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00:00:43

MBC 플러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지상파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EBS 로고.svg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독립)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 파일:JTBC 로고_White.svg | 파일:MBN 로고.svg | 파일:TV CHOSUN 로고.svg 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파일:채널A 로고.svg 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보도전문채널
|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 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복수채널사업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일반채널사업자
<colbgcolor=#fff,#1c1d1f> 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플랫폼
IPTV
파일:KT GENIE TV.png | 파일:U+tv 로고.svg | 파일:B tv 로고.svg
위성방송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케이블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 헬로tv) |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 파일:HCN 로고.svg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 파일:CMB 로고.svg
케이블 개별 SO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경기) |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인천) |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대구) |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울산) |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경남) |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충북) |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전북) |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광주) |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제주)
제도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 직접사용채널(케이블 지역방송)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분류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파일:MBC 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MBC 플러스 로고.svg 파일:MBC 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주식회사 엠비씨플러스
MBC PLUS Co.,Ltd.
}}} ||
21세기 뉴미디어를 선도하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
MBC 드림센터
설립 1993년 9월 22일[1]
방송
품질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6-line/59.94㎐)] (2001.4.2-2007.1.14)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2007.1.14-)[2]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 오디오 사운드)] (2001.4.2-2007.1.14)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 (2007.1.14-)
모기업 파일:MBC 로고.svg
외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183c><colcolor=#fff> 대표자 <colbgcolor=#fff,#191919>강지웅
업종명 프로그램 공급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법인형태 외부감사법인
최대주주 문화방송 (지분 64.81%)
직원 387명 (2018년 기준)
채널 MBC every1, MBC SPORTS+
MBC 드라마넷, MBC ON, MBC M
}}}}}}}}}

1. 개요2. 역사3. 지배 구조4. 역대 로고5. 역대 사장6. 조직도7. 운영 채널
7.1. 케이블 채널7.2. 유튜브 채널7.3. 과거
8. 노동조합9. 관련 문서10. 기타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 계열 유료 케이블방송 자회사.

2. 역사

MBC가 케이블/위성채널 사업에 손을 뻗은 건 2001년 2월에 'MBC 플러스'를 세우면서부터였다. 창립 한달 후 싱가포르 ESPN 스타스포츠(이하 ESS)와 합작해 자회사 'MBC ESS 스포츠'를 세우고 'MBC 스포츠(현 MBC SPORTS+)' 채널을 개국한 뒤, 같은 해 제일제당그룹으로부터 드라마넷 및 룩TV를 인수하고 'MBC 드라마넷'과 'gembc'로 각각 개칭했다. 자체적으로는 드라마넷이 MBC 드라마넷으로 채널명을 변경한 2001년 4월을 창사 시기로 보고 있다.[3] 2002년에는 MBC MOVIES를 개국한 뒤 2005년 5월 MBC 드라마넷 및 MBC ESPN의 위성 DMB 송신을 개시했고, 2007년에 HD 송신을 처음 개시했다. 2008년에는 'MBC+ Media'라는 통합 브랜드를 쓰기 시작한 뒤 장애인 시청자들을 배려코자 폐쇄자막방송을 개시했으며, 2009년에 MBC 드라마넷, MBC GAME, MBC 플러스 3사가 통합되어 'MBC 플러스미디어'로 출범했고, 존속법인은 구 MBC 드라마넷으로 했다.

2014년 MBC 스포츠 법인을 합병한 뒤 2015년 3월 창사 14주년을 맞아 일산 MBC 드림센터로 사옥을 이전한 후, 8월 현 명칭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8년 '지니뮤직 어워드'를 공동 주최한 바 있고 2021년 모기업의 스포츠 중계/제작 업무를 이관받았다.

과거에는 지상파 방송의 유료방송 계열사 중 유일하게 게임 채널을 운영하기도 했지만, 사장의 방해공작으로 인해 폐국, 음악채널로 전환되면서 게임/ e스포츠 팬들에게는 금지어로 낙인찍혔다. 또한 본사가 애니메이션과 어린이 프로그램[4]에 대해 지상파 방송[5] 중 가장 박한 취급[6]을 하는 것을 증명하기라도 하듯 지상파 방송의 케이블 계열사 중 유일하게 어린이 채널을 운영한 적이 없다.[7][8]

3. 지배 구조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문화방송
65.0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CJ ENM[9]
22.37%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MBC C&I
5.39%
기타 7.19%

4. 역대 로고

파일:MBC플러스미디어 로고.png 파일:MBC 플러스 로고.svg
2009년~ 2015년 2015년~

5. 역대 사장

  • 심현우 (1993~1995)[10]
  • 정인섭 (1995)
  • 이덕한 (1995~1996)
  • 박경홍 (1996~1998)
  • 박종구 (1998~2000)
  • 박원세 (2000~2001)[11]
  • 윤건호 (2001)[12]
  • 곽성문 (2001~2004)
  • 장근복 (2004~2010)[13]
  • 안현덕 (2010~2012)[14]
  • 안우정 (2012~2013)[15]
  • 안광한 (2013~2014)
  • 한윤희 (2014~2017)[16]
  • 권재홍 (2017~2018)
  • 정호식 (2018~2020)[17]
  • 조능희 (2020~2023)[18]
  • 강지웅 (2023~현재)[19]

6. 조직도

  • 강지웅 대표이사 사장 - 전략기획팀
  • 김남중 부사장
    • 경영기술본부
      • 경영센터 - 인사법무, 총무, 재무
      • 기술센터 - 송출기술, 제작기술, 기술개발
    • 광고사업본부(김정현 본부장)
      • 광고센터 - 광고전략, 광고1~3팀
      • 사업센터 - 사업전략, 플랫폼사업, 사업1~2팀
    • 방송본부(김구산 본부장)
      • 콘텐츠센터 - 방송전략, 채널편성, 콘텐츠사업
      • 예능제작센터 - 제작운영, 제작1팀( MBC every1), 제작2팀( MBC M), 사업제작
      • 스포츠제작센터 - 스포츠제작, 아나운서

7. 운영 채널

7.1. 케이블 채널

7.2. 유튜브 채널

7.3. 과거

8. 노동조합

9. 관련 문서

10. 기타

  • 전 채널에 영화 광고가 나오고 있다.


[1] 옛 제일방송(현 MBC 드라마넷) 법인의 설립일이다. [2] 단, MBC게임만은 2012년 폐국 및 채널 전환 직전까지 SD 480/60i로만 방송되었다. [3] 2015년 4월 1일 방송된 쇼챔피언 139회는 'MBC 플러스미디어 창사 14주년 특집'으로 제작되어 MBC 드라마넷, MBC QueeN까지 4개 채널에서 동시편성되었으며, 출연 가수들이 당일 방송된 베이스볼 투나잇에 멘트 제공 형태로 출연하기도 했다. 또한 유튜브 채널에는 14주년 기념 영상이 있다. [4] 뽀뽀뽀는 2013년 8월 7일에 고별방송 없이 일반방송에 종영 자막을 올리는 것으로 일방적으로 종영하였고 똑? 똑! 키즈스쿨을 방영했지만 반응이 없자 2018년 4월 2일에 가서야 뽀뽀뽀 모두야 놀자로 부활했지만 2020년 1월 6일을 끝으로 종영되었다가, 그 해 7월 13일에 뽀뽀뽀 친구친구로 부활했다. [5] SBS도 < 달려라 코바>를 비롯해 <날아라 호킹>, <마법의 섬 띠또띠또>, <내 친구 팅구>, <헬로우 퀴즈짱> 등을 방영했지만, 유아 프로그램 쪽은 역량이 떨어졌다. [6] 실제로 MBC는 2004년에 꼬마마법사 레미 포르테를 끝으로 합작을 제외한 순수 일본 애니메이션 편성이 끝났으며, 후속작인 비바체는 방영권이 투니버스로 넘어갔다. 이듬해인 2005년에는 스파이더맨 NAS 방영을 마지막으로 순수 해외 애니메이션 편성이 끊겼다. 또한 방영 시간대도 현재까지 좋지 않은 편. [7] KBS N KBS Kids, SBS미디어넷 산하에 있는 미디어넷플러스는 키즈맘(2023년 폐국)을 운영한 적이 있지만, MBC는 운영한 적이 아예 없다. [8] 다만 MBC every1의 전신인 MBC MOVIES에서 'MBC Kids' 블록을 통해 쫑아는 사춘기, 우당탕탕 두디 두디 등의 애니메이션을 편성한 적이 있고, MBC ON에서 2020년 추석 특집부터 2021년까지 명절연휴 기간 동안 머털도사를 편성하였다. [9] CJ의 지분이 어느 정도 있는 이유는 전신인 제일방송이 불미스러운 일로 대표가 구속되어 이후 CJ온스타일의 전신이 되는 삼구쇼핑에서 인수했고, 이후 삼구쇼핑 대표가 자살하여 그 여파로 삼구쇼핑이 CJ에 매각되고 후에 MBC 드라마넷이 MBC에 인수되면서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10] 전 TBC, KBS, 시네텔서울 PD, 제일영상 설립자. [11] 당시 뮤직네트워크 사장 겸임. 퇴임 후 CJ미디어 대표, 동성홀딩스 대표, 법률방송 사장 등지 역임. [12] 전 MBC 편성국장, 홍보심의국장, 편성실 부실장. 퇴임 후 마산MBC 사장으로 발령. [13] 전 MBC 정보시스템팀장, 사업국장. 2012년 사망. [14] 전 MBC 관계회사팀장, 국내사업팀장, 전략프로젝트PM. 이후 MBC 아메리카로 발령. [15] 전 MBC 예능본부장. 퇴임 후 모기업 부사장으로 승진. [16] 전 MBC 재무운영국 부국장, 신사옥건설국장, 특보. 부사장에서 승진. [17] 전 MBC 시사교양국장, 라디오본부장, 가톨릭커뮤니케이션협회 회장, 부사장에서 승진했으며 이후 MBC 콘텐츠총괄부사장으로 발령. [18] 전 MBC 기획편성본부장, 기획조정본부장. [19] 전 MBC 기획조정본부장, 드라마본부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