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F-5의 운용국에 대해 정리한 문서. 2024년 초 현재 전세계 F-5E/F 운용국 현황을 보면 한국 공군이 80대 보유로 1위다.[1] 그 뒤를 이어 미국 해군·해병대가 가상적기 용도로 53대를 보유해 2위를 차지했다. 브라질(44대), 스위스(42대), 이란(35대), 모로코(26대), 태국(25대), 케냐(21대), 튀니지(14대), 바레인(12대), 온두라스(11대), 칠레(9대) 순이다.2. 북아메리카
2.1. 미국
F-5N |
2.2. 캐나다
CF-116 Freedom Fighter |
2.3. 멕시코
F-5E |
2.4. 온두라스
F-5E |
3. 남아메리카
3.1. 브라질
F-5EM |
칠레, 페루, 베네수엘라 같은 남미의 이웃국가들이 각각 F-16, MiG-29, Su-30 등 F-5보다 한 단계 위인 전투기들을 운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브라질은 엠브라에르와 IAI에 F-5의 수명 연장과 대대적인 개조를 통해 F-5EM을 개수하는 수준으로 F-5 전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브라질이 외교적으로 주변국들과 군사적으로 큰 긴장관계에 놓인 것도 아니었으며 주변국들이 보유한 전투기와 동급 수준으로 70대가 넘는 전투기를 대체하기에는 재정적으로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브라질 공군은 2010년대부터 도입을 확정한 JAS 39 그리펜을 주력기로 두고, F-5EM을 대체 중이기는 하나 2024년 기준으로도 F-5EM은 여전히 가동 중에 있다.
3.2. 칠레
F-5E Tiger Ⅲ |
3.3. 베네수엘라
VF-5A |
4. 유럽
4.1. 네덜란드
NF-5 |
4.2. 스위스
F-5E Tiger Ⅱ |
|
스위스 공군의 F-5에 관한 다큐, "Tigris Helveticus" |
4.3. 오스트리아
F-5E Tiger Ⅱ |
4.4. 소련
과거 베트남과 에티오피아에서 노획한 F-5E 계열을 입수하여 MiG-21/23과 비교한 적이 있다.4.5. 스페인
SF-5M |
4.6. 그리스
F-5A Freedom Fighter |
4.7. 노르웨이
F-5A Freedom Fighter |
5. 아시아
5.1. 대한민국
KF-5 |
그런데 10.26 사건이 발생하고 전두환 정부 시기 주영복 국방부장관이 면허생산 기종을 F-16에서 F-5로 바꾸도록 지시한다. 결국 1982년~1986년 사이에 대한항공(기체조립)과 삼성정밀(엔진부분)에서 KF-5 제공호 68대가 면허생산되었다.
직도입한 F-5는 2023년에 전량 퇴역했고, KF-5는 2030년까지 모두 퇴역할 예정이다. 빈자리는 F-35A, FA-50, KF-21이 채울 예정이다.
5.2. 대만
F-5E |
1990년대 싱가포르에서 일부 기체가 RF-5E로 개수되기도 했고 2000년대 초반에 F-5에 대한 현대화 개량사업이 AIDC를 통해서 제시되었으나 대만 공군이 흥미를 보이지 않아서 사업이 그대로 묻혔다. 이후 급격히 퇴역하여 현재 소수만 운용중으로 파악된다. 특이하게도 대만의 F-5의 파일럿 중에는 북예멘에서 공중전과가 있다. 1979년 예멘은 F-5를 도입했는데, 운용 능력이 없어서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 하에 대만의 조종사와 정비사를 파견한 적이 있다. 이때 공중전이 발생하여 실전에 투입된 것이다.
2023년말 마지막 남은 60대의 F-5E/F가 전량 퇴역했다.
5.3. 중국
대만 파일럿이 몰고 망명한 몇 대를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고, J-7 개량의 레퍼런스로 삼았다.5.4. 태국
F-5TH |
5.5.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공군은 16대의 F-5E/F를 운용하였으나, 안전 문제로 인해 인도네시아 공군 참모총장의 지시에 따라 2016년 5월 3일부터 퇴역했다.5.6. 남베트남/베트남
1972년 남베트남 공군은 미국, 한국(36대), 이란, 대만(48대)으로부터 F-5A 158대, 10대의 RF-5A, 8대의 F-5B 훈련기를 받았다. 1975년 4월 남베트남 패망당시 태국으로 망명한 일부 기체를 제외하면 모두 북베트남 공군이 노획하고 운용했다.[3] 특이사항으로는 남베트남에서 망명한 기체 중 항공모함 USS 엔터프라이즈 CVN-65에 착함한 경우도 있었다는 것이다.노획한 F-5 일부는 소련 측에 제공했으며, 이후 발발한 중월전쟁에서는 중국 공군과 교전에 투입되기도 했다. 현재는 전량 퇴역 상태이다.
5.7. 싱가포르
F-5S |
5.8. 말레이시아
F-5E Tiger Ⅱ |
5.9. 필리핀
F-5의 퇴역 이후 2015년 FA-50을 도입할 때까지 전투기가 없는 국가로 남아있었다.5.10. 이란
F-5E |
이란이 자체 개발한 HESA 아자라크쉬, HESA 사에케, HESA 코우사르라는 기체도 존재한다. 외형은 F-5와 거의 차이가 없으며, 이란 파생기는 자체 개발이 아니라 F-5를 재생, 개량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5.11. 사우디아라비아
5.12. 튀르키예
NF-5A/B |
5.13. 바레인
F-5E Tiger Ⅱ |
5.14. 요르단
5.15. 예멘
통일되기 전 북예멘에서 1979년에 14기를 도입했다.5.15.1. 후티
위에 나온 구 북예멘 공군 기체 일부를 후티 반군이 접수하여 운용하고 있다. #6. 아프리카
6.1. 모로코
F-5E Tiger Ⅱ |
6.2. 튀니지
2021년 12월 현재 11대의 F-5E와 3대의 F-5F가 운용 중이다.6.3. 수단 공화국
6.4. 리비아
6.5. 케냐
2008년 7월 요르단 공군으로부터 구매하였으며, 2021년 12월 현재 17대의 F-5E와 6대의 F-5F가 운용되고 있다.6.6. 에티오피아
6.7. 보츠와나
[1]
사고잦은 노후 전투기 F-5 보유국 세계 1위 된 韓…대만 60대 무더기 퇴역
[2]
A형 88기, B형 30기, RF-5A 8기, E형 126기, F형 20기, KF-5E 48기, KF-5F 20기
[3]
F-5A 87대, F-5E 27대를 노획했다고 보고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