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한국농구연맹에서 당년 최고의 활약을 펼친 신인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2. 수상 조건
2019-20 시즌까지는 해당 시즌에 처음으로 등록이 된 신인 선수들만 수상이 가능했다. 문제는 이 '신인 선수'의 기준이 경기 출전 여부가 아니라 선수 등록 여부로 결정되었다는 것. 드래프트에서 지명된 뒤 부상으로 첫 시즌을 날리고 2년차 시즌부터 뛰게 될 경우 아무리 잘하더라도 신인상을 받을 수가 없었다. 첫 시즌 자동으로 선수 등록이 되었고 그 시즌에 이미 다른 선수들과의 경쟁에서 밀렸다고 간주하기 때문.[1] 이런 엄격한 규정 탓에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도 신인상에 도전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게 되는 케이스가 나오면서 2020-21 시즌부터 관련 규정이 변경되었다. 2년차 선수까지 대상을 확대하되 해당 시즌 출전 가능 경기 1/2 이상 출전해야 한다.[2] 그리고 2022-23 시즌 한정으로 아시아 쿼터제로 들어온 선수들도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신인상 자격이 주어졌다.[3]3. 역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KBL 역대 신인선수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1997 시즌 | 1997-98 시즌 | 1998-99 시즌 | 1999-2000 시즌 | 2000-01 시즌 |
없음 |
주희정 고려대 나래 / 가드 |
신기성 고려대 나래 / 가드 |
김성철 경희대 SBS / 포워드 |
이규섭 고려대 삼성 / 포워드 |
|
<rowcolor=#fff> 2001-02 시즌 | 2002-03 시즌 | 2003-04 시즌 | 2004-05 시즌 | 2005-06 시즌 | |
김승현 동국대 동양 / 가드 |
김주성 중앙대 TG / 포워드 |
이현호 고려대 삼성 / 포워드 |
양동근 한양대 모비스 / 가드 |
방성윤 연세대 SK / 포워드 |
|
<rowcolor=#fff> 2006-07 시즌 | 2007-08 시즌 | 2008-09 시즌 | 2009-10 시즌 | 2010-11 시즌 | |
이현민 경희대 LG / 가드 |
김태술 연세대 SK / 가드 |
하승진 연세대 KCC / 센터 |
박성진 중앙대 전자랜드 / 가드 |
박찬희 경희대 인삼공사 / 가드 |
|
<rowcolor=#fff> 2011-12 시즌 | 2012-13 시즌 | 2013-14 시즌 |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 |
오세근 중앙대 KGC / 센터 |
최부경 건국대 SK / 포워드 |
김종규 경희대 LG / 센터 |
이승현 고려대 오리온스 / 포워드 |
정성우 상명대 LG / 가드 |
|
<rowcolor=#fff> 2016-17 시즌 | 2017-18 시즌 | 2018-19 시즌 | 2019-20 시즌 | 2020-21 시즌 | |
강상재 고려대 전자랜드 / 포워드 |
안영준 연세대 SK / 포워드 |
변준형 동국대 KGC / 가드 |
김훈 연세대 DB / 포워드 |
오재현 한양대 SK / 가드 |
|
<rowcolor=#fff> 2021-22 시즌 | 2022-23 시즌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
이우석 고려대 현대모비스 / 가드 |
아바리엔토스 파 이스턴대 현대모비스 / 가드 |
유기상 연세대 LG / 가드 |
대 / |
대 / |
|
<rowcolor=#fff> 2026-27 시즌 | 2027-28 시즌 | 2028-29 시즌 | 2029-30 시즌 | 2030-31 시즌 | |
4. 역대 수상 구단
소속 | 횟수 | 시즌 |
서울 SK 나이츠 | 5회 | 2005-06, 2007-08, 2012-13, 2017-18, 2020-21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4회 | 1999-00, 2010-11, 2011-12, 2018-19 |
원주 DB 프로미 | 4회 | 1997-98, 1998-99, 2002-03, 2019-20 |
창원 LG 세이커스 | 4회 | 2006-07, 2013-14, 2015-16, 2023-24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3회 | 2004-05, 2021-22, 2022-23 |
서울 삼성 썬더스 | 2회 | 2000-01, 2003-04 |
고양 데이원 점퍼스 | 2회 | 2001-02, 2014-15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2회 | 2009-10, 2016-17 |
부산 KCC 이지스 | 1회 | 2008-09 |
수원 KT 소닉붐 | 0회 | - |
5. 신인상 수상 시즌에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기록한 선수
- 2000-01 이규섭 (수원 삼성 썬더스)
- 2001-02 김승현 (대구 동양 오리온스)
- 2002-03 김주성 (원주 TG 엑써스)
- 2008-09 하승진 (전주 KCC 이지스)
- 2011-12 오세근 (안양 KGC인삼공사)
- 2017-18 안영준 (서울 SK 나이츠)
6. 기타
- 이상민은 상무에서 뛰면서 프로 선수들과 경기를 치렀기 때문에 신인 선수상 경쟁에서 제외됐다.
- 2009-10 시즌부터 들어온 귀화 혼혈 선수들도 신인 선수상 경쟁에서 제외됐다. 이 선수들은 KBL에서나 신인이지 그전에 이미 여러 해외리그에서 뛰어본 경험이 있는 베테랑들이었기 때문.
- 2003-04 시즌의 신인 선수상은 최악의 수상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원체 줄 선수가 없어 그나마 팀에 공헌했다고 하는 이현호가 수상했다. 득표율은 32%.
- 역대 최고 득표율은 2002년 김승현이 기록한 98.7%. 그리고 김승현은 이 해 정규시즌 MVP까지 수상했다. KBL 역사상 신인상과 정규시즌 MVP를 동시 석권했던 건 김승현이 유일하다.[8][9]
- 역대 가드 포지션의 최우수 신인들은 이우석을 제외하면 모두 포인트 가드.
- 정성우는 상명대 최초로 신인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이현호와 더불어 역대 최악의 신인상이라 평가 받고있다. 네이버 라디오 바스켓 카운트에서도 관심은 거의 전무했고 아무나 받아도 상관 없다는 식의 말들이 기자들 사이에서도 나왔다고 한다.
- 하지만 위의 정성우를 뛰어넘는 역대 최악의 수상자가 2019-20 시즌에 나왔다. 2라운드 5순위 출신의 김훈이 수상했는데, 이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 중고신인이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변경하자는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결국 이 다음 시즌부터 2년차 선수도 기준을 충족할 경우 수상이 가능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대학교는
고려대학교이다. 고려대는 주희정, 신기성, 이규섭, 이현호, 이승현, 강상재, 이우석까지 7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연세대학교는
방성윤, 김태술, 하승진, 안영준, 김훈, 유기상까지 6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경희대학교가 김성철, 이현민, 박찬희, 김종규 등 4명으로 그 뒤를 쫓고 있다. 중앙대학교는 김주성, 박성진, 오세근 3명이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이어 김승현, 변준형 동국대학교 2명이다. 또한 한양대학교도 양동근, 오재현 등 2명을 배출해냈다. - 신인상 수상 규정이 아시아 쿼터제로 확대된 후 2022-23 시즌에 아시아 쿼터제로 입단한 선수 중에서 첫 수상자가 나왔다. 해당 주인공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론 제이 아바리엔토스.
7. 관련 문서
[1]
NBA는 부상 등의 사유로 규정 경기수를 채우지 못한 신인 선수는 다음 시즌에도 신인상 자격을 부여한다.
[2]
단, 등록 첫 시즌에 출전 가능 경기 1/2 이상을 출전할 경우 차기 시즌 신인왕 후보에서 제외된다.
[3]
이 경우에도 국내 선수들의 자격과 마찬가지로 입단 시점에서 KBL 외 타 프로팀 경력이 1시즌 이하에 이전 소속 팀에서 해당 1시즌 1/2 미만 출전인 선수에게만 자격이 주어진다. 이 때문에
이선 알바노가 신인왕 후보에서 제외된 것.
[4]
최초의 전체 1순위 지명 수상자.
[5]
최초의 2라운드 지명 수상자.
[6]
최초의 2년차 수상자.
[7]
최초의 외국 국적 수상자.
[8]
KBO 리그에서는 2006년
류현진이 신인상과 MVP를 모두 휩쓴 적이 있다.
[9]
V리그에서는
김연경이 신인상과 MVP 그리고 챔피언결정전 MVP까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