秀 빼어날 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ひい-でる, ほ
|
||||||
秀
|
|||||||
표준 중국어
|
xi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秀는 '빼어날 수'라는 한자로, '빼어나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79C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DNHS(竹木弓竹尸)로 입력한다.자원(字源) 상으로는 禾(벼 화)와 引(끌 인)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며 벼가 피어난 것을 형상화하였다. 본래 뜻은 '이삭이 익다', 싹이 트다'이다.
후에 引는 弓 모양을 거쳐 乃 모양으로 변형되었다.
간체자 "秀"와 번체자 "秀"는 다섯 번째 획의 쓰임새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타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秀"는 "훌륭하다"나 "빼어나다"와 같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여성 이름보다는 주로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秀"를 포함한 남성 이름은 뛰어난 능력이나 특성을 강조하는 이미지와 연관이 있어서 남성성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선택되거나 사용된다.
여성 이름으로도 "秀"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수' 의 경우 상명자와 하명자의 차이가 커서 앞자리가 '수' 인 경우는 여성도 많이 사용하나, 뒷자리가 '수' 인 경우는 대부분 남자인 탓에 남성 이름에 더 흔하게 사용된다.
성별에 상관없이 중성적인 이름이나 다양한 의미를 가진 이름이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여성 이름으로도 "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앞자리면 여자도 많이 쓰인다 해도 뒷자리에서도 여성에게 쓰이는 경우도 과거에 비해 증가했다. 또한 '수' 자가 들어간 이름 중에서 이 한자와 '洙' 를 많이 사용한다. 노년층에서는 '壽' 도 많이 사용하는 편.
한국어로 "수" 발음을 가진 한자 중 일본인의 인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고병수( 高 秉秀)
- 김수녕( 金秀 寧)
- 김수민( 金秀 珉)
- 김수윤( 金秀 潤)
- 김수장( 金秀 壯)
- 김주수(金 周秀)
- 김수하( 金秀 何)
- 김수현(金秀 賢)
- 김현수( 金 賢秀)
- 노수( 魯秀)
- 박문수( 朴 文秀)
- 박수빈( 朴秀 彬)
- 박수빈( 朴秀 斌)
- 박수영( 朴秀 英)
- 박수완( 朴秀 完)
- 박수진( 朴秀 眞)
- 박인수( 朴 仁秀)
- 박현수( 朴昡秀)
- 배수지( 裵秀 智)
- 배철수( 裵 哲秀)
- 사이조 히데키( 西 城秀 樹)
- 석수( 石秀)
- 신수지( 申秀 智)
- 신은수( 申 銀秀)
- 심수창( 沈秀 昌)
- 안노 히데아키( 庵 野秀 明)
- 안철수( 安 哲秀)
- 양수경( 梁秀 敬)
- 오달수( 吳 達秀): 한국의 배우
- 우키타 히데이에( 宇 喜 多秀 家)
- 우치다 슈우( 内 田 秀, Uchida Shū): 여성 성우
- 유동수( 柳 東秀)
- 유인수( 柳 仁秀)
- 이대수( 李 大秀)
- 이수만( 李秀 滿)
- 이수진( 李秀 眞)
- 이수현( 李秀 賢)
- 이수현( 李秀 賢)
- 이외수( 李 外秀)
- 이천수( 李 天秀)
- 임수민( 林秀 敏)
- 임수정( 林秀 晶)
- 임수향( 林秀 香)
- 전수경( 全秀 卿)
- 전재수( 田 載秀)
- 정수빈( 鄭秀 彬): 두산 베어스 소속의 외야수.
- 정수빈( 鄭秀 彬): VICTON 출신의 가수 겸 배우.
- 정수정( 鄭秀 晶)
- 조수미( 曺秀 美)
- 지수연( 池秀 娟)
- 채수아( 蔡秀 雅)
- 천두슈( 陈 独秀)
- 도요토미 히데요시( 豊 臣秀 吉)
- 최동수( 崔 東秀)
- 최수빈( 崔秀 彬)
- 최수영( 崔秀 榮)
- 최수원( 崔秀 原)
- 최수정( 崔秀 珍)
- 최수종( 崔秀 宗)
- 하수영( 河秀 映)
- 허수( 許秀)
- 홍수주( 洪秀 邾)
- 훙슈주( 洪秀 柱)
-
펭수 (-秀)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䯮(흐트러진모양 내)
- 𩾖[⿱鳥乃](물오리 부)[1]
- 艿(풀이름 잉)
- 隽(살찐고기 전, 영특할 준)
- 𩀟[⿱雔乃](새길 전)[2]
- 𦞾[⿱脽乃](지짐이 전)[3]
- 㞧(모일 회)[4]
- 𧤢[⿱⿰角角乃]/ 𧤪[⿱⿰角隹乃](뿔송곳 휴)[5]
- 𣫉[⿱穀乃](괴)
- 𠂱[⿱此乃]
- 𡦺[⿱宀乃]
- 𫶵[⿱巴乃]
- 𰎯[⿱⿰山隹乃]
- 𰝄[⿱溤乃]
- 𣤃[⿱⿰⿱匕示欠乃]
- 𭺹[⿱甬乃]
- 𬔬[⿱𥫗乃]
- 𲉰[⿱雨乃]
- 𮥸[⿱倠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