 기준 대체노선들이다.
-
첨단 방면 기준으로는 하남이나 광주여대에서 승차한 승객은 대부분
송정공원역에서 1차로 하차한다.[21] 이후 월곡일신아파트에서
대체 노선인 송정29번을 버리고대거로 몰려서 승차하는데[22] 문제는 신가지구, 신창동에서도첨단09번을 버려버리고[23] 이 노선으로 승객이 몰려서 남부대까지 초만원버스가 된 상태로 운행한다. 버스 내 이동조차도 불가능해서 앞문하차를 하는 승객이 상당한 편이다.[24] 남부대에서 2차 대하차를 하고, 마지막으로LC타워첨단2동행정복지센터에서 3차 대하차를 한 후 바로 종점인 응암공원에서 회차한다. 하남 방면은 그의 역순으로 남부대에서 대승차 하고 송정공원역에서 1차 대하차를, 광주여대에서 2차 대하차를 하면 마찬가지로 조용해진다.
4.1. 시간표
- 일요일, 공휴일에는 평일, 토요일 대비 배차가 2배 이상 벌어지므로 이용할 때 유의하자.
5. 연계 철도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송정공원역
- 일반 철도역: 극락강역[25](무궁화호)
[1]
실질적으로 12대 운행. 공휴일 6~8대 운행.
[2]
당시 두 노선은 출퇴근시간대에 수요가 폭발하는 노선이었다. 노선 상에 초등학교 두 곳, 고등학교 네 곳, 대학교 두 곳, 이렇게 총 여덟 학교가 있었기 때문.
[3]
개편 초기에 출발지는 소촌동 공무원교육원 앞이었으며, 신가동까지는 송정주공 경유를 제외하고는 노선이 똑같았다.
[4]
광산버스의 계열사였다고 한다.
[5]
구 75번 마을버스. 운행경로는 다음과 같다(당시 명칭이 포함되어 있음). 은혜학교 - 폭스존 - 광주교통방송 - 첨단초교 - 첨단사거리 - 첨단2동주민센터 - 남부대학교 - 신창초교 - 진흥고 - 보건대후문 - 신가중학교 - 신가사거리 - 신가주공1단지 - 금구중 - 대반초교 - 월곡시장 - 하남중 - 광주여대 - 우산시영1~2단지 - 송정주공 - 아리랑고개 - 송정공원역 - 영광통 - 광산구청 - 송정리역(당시 명칭)
[6]
후에
첨단40번으로 흡수되었다.
[7]
이후 720번 증차를 위해 2010년 말에 폐선되었다. 폐선된 후 두산과 송대에는
임곡90번이, 서호와 분토에는
송정99번이 연장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8]
과거 78번 마을버스로, 평동지역 오지마을과 송정동을 연결하던 노선이었다. 개편 이후 780번으로 운행하다 폐선.
[9]
반대편 하남2지구방면 차량은 동곡충전소로 향한다. 응암공원이 U턴해서 회차하는 만큼 비상시가 아니면 안갈듯. 다만 첨단공영차고지는 아니지만 같은 첨단에 위치한
대창운수 본사로는 차량 중정비나 세차를 목적으로는 갈 확률이 매우 희박하게나마 있을듯 하다.
[10]
이 노선 상에 있는 정류장이 46개인데(하남2지구 방면만 경유하는 극락강역입구 정류장 포함) 그 중에서 17개(700번 한정 건국지구대 방면만 경유하는 운남삼성아파트 정류장 포함) 정류장에서 만난다.
[11]
반대 방향(하남2지구에서 운남.월곡동까지)은 약 30분이 소요되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 금호타이어~영광통 구간의 상습 정체로 인해 소요시간은 30분+a가 된다.
[12]
문흥18번은 하남중을 경유하고, 일곡10번은 월곡2동행정복지센터로 리다이렉트를 해 준다. 다만 일곡10번이 배차가 긴 편이여서 두 노선의 격차가 5분 이내가 되지 않는 한 먼저 오는 걸 타면 빠르니 신중히 판단하고 타야 한다.
[13]
예를 들어 목련마을6단지에서 남부대까지 간다고 가정하면 700번은 신호대기 시간을 고려하면 약 45분 정도 걸리는 반면 720번은 신호대기 시간을 고려하면 약 20분 정도 걸리기 때문이다.
광주 버스 700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애초에 700번은 수완지구, 비아동에서 첨단으로도 이어지게 하였기 때문이다.
[14]
정확히는 신창동, 신가지구 권역도 포함
[15]
첨단2동-월곡동-송정공원역(지하철)을 바로 잇는 노선이 이것뿐이다. 문제는 첨단2동쪽 상권이 발달하면서 지하철 연선 · 월곡동에서 첨단 방향으로 가는 인원이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 버스가 없으면 29번을 타고 신창동에서 09번으로 갈아타야 하는데, 이미 지하철을 한 번 타고 송정공원역에서 내려서 첨단을 가는데 중간에 환승을 또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 버스로 수요가 몰렸다.
[16]
특히 평일 오전 7시 30분~오전 8시 30분, 오후 4시~오후 7시가 제일 혼잡도가 극심하니 기종점부에 근접하지 않는 이상 이 노선을 타겠다는 생각을 접는 게 좋다. 그렇다고 시내버스는 혼잡한 게 절대로 아니며 마을버스가 다니는 곳에서는 반대로 시내버스는 손잡이라도 잡을 수는 있어도 마을버스는 그 조차도 아니기 때문.
[17]
단, 첨단사거리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물론 첨단라인아파트하고 도보로 3분 정도 하니 날씨만 좋다면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다.
[18]
이 노선의 70% 구간이 송정29번하고 만나니 충분히 대체노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19]
단, 배차가 긴 노선이므로 도착정보 확인 후 이용해야 한다. 이런 경우
일곡38번 이용 후 금호타이어 하차 후,
마을700번을 이용하면 광주여대까지 대체가 가능하다.
[20]
추가로 이 노선은 극락강역입구~월곡일신아파트 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21]
하남 쪽에서 운남, 신가, 첨단으로 가는데 이 노선을 타면 많이 돌아간다.
[22]
월곡동에서 남부대로 가는 버스는 이것 아니면 많이 돌아가고 후문에 내려주는
첨단40번뿐이고, 첨단2동행정복지센터를 간다고 하면 40번이 빠지고 수완지구를 관통하고 잘 안오는
금호46번이 추가될 뿐이다.
[23]
첨단09번은 신가지구에 올 때부터 이미 만원버스일 때가 많다.
[24]
광주 시내버스에서 앞문하차는 전문형만 존재하는
좌석02번을 제외하면 불가능하다.
[25]
극락강역 입구는 하남2지구 방면만 정차, 신가사거리에서 도보 후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