始 비로소 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はじ-める, はじ-まる
|
||||||
-
|
|||||||
표준 중국어
|
shǐ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비로소 시. 비로소[1], 바야흐로[2], 일찍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女(여자)와 음을 나타내는 台(태, 이)가 합(合)하여 이루어져서, 여자의 뱃속에 아기가 생기는 일이 시초라는 데서 비로소, 처음의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이다.읽기 6급II , 쓰기 5급II에 속하는 한자다.
3. 용례
3.1. 단어
- 개시( 開始)
- 시가(始 價)
- 시동(始 動)
- 시말(始 末)
- 시무(始 務)
- 시발(始 發)
- 시생대(始 生 代)
- 시업(始 業)
- 시작(始 作)
- 시점(始 點)
- 시조(始 祖)
- 시종(始 終)
- 시초(始初)
- 시황(始 皇)
- 연시( 年始)
- 원시( 原始/ 元始)
- 창시( 創始)
3.2. 고사성어/ 숙어
- 금시초문( 今始 初 聞)
- 선시선종( 善始 善 終)
- 선종외시( 先 從 隗始)
- 시근종태(始 勤 終 怠)
- 시종(始 終)
- 신종여시( 愼 終 如始)
- 연말연시( 年 末 年始)
- 유시무종( 有始 無 終)
- 유시유종( 有始 有 終)
- 일부시종( 一 部始 終)
- 자금위시( 自 今 爲始)
3.3. 인명
- 김병시( 金 炳始)
- 김시진( 金始 眞)
- 성시경( 成始 璄)
- 성시백( 成始 柏)
- 시필가한(始 畢 可 汗)
- 신시아( 申始 雅)
- 아이카와 하지메( 相 川 始)
- 이시연( 李始 娟): 드림캐쳐의 멤버
- 이시연( 李始 燕): QWER의 멤버
- 이화시( 李 花始)
- 정민시( 鄭 民始)
- 조시형( 趙始 衡)
3.4. 지명
3.5. 창작물
4. 일본어
4.1. 훈독
始(はじ)める: 시작하다, 비롯하다 始(はじ)まる: 시작되다, 비롯되다전자는 타동사, 후자는 자동사이다.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도 들어봤을 법한 '하지메마시테(처음 뵙겠습니다)'가 始(はじ)める에서 파생된 것이다.
4.2. 음독
し.예) 開始(かいし): 개시, 시작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坮(돈대 대)
- 鈶(창 사)
- 冶(풀무 야)
- 怡(기쁠 이)
- 眙(땅 이름 이)
- 佁(미련스러울 이)
- 飴/ 𥹋(엿 이)
- 珆(옥돌 이)
- 枱(쟁기 이)
- 貽(줄 이)
- 詒(줄 이/속일 태)
- 耛(김맬 치)
- 𣅿(눈여겨볼 치)
- 治(다스릴 치)
- 齝(새김질할 치)
- 殆(거의 태)
- 𧉟(검은 조개 태)
- 軩(기울어질 태)
- 駘(둔마 태)
- 抬(매질할 태)
- 跆(밟을 태)
- 鮐(복어 태)
- 紿(속일 태)
- 胎/ 孡(아이밸 태)
- 咍(비웃을 해)
- 秮(알 찬 조 활)
- 𩇚
- 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