苑 나라동산 원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미배정
|
2급
|
||||||
-
|
|||||||
일본어 음독
|
エン, オン
|
||||||
일본어 훈독
|
その
|
||||||
-
|
|||||||
표준 중국어
|
yu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苑은 '나라동산 원'이라는 한자로, '나라 동산', '화원', '정원'을 의미한다. '나라동산'이라는 우리말 훈은 황실/왕실의 정원을 가리킨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나라동산 |
음 | 원 | |
중국어 | 표준어 | yuàn |
광동어 | jyun2 | |
객가어 | yen | |
민북어 | ǔing | |
민동어 | uōng | |
민남어 | oán | |
오어 | hhyoe (T3) | |
일본어 | 음독 | エン, オン |
훈독 | その | |
베트남어 | uyển |
유니코드에는 U+82D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NIU(廿弓戈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夗(누워뒹굴 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말 그대로 정원을 가리켰지만, 중국의 고문헌에서는 주로 황실이나 왕실, 혹은 기타 지체 높은 사람이 사용하는 특별한 정원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우리말로 '나라동산'이라는 훈이 붙었다.
그 외에도 현대에 흔히 '학문의 메카'라고 할 때의 그 '메카' 같은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각원( 覺苑)
- 경원( 京苑)
- 궁원( 宮苑)
- 금원( 禁苑)
- 낭원( 閬苑)
- 내원( 內苑)
- 녹야원( 鹿 野苑)
- 녹원( 鹿苑)
- 명원( 名苑)
- 문원( 文苑)
- 법원주림( 法苑 珠 林)
- 봉원( 鳳苑)
- 비원( 祕苑)
- 사울( 射苑)
- 사원( 史苑)
- 상림원( 上 林苑)
- 상원( 上苑/ 尙苑)
- 서원( 西苑)
- 석원( 釋苑)
- 선원( 仙苑)
- 설원( 說苑)
- 시원( 詩苑)
- 심원( 深苑)
- 어원( 御苑)
- 예원( 藝苑)
- 외원( 外苑)
- 원대(苑 臺)
- 원서(苑 署)
- 원소(苑 沼)
- 원유(苑 囿)
- 원유회(苑 遊 會)
- 원화(苑 花)
- 윤원( 綸苑)
- 임원( 林苑)
- 장원( 掌苑)
- 전사원( 戰 詞苑)
- 조정사원( 祖 庭 事苑)
- 지원( 池苑)
- 폐원( 廢苑)
- 필원( 筆苑)
- 한원( 翰苑)
- 함춘원( 含 春苑)
- 후원( 後苑)
- 희춘원( 喜 春苑)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무샤노코지 시엔( 武 者 路 紫苑)
- 신엔코우지 루리카케스( 神苑 小 路 瑠 璃 懸 巣)
- 요리가미 시온( 依 神 紫苑)
- 요리가미 조온( 依 神 女苑)
- 원군장(苑 君 璋)
- 카즈키 시온( 香 月 紫苑)
- 하지원( 河 智苑)
3.4. 지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예원로( 藝苑 路)
- 베이위안루베이역( 北苑 路 北 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남동(苑 南 洞)
- 신주쿠 교엔( 新 宿 御苑)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녹원로( 竹 綠苑 路)
- 창경원( 昌 慶苑)
- 톈퉁위안역( 天 通苑 站)
- 톈퉁위안베이역( 天 通苑 北 站)
- 퉁저우베이위안역( 通 州 北苑 站)
3.5. 창작물
3.6. 기타
- 계원록( 桂苑 錄)
- 계원필경( 桂苑 筆 耕)
- 고금설원( 古 今 說苑)
- 문원보불속편( 文苑 黼 黻 續 編)
- 양파담원( 暘 葩 談苑)
- 유원총보( 類苑 叢 寶)
- 필원잡기( 筆苑 雜 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