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1:22:51

Edward Gaming Hycan/멤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dward Gaming Hycan
1. 현 멤버
1.1. Solokill(솔로킬, 막푸컹)1.2. JieJie(지에지에, 자오리제)1.3. Cryin(크라인, 위안청웨이)1.4. Leave(리브, 후훙차오)1.5. Thesnake(더스네이크, 캉광)1.6. Wink(윙크, 장루이)
2. EDG YOUTH TEAM3. 전 멤버
3.1. Fzzf(에프지지에프, 펑저우쥔)3.2. Herok(헤록)3.3. Kumamon(쿠마몬, 싱지빈)3.4. Helper(헬퍼)3.5. Holic(홀릭)3.6. Gao(가오, 루비와오중)3.7. Cult(컬트, 천궈지)3.8. YIHUA(이화)3.9. Lyon(라이언, 왕타오)3.10. CLAY(클레이)3.11. Lad(라드, 후빙)3.12. More(모어, 린위안)3.13. Xinyi(신이, 챵핑)3.14. Dawn(던, 류자오웨이)3.15. Aodi(아오디, 자오아오디)3.16. Sloth(슬로쓰, 리지셍)3.17. Jackairay(잭키레이, 셰위)3.18. GENTLE(젠틀, 야오시젠)3.19. Xiaguang(샤구앙, 우링펑)3.20. Xiaoxiang(샤오샹, 황샹)

1. 현 멤버

1.1. Solokill(솔로킬, 막푸컹)

파일:EDG_Solokill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1.2. JieJie(지에지에, 자오리제)

파일:EDG_JieJie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1.3. Cryin(크라인, 위안청웨이)

파일:IG_Cryin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1.4. Leave(리브, 후훙차오)

파일:EDG_Leave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1.5. Thesnake(더스네이크, 캉광)

파일:EDG_Thesnake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1.6. Wink(윙크, 장루이)

파일:IG_Wink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2. EDG YOUTH TEAM

3. 전 멤버[1]

3.1. Fzzf(에프지지에프, 펑저우쥔)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220px-EDG_Fzzf_2014_WCS.jpg

서포트 담당으로 前 WE, Team Phoenix 출신이다. 아이디는 風中追風(feng zhong zhui feng, 바람 속에서 바람을 쫓는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클리어러브와 웨이샤오의 추천으로 WE에 들어왔었다. 별명은 卷毛인데, KDA를 유지하려는 행동이 있었는지 몰라도 KDA毛라고 불리기도 한다. 블리츠크랭크를 잘한다.[2] IPL 5에서 WE의 우승의 공헌을 했었다. 중국 내에선 OMG의 알렌과 같이 서폿 투 탑으로 취급받았었다. 알렌이 정글로 이동한 LPL 서머에선 제로(Zero)와 함께 투 탑 취급을 받았다.[3]

라인전 강캐인 쓰레쉬를 잡고도 서폿이 주도하는 라인전 능력은 영 허접하나 클리어러브처럼 한타와 끊어먹기에서는 한국 팬들도 감탄할 정도의 스킬 활용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로얄 클럽과의 8강전에서는 잘한다는 쓰레쉬를 가지고 플레이한 5세트에서 어처구니 없는 모습을 연달아 보여주며[4] 팀의 패배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데프트와 함께 출전한 서포터 Mouse의 기량이 너무 나빠서 루머가 조금 돌고 있다. 한국인 서포팅을 거부했다거나, 한 시즌 휴가간다거나 아무튼 데프트는 계속 Mouse와 함께 할듯. 일단 Mouse도 솔랭 고수를 뽑아온 것은 맞다고 한다. 그리고 LPL 개막전을 하루 앞두고 은퇴를 선언했다.

3.2. Herok(헤록)

파일:2017 Herok Summer1.png

3.3. Kumamon(쿠마몬, 싱지빈)

파일:2017 Kumamon Summer1.png

3.4. Helper(헬퍼)

파일:2017 Helper Summer1.png

3.5. Holic(홀릭)

파일:2017 Holic Summer1.png

3.6. Gao(가오, 루비와오중)

파일:2018 Gao Spring1.png

전 IN Gaming 원딜러. 바실리가 기물파손으로 인해 다음 경기 출전을 못하게 되자, 대신 출전하였다. 그런데 첫 출전경기에서 MVP를 차지하며 화려한 활약을 해내 눈길을 끌었다.

3.7. Cult(컬트, 천궈지)

파일:EDGY Cult 2019 Split 2.png

2019년 12월 18일 EDG Youth Team을 떠나 LGD Gaming으로 이적했다. #

3.8. YIHUA(이화)

3.9. Lyon(라이언, 왕타오)

파일:EDGY Lyon 2019 Split 2.png

3.10. CLAY(클레이)

3.11. Lad(라드, 후빙)

파일:EDGY Lad 2019 Split 2.png

3.12. More(모어, 린위안)

파일:EDGY More 2019 Split 2.png

3.13. Xinyi[5](신이, 챵핑)

파일:EDG_Xinyi_2020_Split_1.png

탑의 카베와 세트메뉴로 영입된 홍콩인이 아니고 중국인 정글러. 중국서버에서 66게임을 한번도 안지고마스터를 찍고 바로 단기간에 챌린저를 찍은 정글러로 중국에서 조금 유명하다.팀이 클리드 대신 로컨이나 칸을 기용해볼 생각이라면 기회를 받을지도? 그리고 얼론이나 카베와 달리 중국인 듣보잡답게 WTF스러운 경기력을 보여주며 괜히 로컨까지 같이 욕먹게 만들었다.

그런데 원딜인 바레트가 더 못해 결국 로컨과 함께 강제주전이 되었다. 그 뒤 JDG에서 TSG로 이적했다가, 서머 시즌에 FPX로 이적하면서 LPL로 복귀했으며 FPX에서 정말 거하게 말아먹다 3주차 2경기에야 알렉스에게 밀려났다. 2019년에는 전 동료였던 도인비를 만났지만, 티안이 도인비를 만나 날개를펼쳐 결국 또 벤치행. 당연하다면 당연한게 티안은 도인비 없을때도 단점이 뚜렷해서 그렇지 장점을 보여주던 상황에서 도인비를 만나자 약점이 가려지면서 대박을 치는 것인데, Xinyi는 도인비와 함께 할때도 정말 드럽게 못하기만 했던 정글러이다. 다르게 말하면 얘랑 함께한 시즌 빼면 도인비는 뭔 폐품스런 로스터를 던져줘도 플옵 개근이었는데, Xinyi와 함께한 시즌에는 또다른 2018년 4강 컨텐더팀 봇듀오었던 로컨-LvMao와 함께 하면서도 팀 성적이 바닥을 쳤다. 2019년 11월 21일 FunPlus Phoenix와의 계약이 종료됐다. # 이후 12월 17일 Edward Gaming으로 이적했다. #

신이 데리고 V5에게 지던 팀이 지에지에 투입 후 결승까지 진출하는 등, 3개 팀에서 기복이 전혀 없는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14. Dawn(던, 류자오웨이)

파일:EDGY Dawn 2019 Split 2.png

3.15. Aodi(아오디, 자오아오디)

파일:EDG_Aodi_2020_Split_2.png
팀의 탑 서브멤버이다. 2017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마우스가 부진하자 대타로 나왔는데 피오라와 자르반으로 그 마우스가 그리워질 정도의 상상을 초월하는 경기력을 보여주고 마우스와 바로 교체되었다.

NEST에서 전력 숨기기용으로 마우스 대신 나와서 발렸다 카드라. 그리고 완전히 사형선고를 받진 않았으나 EDG에서는 쓸모없어진 선수들이 다들 그렇듯이 일단 IM으로 이적하였다. BLG에서는 AJ한테 밀리면서 1경기도 출장하지 못 했고 스프링 시즌이 끝나고 주전 자리를 찾기 위해 마침 룽이 은퇴한 VG로 이적하였다.

VG로 이적한 후에는 Meow보다는 당연히 나아서 주전을 차지했으나 경기력은 스프링 때보다 약간 좋아진 수준이라 그런지 계속 패배 중이며 전 닉네임인 Freecss의 유래는 헌터×헌터 곤 프릭스다.

2019년 12월 17일 Vici Gaming과의 계약이 종료됐다. # 이후 Edward Gaming으로 이적했다. #

EDG에서는 탑에 주전인 지누가 있기 때문에 딱히 출전 기회가 많지 않았을 것 같았으나, 코로나 사태로 팀의 정글 자리가 비어버리며서 대만 출신의 준지아가 출전하다보니 지누가 쿼터가 걸려 출전하지 못했고, 당초에는 기왕지사 유망주인 황샹을 팀에서는 기용했지만 성적이 너무 나오지 않자 그나마 경험이라도 많은 아오디가 다시 출전하는 상황이다.

2020년 7월 솔로랭크 중 케리아 류민석 선수에게 영어와 중국어로 패드립을 포함한 욕설을 해서 하루치 급여와 보너스를 몰수당하는 내부 징계와 1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았다. # #

3.16. Sloth(슬로쓰, 리지셍)

파일:2017 Cerasus Summer1.png

3.17. Jackairay(잭키레이, 셰위)

파일:EDGY Jackairay 2019 Split 2.png

3.18. GENTLE(젠틀, 야오시젠)

파일:WEA Gentle 2019 Split 2.png

3.19. Xiaguang(샤구앙, 우링펑)

파일:EDG_BBD_2020_Split_2.png

3.20. Xiaoxiang(샤오샹, 황샹)

파일:EDG_Xiaoxiang_2022_Split_1.png

지에지에와 신이의 격리로 대만인 준지아가 강제주전이 되면서, 용병쿼터가 모자라 지누를 강제벤치행 시전하고 주전이 된 탑솔러.

그래도 선수 기대치는 높은편인게 02년생임에도 불구하고 LDL 경험없이 바로 메인로스터에 박은것도 그렇고 그리핀 사건으로 LPL에 대한 관심이 극도에 달한 2020시즌 스토브리그 그때 열린 LDL 선수 드래프트에서 EDG가 무려 50만 위안을 지르고 데려온 선수[6]가 바로 이 선수다 당연히 저 충격적인 드래프트 입단 경쟁으로 인해 중국내 별명은 50만(위안) 탑라이너다.


[1] 2팀인 EDE로 넘어갔던 멤버들은 I May 문서 참조. [2] WE 시절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대회에서도 블리츠로 바론 스틸을 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3] 다만 제로에게 밀린다는 평이 다수이다. 심지어 LGD의 서포터인 PYL에게도 밀린다는 평도 존재한다. [4] 사형 선고를 맞춘 후 적진을 전혀 살피지 않고 막 들어갔다가 킬을 자동헌납한 경우가 한 번이 아니었다. [5] 前 Chang [6] 기사에는 안 적혀있지만 RNG도 똑같이 50만위안을 질러 두팀중 선수 본인이 EDG를 선택했고 드래프트에서 쓸수있는 최대 금액도 50만 위안이 한계다. 즉 두팀씩이나 최대 금액을 질렀다는 소리가 된다. 그리고 RNG 거르고 EDG를 시전한것만 봐도 RNG가 중국내에서도 탑의 무덤 이미지가 얼마나 강한지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