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72 «Урал»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평가 |
1. 개요
T-72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T-72는 비교적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바르샤바 조약군에도 많이 공급되었으며 폴란드, 체코, 인도 등지에서 라이센스 생산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국이나 북한처럼 60년대 이후 소련과 사이가 틀어진 공산권 국가에는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T-55와 T-62의 뒤를 이어 중동 아랍 국가의 주력 전차로 자리매김하여 시리아, 리비아, 이라크 등지에도 수출되었다.
중국은 앞서 설명한 대로 중국-소련 국경분쟁 이래로 신형 소련 전차를 일절 공급받지 못했으므로, 80년대까지는 오히려 서방 세계에 접근하여 기술을 이전받아 59식 전차를 기반으로 한 기존 전차들의 개량형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나 천안문 사태로 인해 서방 세계의 기술 이전이 완전히 단절되고, 이후 소련이 해체되자 우크라이나(소련 붕괴 이후에 T-64와 T-80UD를 개발한 모로초프 설계국을 보유하게 되었다)로부터 T-72A를 소수 도입, 역설계하여 신형 전차 개발을 시도했고, 이후에는 기술 이전(주로 6ТД계열 대향피스톤 엔진)을 통해서 98/99식 전차를 제작하게 된다. 98/99식 전차의 보기륜을 보면 그것이 T-72의 방계 후손(혹은 사생아)임을 추측할 수 있다.
북한 역시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 어설프게 줄타기를 한 대가로 소련으로부터 최신 무기를 거의 공급받지 못했으므로 현재까지 북한의 주력전차는 중동에서 입수해 카피 생산한 T-62와 그 파생형( 천마호 시리즈)이었다. 물론 K-1 전차에 의해 발생한 전차 기술의 격차는 천마호 정도로는 전혀 극복이 불가능했으므로, 북한은 125mm 포 전차(물론 만만한 T-72)를 획득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여왔고 결국 뜬 소문에 그쳤던 북한의 T-72 보유 관련하여 적어도 T-72를 연구용으로 소수 보유한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모 일본인 블로거의 김정일의 예전 인민무력부 혁명사적관을 시찰하는 기록영화에서 발견된 T-72 우랄형 관련 분석글, 번역 요약글
대한민국 역시 이에 대응하여 T-72를 상대할 수 있도록 120mm 포 탑재 K1A1 전차를 배치하기 시작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북한이 T-72를 운용하고 있지 않다는 의견이 대세였는데 왜냐면 공식 퍼레이드에도 T-72 계열형은 물론이고 125mm 포 전차 자체가 관측된 바가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소련 붕괴기나 아직 대북제재가 빡세지 않던 틈을 타서 연구용으로 최소 1-2대 정도에서 최대 5대 내외 정도 입수하였으나, 위성사진을 미친듯이 돌려도 T-72로 추정되는 물건은 없기에 두자리-세자릿수 대의 도입은 없다고 보는게 좋을 성 싶다. T-62 마개조형을 민족 최고 전차라고 자랑하는 북한의 실태를 보면 T-72를 입수했을 때 자랑을 안 했을 리가 없다. 2010년 10월 공개된 폭풍호가 T-72급 전차일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나중에 드러난 바에 따르면 폭풍호는 T-62의 최종개량형이었다. 그나마 그 후에 등장한 선군호가 125mm 주포를 탑재하는 등 T-72급은 된다고 평가받고 있다.
2. 유럽
2.1. 소련
|
애국 공원 소장 T-72A |
2.2. 러시아
|
러시아 육군 소속 T-72B3 |
2.3. 벨라루스
2.4.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T-72B3 2016년형 |
2.5. 몰도바
독립 직후 잠깐 운용했으며, 1992년 경에 전부 퇴역하여 장갑차만 운용 중 이다.2.6. 스웨덴
|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T-72M1 "비트만" |
2.7. 핀란드
|
핀란드 육군 소속 T-72M1 |
2.8. 폴란드
|
폴란드 육군 소속 T-72 |
2022년 이후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폴란드는 동구권제 MBT인 T-72계열 대다수와 PT-91 일부를 우크라이나에 공여하고 그 빈자리를 레오파르트 2, M1 에이브람스, K-2 등 서방제 MBT로 채우고 있다.
2.9. 체코
|
체코 육군 소속 T-72M4CZ |
2.10. 세르비아
M-84와 같이 사용한다.3. 아시아
3.1. 대한민국
|
상무대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소장 T-72M1 |
3.2. 북한
|
인민무력부 혁명사적관을 시찰하는 김정일과 T-72 우랄 |
3.3. 중국
|
노린코의 T-72M1 업그레이드형 |
|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T-72 우랄-1 |
3.4. 미얀마
|
미얀마 육군 소속 T-72S |
3.5. 말레이시아
폴란드 파생형인 PT-91 트바르디를 사용한다.3.6. 베트남
T-72M1을 소수 사용중.3.7. 라오스
T-72M1을 사용하며, 일부 차량은 러시아와의 물물교환으로 T-34-85[1]와 교환하여 추가도입을 하였다.3.8.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육군 소속 T-72 |
3.9. 몽골
3.10.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육군 소속 T-72BA |
3.11. 타지키스탄
3.12. 이라크
3.12.1. 카타이브 헤즈볼라
|
카타이브 헤즈볼라 소속 T-72S |
3.13.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IS 소속 T-72AV |
3.14. 시리아
|
시리아 육군 소속 T-72M1 |
3.15. 예멘
|
퍼레이드 참가 예멘 정부군 대통령 경호 여단 소속 T-72 |
4. 아프리카
4.1. 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육군 소속 T-72M1 |
4.2. 에티오피아
우크라이나로부터 T-72UA1형 200여대를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다.5. 남아메리카
5.1.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육군 소속 T-72V |
[1]
왜 21세기에 T-34인가 하면, 러시아가 열병식때 2차대전 재현을 위한 차량으로 써먹으려고 자국 내에 남아있는 노후 T-72M1과 물물교환을 제안했다고 한다. 교환할 당시 러시아 국내에 멀쩡한 T-34가 없었다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