坮 돈대 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タイ, ダイ
|
||||||
일본어 훈독
|
うてな, しもべ
|
||||||
-
|
|||||||
표준 중국어
|
tá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坮는 '돈대 대'라는 한자로, ' 돈대'를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台(별 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576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IR(土戈口)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枱(나무이름 대)
- 抬(들 대)[1]
- 𣖤[⿰來台](이를/부지런할 래)
- 𥙉[⿰示台](제사 사)[2]
- 鈶(창 사, 탈륨 태)
- 始(비로소 시)
- 冶(풀무 야)
- 怡(기쁠 이)
- 眙(땅이름 이, 눈여겨볼 치)
- 佁(미련스러울 이)
- 飴/ 𥹋[⿰米台](엿 이)
- 珆(옥돌 이, 옥무늬 태)
- 枱(쟁기 이/사, 나무이름 대)
- 貽(줄 이)
- 詒(줄 이, 속일 태)
- 𡖤[⿰多台](많을 첨)
- 耛(김맬 치)
- 𣅿[⿰日台](눈여겨볼 치)
- 治(다스릴 치)
- 齝(새김질할 치)
- 殆(거의 태)
- 𧉟[⿰虫台](검은조개 태)
- 炲(그을음 태)[3]
- 軩(기울어질 태)
- 駘(둔마 태)
- 跆(밟을 태)
- 鮐(복어 태)
- 𩿡[⿰鳥台](새이름 태)
- 紿(속일 태)
- 胎/ 孡(아이밸 태)
- 咍(비웃을 해)
- 秮(알찬조 활)
- 𠁯[⿰中台]
- 𪠗[⿰厚台]
- 𠏓[⿰倉台]
- 𭘚[⿰巾台]
- 𲉍[⿰⻖台]
- 𱒮[⿰末台]
- 𪡳[⿰咅台]
- 𱢶[⿰曼台]
- 𪿘[⿰石台]
- 𰮜[⿰肉台]
- 𲁛[⿰角台]
- 𩇚[⿰靑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