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P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Weibo Gaming TapTap | Top Esports | LNG Ninebot Esports | |
Anyone's Legend | Ninjas in Pyjamas | JDG Intel Esports | FunPlus Phoenix | |
LGD Gaming | Thunder Talk Gaming | Oh My God | Invictus Gaming | |
Edward Gaming Hycan | Ultra Prime | Team WE | Royal Never Give Up | |
LD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
<colbgcolor=#0a3091><colcolor=#fff> 엘지디 게이밍 | ||||
LGD Gaming | ||||
창단 | 2012년 2월 20일 | |||
소속 리그 | LPL | |||
모기업 | LGD Gaming C&E | |||
부회장 |
후뱌오 Bigbiao
|
|||
매니저 |
찬성화 54
|
|||
리더 |
류신 xiaobaozi
|
|||
감독 |
천리신 1874
|
|||
코치 |
샤한시 Chelizi
|
|||
통역 |
류량 MorningKiss
|
|||
주장 | ||||
약칭 | LGD | |||
우승 기록 | ||||
LPL (1회) |
2015 서머 | |||
NEST (1회) |
2024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a3091><colcolor=#fff>
TOP |
[[옌루이|옌루이 sasi ]]
|
||
JGL |
[[쩡궈하오|쩡궈하오 Meteor ]]
|
[[우훙타오|우훙타오 Climber ]]
|
||
MID |
[[정샤젠|정샤젠 xqw ]]
|
|||
BOT |
[[추궈빈|추궈빈 Shaoye ]]
|
|||
SPT |
[[자오원하오|자오원하오 Ycx ]]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1. 개요2. 주요 경력3. 역사 및 역대 시즌4. 멤버5. LGD Gaming Young Team6. 전 멤버
6.1. Funny(퍼니, 리위안후이)6.2. Yu(유, 리신난)6.3. Banana(바나나, 궈위통)6.4. Aris(아리스, 웨하오진)6.5. 1ntruder(인트루더, 탕성)6.6. Eimy(에이미, 셰단)6.7. Pyl(피와이엘/핑예링, 천보)6.8. RD(알디, 량텅리)6.9. Fenfen(펜펜, 황천)6.10. West(웨스트, 천롱)6.11. Deceit(데시트, 스린장)6.12. Lies(리에스, 궈하오톈)6.13. Killua(키르아, 류단양)6.14. Xzz(엑스지지, 류주)6.15. Yuuki(유우키, 후하오밍)6.16. ylj(와이엘제이, 위량제)6.17. Fdy(에프디와이, 푸딩위안)6.18. L7(엘7, 거원제)6.19. Alu(아루, 왕즈이)6.20. Flora(플로라, 쉬후이)6.21. peace(피스, 린샹렌)6.22. Jay(제이, 천보)
7. 둘러보기6.22.1. 승부조작
6.23. Garvey(가베이, 팡자웨이)6.24. Chance(찬스, 페이파오)6.25. Kui(쿠이, 딩즈하오)6.26. Eric(에릭, 허창)6.27. fearness(피어네스, 천궈지)6.28. Decade(디케이드, 장화신)[clearfix]
1. 개요
|
#AllForWin |
팀의 스폰서인 구이저우[1] 라우깐디에 식품 유한 공사 (贵州老干爹食品有限公司)의 주력 제품인 라오깐디에(老干爹)[2] 에서 유래되었다. 라오깐디에를 병음으로 표기하면 Lao Gan Die인데 이니셜을 따면 LGD가 된다.
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LPL 2015 Summer 우승 | ||||
Edward Gaming | → | LGD Gaming | → | Royal Never Give Up |
NEST 2024 우승 | ||||
Royal Never Give Up | → | LGD Gaming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NEST 2016 준우승 | ||||
Snake Esports | → | LGD Gaming | → | JD Gaming |
3. 역사 및 역대 시즌
LGD Gaming | LGD Gaming | LGD Gaming | |
엘지디 게이밍 | 엘지디 게이밍 | 엘지디 게이밍 | |
|
|
4. 멤버
4.1. Meteor(미티어, 쩡궈하오)
문서 참조.
4.2. xqw(엑스큐더블유, 정샤젠)
문서 참조.
4.3. Shaoye(샤오예, 추궈빈)
문서 참조.
5. LGD Gaming Young Team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923><tablebgcolor=#EF4923> |
LD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LGD Gaming Young Team |
Bilibili Gaming Junior |
Weibo Gaming Youth Team |
Oh My God Academy |
Thunder Talkbr Gaming Young |
||
Team WE Academy | Anyone's Legend.Young | Royal Club | TES Challenger | LNG Academy | ||
LP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colbgcolor=#0a3091><colcolor=#fff> 엘지디 게이밍 영 팀 | ||||
LGD Gaming Young Team | ||||
창단 | 2017년 12월 | |||
소속 리그 | LDL | |||
팀명 |
VP Gaming(2017.12~2019.12) LGD Gaming Young Team(2019.12~) |
|||
모기업 | LGD Gaming C&E | |||
매니저 |
리젠웨이 Moran
|
|||
감독 |
셰단 eimy
|
|||
약칭 | LGDY | |||
우승 기록 | ||||
LDL (1회) |
2024 그랜드 파이널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a3091><colcolor=#fff>
TOP |
웨이자눠 Nuo
|
친이보 want2
|
|
JGL |
옌청차오 cc
|
|||
MID |
니하오제 Ninefog
|
|||
BOT |
공자하오 chips
|
|||
SPT |
류쥔 Ljun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우승 기록 | ||||
2024 LDL Grand Final 우승 | ||||
Invictus Gaming Young | → | LGD Gaming Young Team | → | 미정 |
준우승 기록 | ||||
2020 LDL Spring 준우승 | ||||
EDG YOUTH TEAM | → | LGD Gaming Young Team | → | Shu Dai Xiong Gaming |
6. 전 멤버
- LGD Gaming
- 쉬자오(17) - Hyper Youth Gaming으로 이적.[3]
- 리잉지에(xQ) - Hyper Youth Gaming으로 이적.
- 주융취안(TBQ) - IN Gaming으로 이적.
- 웨이전(GodV) - 은퇴.
- 최천주(Acorn) - Saint Gaming으로 이적.
- 리성웨이(xiaoxi) - ZTR Gaming으로 이적.
- 장경환(MaRin) - Afreeca Freecs로 이적.
- 천창쥐(Uniboy) - Victory Five로 이적.
- 유자쥔(Cool) - FunPlus Phoenix로 이적.
- 구승빈(imp) - Team WE로 이적.
- 임진우(Jinoo) - Victory Five로 이적.
- 왕농모(y4) - Victory Five로 이적.
- 송용훈(ReGank) - ASURA로 이적.
- 뤄자룽(Nanzhu/Mid) - Gama Dream으로 이적.
- 김진(Newt) : ASURA로 이적.
- 안준형(Ian) - Vici Gaming으로 이적.
- 샹런제(Condi) - 은퇴.
- 셰전잉(Langx) - Victory Five로 이적.
- 한왕호(Peanut) - Team Dynamics로 이적.
- 쑤한웨이(xiye) - Team WE로 이적.
- 하종훈(Kramer) - 은퇴.
- 링쉬(Mark) - Top Esports로 이적
- 자오즈창(shad0w) - Ninjas in Pyjamas로 이적.
- 황하오(Lpc)
- 셰진산(Jinjiao) - 은퇴
- 노태윤(Burdol) - Isurus Estral로 이적.
- 쩌우자러(Kepler)
- 장하이차오(haichao) - LNG Ninebot Esports로 이적.
6.1. Funny(퍼니, 리위안후이)
전 Unlimited Potential의 미드 라이너이자 LGD의 미드 라이너이자 탑 라이너.
VG.P 시절부터 서브로 있었던 미드라이너로 당시 아이디는 Apollo였는데 팀명과 함께 닉도 세탁했다. LSPL에서도 가끔 출전했을 때 상당히 허접한 미드라이너라는 평가를 받았으므로 1부 리그에서 출전기회를 얻을 일은 없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팀의 부진 탓인지 2주차부터 로테이션으로 기용되더니 주전으로 자리잡아 패를 쌓다가 EDG를 잡는 대형 사고를 쳤고 이날만큼은 굉장히 좋은 기량을 보여주었다. 1세트의 빅토르도 준수했지만 2세트의 트페는 엄청난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팀을 강등시키는 위업을 선보이고 스프링에는 이지훈의 백업으로 놀고 있었는데, 갓브이가 뭔 이유인지 주전에서 내려간 LGD의 러브콜을 받아 긴급투입되었다. 그리고 스프링 초반으로 롤백한 에이미와 더불어 마린임프의 혈압을 올리는 주범. 그러나 라인전서 터지지 않으면 운영과 한타에서는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주챔프는 트페로 다른 챔프 잡아서 초반부터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던 것과 달리 잘 커서 날카로운 운명을 보여주곤 한다. 이외에는 잔손질이 덜한 블라디, 빅토르 등으로 그나마 사람같은 플레이를 하는 편.
그러나 어쨌든 마린팬과 임프팬이 위아더월드가 되어 까고 있었는데 뜬금없이 EDG전에서 등판한 폰을 상대로 승리를 거뒀다. 폰의 미드 에코가 4킬을 먹고 마우스에게도 킬을 먹여주는 등 신을 냈지만 정작 한타에서는 에할못을 증명했고, 퍼니쉬드는 마린이 선보인 기적의 나르궁에 정확히 나르 - 빅토르 스킬 연계를 시전하며 임프의 파바바박 킬 쓸어먹기를 보조, 세탁했다. 2세트에 폰이 스카웃으로 교체당했기에 당분간 오랫동안 폰을 상대로 상대 전적을 앞설 수 있을듯. 물론 스카웃이 등판하고 2세트는 그럭저럭 다른 라인이 망하는 와중에 버텼으나 3세트는 빅토르로 스카웃의 블라디에 탈탈 털리고 솔킬까지 내주며 인간 상성이 사라지자 밑천이 드러났다.
2017 시즌을 앞두고 탑솔러로 전향했다. 그리고 첫날부터 LoL 역사에 남을 5대 1부 리그 프로경기 역사상 카밀 첫패의 주인공이 되었다. 희대의 OP챔프 밴을 풀어준 것도 웃긴데 집중견제를 당해 지거나 다른 라인이 터져서 진게 아니라 본인이 어메이징제이의 다리우스에 무난히 압살당해 졌으니 통탄할 일. 2세트에 또 카밀을 선사받았는데 본인이 잘해서가 아니라 임프와 웨이리스가 슈퍼캐리하는데 카밀로 폭행을 해서 질 뻔했는데 이겼다. 그리고 3세트에 카밀이 닫히자 피오라를 픽해 팀의 구멍이 되며 그야말로 다전제 패배의 일등공신이 되어 암울한 포지션 전향 및 새 시즌의 스타트를 끊었다.
여담으로 아프리카 프릭스로 복귀한 마린이 첫날부터 '짜왕' 큐베를 완파하면서 에이미와 LGD가 재평가 반열에 오르고 있는데 이 선수도 반드시 그 재평가 반열에 끼워줄 필요가 있다.
6.2. Yu(유, 리신난)
조선족 정글러. 이전에는 리미트 주민규와 함께 Team DK에서 shiqu라는 아이디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에이미와 샤오시가 쌍으로 말아먹자 어차피 개인기량이 막장이면 소통이라도 해보자는 생각인지 2개 국어 가능자를 영입했다. 하지만 그 개인기량이 에이미, 샤오시보다 훨씬 못한 수준이라 써먹을 수가 없었다. 대략 북미 NRG의 콘퀀보다 심각한 수준. 그리고 에이미가 복귀하자 팀이 연승을 달리면서 자연스럽게 벤치로 갔다.
그런데 서포터 PYL이 서머 초반 수술로 이탈하면서 땜빵으로 서폿을 보고 있다. 문제는 정말 더럽게 못한다. 정글 출신이면 보통 공통분모가 있는 포지션인 서폿으로 0.5인분은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분은 그런 거 없고 사정없이 하드 역캐리 중. 일단 정글로도 잘하는 챔프가 별로 없었지만 적어도 연습한 만큼 경기력은 나왔는데 서포터 챔프는 지금까지 픽한 모든 챔프의 숙련도가 괴멸적이다. 그런데 기본 기량은 정글 돌 때 그 실력 그대로 이분 때문에 임프가 심심하면 라인전을 털리고 있고, 에이미의 폼이 죽으면서 멀리 탑에까지 그 배설물이 퍼져나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PYL 복귀 이후에는 마린 방송의 통역사 겸 채팅창 관리자 취급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6.3. Banana(바나나, 궈위통)
2017 LPL 서머 시즌에 새로 들어온 탑솔러. 워낙 이 시즌에 들어온 신인들이 많아서[4] 신인인줄 알았으나 과거 Team King이나 Oh My Dream에서 활동했던 탑솔러였다.
6.4. Aris(아리스, 웨하오진)
2018 서머 시즌 전 LGD가 영입한 유망주. 당시에는 Adia0라는 아이디를 썼다. 시즌 후 LGD.VP로 거취를 옮겼으나 리에스가 좋지 않은 폼을 보여서 다시 1팀으로 승격했다.
6.5. 1ntruder(인트루더, 탕성)
에이미의 부진이 극에 달한 2016 서머시즌 중반에 영입된 정글러로 갓브이 복귀와 시너지를 이루어 LGD의 막판 스퍼트를 이끈 정글러다. 카직스 장인으로 카직스, 그레이브즈, 헤카림과 같은 성장형 및 캐리형 정글러를 잡았을 때의 경기력이 우수한 정글러. 반대로 말하면 2016 서머 메타에 비해 2017 스프링 메타에서 경기력이 좋지 않다는 치명적인 함정이 존재한다. 16 서머에는 렉사이 리 신 엘리스도 어느 정도 다뤘지만 정글 수싸움이 중요해진 2017 시즌에는 2016 시즌보다 하락한 경기력을 선보인다.
문제는 이 하락한 경기력이 그래도 에이미보단 좀 낫다는 것이다. 인트루더가 17 크래쉬라면 에이미는 15 캐치인데 인트루더가 1패 하면 빼고 에이미 넣고 에이미가 몇패는 해야 인트루더를 넣는 팀이 미스테리다. 처음에는 퍼니와 더불어 하트 코치의 UP 시절 인맥이 아닌가 싶었지만 하트가 RNG로 튀어버린 상황에서도 여전히 홀대받는다. 아마도 이기적인 캐리형 정글러기 때문에 메타와도 맞지 않고 딜러진인 임프와 갓브이가 극도로 이기적인 LGD에 근본적으로 어울리지 않는 정글러일지도 모른다. 비슷한 케이스로 주에주에 빼고 월드6 넣어서 잘나가는 OMG가 있겠다.
지누와 더불어 투입되어 VG를 잡아내며 승승장구할 줄 알았는데 이후 지누 에이미 조합이 더 많이 쓰이고 LGD는 다시 망했다.
이후 2017 서머에 Young Glory로 이적했다가, 시드권 팔릴 때 미아가 된 뒤 2018 스프링 도중에 5연패에 빠진 LGD로 복귀하였다. 그런데 못하긴 못하는데 분명 에이미보다 덜 못하면서 팀이 2승이나 했다.
6.6. Eimy(에이미, 셰단)
전 Vici Gaming, Unlimited Potential[5]의 정글러로 VG의 LPL 승격에 크게 공헌했으나 댄디의 영입 때문에 졸지에 2팀으로 밀려났다. 그러나 VG 2팀 강등 후에도 뛰어난 경기력으로 팀의 LPL 승격을 도우면서 결과적으로 VG 1팀과 2팀을 모두 LPL로 끌어올린 정글러가 되었다. 한국 정글러들의 중국 러쉬 속에 EDG의 클리어러브와 RNG의 Mlxg 정도를 제외하면 살아남은 중국 토종 정글러가 별로 없다보니 기대감이 큰 듯하다.
승격 이후에는 팀이 워낙 운영이 폐급인데다 탑 미드의 라인전도 쓰레기 수준이라 혼자 뭔가 해보려다 던지는 모습이 많이 나왔다.
2015 서머 시즌 Unlimited Potential이 강등당하면서 TBQ가 떠난 LGD Gaming으로 이적했다. 전임자 TBQ가 워낙 저조한 경기력으로 일관했기 때문에 걸려있는 기대가 크다. 마린이 중국어를 배워서 오더를 한다면 에이미의 포텐이 1부 리그에서도 터질 수 있을지도?
2016 시즌 2주차가 지난 현재까지의 평가는 중국판 호로이자 TBQ 2호 수준. 갱킹과 시야장악 양면에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면서 팀 연패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한 연쇄작용으로 탑의 마린 역시 지속적으로 잘리면서 작년처럼 맵을 넓게 쓰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은 덤. 그리고 xiaoxi가 3주차부터 주전을 먹었다. xiaoxi가 비시즌에 취약한 메카닉을 보여줘서 에이미를 영입했는데, 에이미가 못해서 xiaoxi가 주전을 먹는 웃기지도 않은 상황이 도래했다.
그러나 QG와의 리턴매치에서 신들린 2연 그라가스 플레이로 마린과 함께 팀을 캐리하며 왜 자신이 VG의 원조 에이스였는지를 제대로 보여줬다. 상대가 중체정인 스위프트였다는 점에서 뜻깊은 승리. 이것이 마린의 중국어 실력 향상으로 인한 결과라면 LGD의 미래는 매우 밝아보인다. 오죽하면 영문 해설자가 얘 아침에 뭐 먹었죠?라고 외칠 정도. 정말로 뭘 잘못 먹은 것인지 아니면 실력이 나오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실력이 나오는 것이라면 포스트시즌의 LGD를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기복은 있지만 적어도 3라이너 뒷받침은 그럭저럭 해준편인데 포스트시즌이 되자 대차게 망해버렸다. 사실 TBQ는 포스트시즌은 잘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TBQ 2호기는 부적절한 표현일지도.
서머에 와서도 기량은 딱히 나아지지 않은채로 팀과 함께 침몰하고 있다. 그래도 서포터 Yu의 기량이 워낙 심각한 수준이라 상대적으로 주목은 덜 받는 편.
서머 말부터 새 정글러 인트루더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밀릴 줄 알았으나 뜬금없이 2017 스프링 개막전에 투입되었다. 사실 이유는 있는데, 인트루더가 비시즌 마린의 고별대회에서 갱킹형 정글러 메타 탓인지 마치 클리어러브의 마이너카피 버전처럼 폭망했기 때문이다. 인트루더가 카직스 장인이지만 카직스가 초식왕귀형이던 시절의 장인이라는 점과 나머지 정글 챔프폭을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다. 하지만 귀중한 기회를 받은 에이미는 리즈시절 그 모습을 부정적으로 보여주며 퍼니와 더불어 팀을 역캐리했다. 인트루더가 잘하는 카직스가 메타픽이고 다른 메타픽도 무작정 리신 엘리스 올라프만 나오는 것은 아님을 감안하면 의아한 용병술.
시즌 8에도 까인다. 옆나라 한국 위키는 물론 유튜브 베트남인들에게도 영어로 씹뜯맛즐당한다. 그리고 그 바로 다음 날 카밀로 0/9/6 트롤을 선보이며 베트남인들의 정확한 혜안을 돋보이게 만들었다.[6]
그리고 시즌 8 서머 첫 경기부터 중국인 인트루더와 한국인 리갱크를 거르고 주전으로 출전하면서 케이브맨과 함께 LPL 구단주 양아들계의 양대산맥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물론 경기는 졌다.
2019년 11월 20일 코치로 직책을 옮겼다. #
6.7. Pyl(피와이엘/핑예링, 천보)
LGD의 서포터로 중국내에서 Zero와 함께 FzzF를 앞선다고 평할수 있는 서포터다. 제로가 우지와 호흡을 맞추며 공격적 서폿의 정점을 찍었다면 PYL은 두뇌파. LGD의 강점으로 꼽히는 뛰어난 운영의 핵심이 바로 이 선수이다. 여담으로 한때 솔랭 닉이 pyl 平野绫였다. 김정균과 닮았다하여 한국에서는 '짱정균'이란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임프 영입 오피셜이 떠서 임프와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가 주목받고 있다. 일단 한국 팬들의 평가는 마타를 잃은 임프가 비교적 좋은 서포터 만났다는 평가가 대세. 사실 FzzF는 은퇴, Loveling은 정글 복귀, Cloud는 멘탈문제가 심각한데다 또 행방불명인 것을 감안하면 PYL을 능가하는 중국인 현지 서포터는 아직 없다고 보는 것이 맞을듯. 김몬테도 단언컨대 PYL이 최고라고 평가하고 있다. 사실 LPL을 엄청나게 싫어하는 김몬테가 꾸준히 지지하는 팀이 LGD인데 그 핵심이 바로 이 선수이다.
서머에 양악을 하고 미남이 되었으나 대신 팀이 망했는줄 알았으나 결국 결승까지 올라가게 되면서 외모와 실력 성적을 모두 챙기게 되었다.
롤드컵에서는 1주차 TSM전에서 임프와 호흡이 안맞아서 마지막 한타를 말아먹는 참사를 불러일으켰고 kt전에서도 CS는 이겼으나 킬을 따이며 라인전을 패배, 임프가 중국어를 못하나 싶은 실망스러운 경기내용을 보였다. 하지만 2주차에는 막판 2연승 동안 꽤 잘했다. 괜히 중체폿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는 했는데 플레임이 들어오니 의사소통이 나빠져서 그런가 어이없이 짤리는 등 어쨌든 LPL 몰락을 막지는 못했다.
상당히 잘하는 서포터인 것은 사실이지만 롤드컵, IEM 산호세, 롤스타전까지 국제대회에서는 물몸 서포터로 소규모 교전에서 너무 들이대다가 필요없는 데스를 기록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개인플레이가 심한 LGD의 라이너들을 통솔하는 LGD의 사령관인 것은 사실이지만 과연 중체폿이 확실한지 의문이 들기도 하는 부분.
의외로 중국에서 LGD와 해외대회에서 LGD의 차이는 다른 넷의 경기력 차이보다 pyl의 문제라는 평가도 있다. LGD가 해외에서 드러낸 약점은 정규리그 및 포스트시즌에서도 늘 갖고 있었던 것이었고, pyl의 스마트한 로밍에서 시작되는 공격적 운영으로 이 약점을 다 덮고[7] EDG를 이긴 것인데 국제대회에서 pyl은 너무 평범하다는 것.
2016 스프링 시즌에는 아예 부진해서 중체폿(笑) 수준까지 평가가 떨어졌다. 하지만 수술받는다고 빠진 서머시즌에 조선족 정글러 Yu가 서포터로 들어가 하드 역캐리를 일삼고 있어서 PYL 재평가가 이루어지는 상태.
2016 시즌에는 전반적으로 난타전과 로밍 위주의 팀에 정석적인 운영을 입히려는 하트의 노력이 실패했고, 중국어가 능통하던 에이콘의 이탈로 팀의 의사소통 문제도 두드러지는 과정에서 pyl 자신도 방향을 잃어버린 느낌이다. 결과적으로 평가가 많이 하락했고 메이코와의 중체폿 경쟁에서 밀렸다. 수술 후 조기 복귀 당시의 부진도 한 몫 했고.
2017 시즌에는 답없는 정글 에이미 희대의 개그맨 퍼니가 말아먹어 임프 피와이엘 봇 듀오는 힘도 못쓰고 항상 쓸려나갔다.
2019년까지 LGD에서 쭈욱 뛰다가 시즌이 끝나고 은퇴, 해설이 됐다.
6.8. RD(알디, 량텅리)
대만 ahq, LSPL 레전드 드래곤 출신 서브 원딜러. ahq 시절 AN을 제치는데 실패한 만큼 한타와 원딜의 리그 LPL에서 출전할 자격은 없다고 보는게... 그리고 로컨의 경기력이 폭발하면서 당연히 벤치를 달구고 있다.
그러나 로컨이 부진하면서 주전으로 올라온 상황. 그리고 한타의 리그인 LPL에서 안 먹힐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라인전으로 승부를 보고 가끔 한타 뽀록도 터뜨리며 클리드의 캐리력에 힘입어 버티고 있다.
그리고 전형적인 대만식 한타 위치 선정을 보여주며 JDG가 아닌 LGD를 빡캐리했다. 그리하여 로컨 각성의 교보재가 되었고, 서머에 서포터로 전향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2018 시즌 종료 후 LGD Gaming으로 이적했는데, 다시 원딜로 포지션을 변경한 것으로 보였는데 RW와의 멸망전에서 다시 서포터로 포변 후 출전했다.
6.9. Fenfen(펜펜, 황천)
과거 TCS 출신 미드 라이너로, 아마추어 때는 카사딘 장인으로 유명했었다. LPL로 승격 후 dian과의 주전 경쟁을 이겼으나, dian이 2부 팀으로 내려가고 YM 출신인 나이트가 영입되면서 그대로 서브로 밀려났다.
여담으로, 팀이 2017년 때는 잘 알려지지 않았고 2018 시즌 때는 나이트의 영입으로 밀려나면서 인지도가 없어서 그런지 이름이 TCS 시절 동료 탑 라이너인 둥웨이로 되어있었음에도 오랫동안 수정되지 않았다.
2018 서머에는 나이트의 휴식으로 강제 주전이 됐는데, 왜 이 선수가 평가가 안 좋은지 보여주고 있다. 특히 LGD 전에는 유우키한테 솔킬을 따였는데 팀 버스로 이겼다. 브라움이나 타릭 등 서포팅 챔프 주로 픽해서 해커를 서포팅해 3연승을 하다가 2연패 기간에는 바닥을 보여줬다. 결국 팀도 버티지 못했는지 Tyloo에서 Angelo를 데려와서 다시 벤치로 내려갔다.
그래도 코즈큐와의 비교우위를 따지자면 어떤 메타에서도 1부리그에선 때려죽여도 안 먹힐 코즈큐와 달리 펜펜은 정글 카이사, 정글 자야, 정글 마이나 탈리야 등을 밀어주는 미드 서폿챔프로는 1인분을 한 적이 있어서 펜펜의 근소우위를 점칠 수 있다. 물론 둘 다 팀의 팬들 입장에서는 몹쓸 미드다.
그런데 주전에서 멀어진 2019 스프링, 팀의 주전 미드 라이너인 단청이 LPL 최악 수준으로 바닥을 친 Snake Esports가 펜펜을 영입하면서 또 팔자에 없을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그리고 단청이 못 끊어낸 연패를 펜펜이 끊었다.
물론 서머에 펜펜으로 풀시즌을 치르는 것은 말이 되지 않았고, 그리핀의 유망주였던 플렉스 배호영을 영입하면서 다시 벤치로 밀려났다. 그런데 플렉스가 시즌 후반부 이해할 수 없는 부진을 보여주면서 또 펜펜이 주전이 되었다. 경기력은 당연히 좋지 않았고, 오죽하면 플옵 막차는 탔지만 팀의 원딜러인 아수라가 도저히 IG를 이길 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아 비행기를 미리 끊어놨을 정도.
그런데 IG의 장렬한 자폭으로 승리하는 기염을 토한다. 다음 라운드는 당연히 털렸지만, 펜펜은 어쨌든 폼이 예전같지는 않다는 이야기는 있지만 롤드컵&LPL 디펜딩 챔피언인 루키 상대로도 캐리력 있는 팀원들의 버스를 전복시키지 않으며 본인의 커리어 하이를 찍었다.
전체적으로 펜펜의 처참한 하드웨어를 보면 좋은 미드라기에는 빈말로라도 무리가 있지만, 카사딘 장인답게 눕고 어그로 끄는 능력은 있다 보아야 할듯. 그래서 팀 클래스에 비해서는 의외로 타 4포지션의 캐리력이 넘쳐흐르는 LNG에서는 마치 쑤닝 시절의 정글 몰아주기 시기처럼 탑승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선수 자체가 유우키급에는 근접한 선수인데 랑싱이나 해커 등의 부당한 고평가에 대한 반대급부로 퍼니쉬드, 코즈큐와 같은 급으로 저평가받았을 수도 있는 셈이다.
2019년 12월 4일 LNG Esports와의 계약이 종료됐다. # 이후 12월 17일 LGD Gaming에 입단했다. #
EDG전에 Lies 대신 출전하면서 유우키와 펜펜이 한 팀에서 동시에 출전하는 다른 의미로 꿈만 같은 상황이 펼쳐졌다. 의외로 상대도 VG 출신의 준레전드 아오디라서 분전하나 싶었으나, 펜펜은 펜펜인 법. 결국 3전제에서 1:2로 피넛의 캐리가 무색하게 석패하였다.
6.10. West(웨스트, 천롱)
Game Talents 출신으로 거기서 중국 중상급 원딜이던 PentaQ(=qpqtq)를 밀어내고 2017 스프링 주전을 차지한 원딜이다. 강등을 막진 못했지만, 전임자 실력이 의외로 평타쳤는데 그 전임자보다 더 잘한 것이고 다른 팀원들의 상대적 위상이나 팀플레이가 추락한 것이다. 그리고 IG로 이적한 후에도 키드-타임-레인-말지로 이어지는 최악계보에 비하면 경기력이 낫다. 즉 우지 미스틱과 같은 그리고 재키러브가 그렇게 되기를 기대하는 S급 원딜이라고는 못하지만, 상급 원딜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롤드컵 선발전 WE전에서 그 역대급 쓰로잉을 한 번이 아니라 여러번 시전하며 상대 콘디의 정글 이즈 꼴픽, 시예의 갈리오 삽질 등과 더불어 다전제를 아주 흥미롭게 만들어주고 있다. 아마도 중국 상급 원딜의 기준이 Smlz인 것 같다. 그리고 기어이 이어지는 기적의 트리스타나로 5세트까지 루키의 롤드컵행을 좌절시켰다.
레딧의 LPL 팬들에 의하면 웨스트는 평타치는 라인전과 공격적이지는 않지만 안정적이고 좋은 포지셔닝을 가진 원딜러라고 한다. 대신 중국 프로 원딜들 사이에서도 멘탈이 굉장히 약해서 한 번 멘탈이 깨져버리면 다전제 끝까지 그 A-급 포지셔닝이 F급으로 돌변하며 게임을 말아먹는 것이 문제라고 한다.
재키러브가 급성장하고 있는 지금, 뼈를 깎는 분발이 없다면 주전 자리는 재키러브에게로 넘어가고 2선급으로 밀려날 듯 싶다. 결국 밀렸고 롤드컵 로스터에도 들지 못했다. 그리고 재키러브가 세체원으로 거듭나면서 사실상 그가 IG에 있을 자리는 없어보인다.
그 후 데마시아 컵에서 RW전 때 진짜 오랜만에 출전했으나 한 번 패배 후 칼같이 재키러브로 교체됐다.
그 후 가끔씩 나와서 생존신고를 하긴 하는데, 나올 때마다 안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실력도 부족하지만 재키러브가 빠지면 후반 오더가 굉장히 안 좋아지는 점이 더더욱 웨스트 나올 때마다 팀이 아예 폭망하는 원인인 것 같다.
19 롤드컵 선발전이 끝난 후 Invictus Gaming을 나왔다. 이후 12월 26일 VP Game에 입단했다. #
6.11. Deceit(데시트, 스린장)
VG전에서 데뷔한 신인 서포터. 사고로 종아리를 잃었다고 한다. 표본이 적어서 아주 구체적인 평가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전임자인 알리에 비해 라인전서 심하게 골골대는 모습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일단 합격점.
그러나 IM와 포스트시즌 경기에선 1승을 받고 시작했을에도 불구하고 원딜과 함께 팀을 더 높이 못올라가게 막은 장본인이 되었다.
6.12. Lies(리에스[8], 궈하오톈)
팀의 원래 주전 탑솔러. 2017 시즌까지의 무난하게 못하던 LPL 탑솔들 중에서도 무난하게 못한다. 2018 시즌 종료 후 LGD Gaming으로 이적했다.
LGD 이적 후 첫 경기부터 잭스들고 뽀삐한테 CS를 왕창 밀리며 게임을 말아 먹었다.
중국 탑솔러들의 기량이 눈부시게 발전한 2020 시즌까지도 탑솔 흉가 중국 시절의 구식 기량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피넛과 존끄 팬들의 엄청난 원성을 듣고 있다. 컬트는 격리된 것인지 그냥 이놈보다도 못하는 것인지...
결국 컬트는 모르겠고 EDG전에 펜펜이 탑으로 출전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6.13. Killua(키르아, 류단양)
YM 출신의 새 서포터. LSPL 운영 명가 YM 출신답게 도인비의 후반 오더에 비해 부족한 초반 오더를 보강할 수 있는 영입이면 좋겠으나, 프리시즌만 보면 그렇지 않은듯. 개인기량도 SmLz와 호흡을 맞추는 것을 보면 최근 서포터 수준이 향상되고 있는 중국 기준으로 불안하다.
시즌이 시작되고 Smlz와 호흡도 나쁘지 않은 편이며, 잘 보좌해주면서 스포트라이트는 안받지만 꽤 톡톡히 역할을 해주는 중이다. 현재는 나머지 원래 멤버들이 다 떠나고 RW 1기 중에선 유일하게 팀에 남아있다.
닉네임의 유래는 헌터×헌터의 키르아 조르딕.
2019년 12월 17일 Rogue Warriors를 떠나 # LGD Gaming으로 이적했다. #
믿기 어렵겠지만 폼이 별로 좋지 않은 편으로, 아직 갈 길이 먼 신예 찬스에게 주전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6.14. Xzz(엑스지지, 류주)
6.15. Yuuki(유우키, 후하오밍)
팀의 또다른 미드라이너. 롱주-진에어의 저스티스와 비슷하게 라인전이 약하고 개인기가 부족한 것이 눈에 보이는데 묘한 이타적 성향과 함께 타 라인이 잘 풀리는 토템형 미드 라이너이다. 어쨌든 비슷한 스타일인 JDG의 야가오에 비해 클래스나 성장 포텐셜이 많이 낮아보인다.
그리고 연패기간에 토템은 무슨 미드시절 퍼니, 아니 퍼니쉬드의 모습이다. 답이 없는 CS 수급 능력과 반대급부로 아무것도 돋보이지 않는 무장점 경기력으로 6연패 기간 상대 팀에게 꽁승을 챙겨주는데 왜 난주가 임프와 함께 벤치에 있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을 정도.
LPL이 한때 미드가 은근히 약한 리그였지만 올해는 신인풍년이라 굳이 용병이 아니어도 미드라이너들 실력이 있다. 현 시점에서 VG, 탑스포츠, JDG 등을 미드라인 약체라고 봐야 하나 고민될 정도인데 이지훈, 꿍, 콘, 야가오가 유우키보다는 압도적으로 잘한다.
그런데 서머에는 은근히 좋은 쪽으로 포텐이 터지면서 팀원들에게 탑승을 잘 하고 있다. 약팀을 상대로는 변수를 창출할 수 있는 재능을 보여준다. 현재는 위에 언급한 저스티스 급에서 피레안 급을 거쳐 후히 급까지는 올라왔다고 볼 수도 있다. 물론 그건 유우키가 LGD를 부활시킬 정도로 대성할 재목으로 보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뜻이기도 하다. 게임지능을 장점으로 내세우더라도 유럽의 블랑이나 북미의 젠슨 등을 보면 하드웨어가 데뷔 시기부터 이 정도보다는 훨씬 좋았다. LCK의 쿠로나 플라이 같은 선수들 데뷔 초기의 포텐셜은 굳이 말할 것조차 없다.
2019 시즌 결산 시점에서는 19 후히보다 조금 나은 수준으로 그냥 에이미를 잇는 LGD 사장의 2대 양아들이다. 대략 후히 위에 유우키, 유우키 위에 유럽의 아베다게, 아베다게 위에 야가오가 있다고 보면 이해가 쉽다.
2020 시즌에는 미드가 유우키라 지는 것인데 오창종 감독이 과하게 까인다는 옹호론이 등장할 만큼, 다른 요소마저 압도적이지 못한 메카닉 C급 미드라이너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변수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긴 있는데 하드웨어가 전혀 따라오지 못하는 기량이 아베다게, 후히는 물론 일본의 라무네와도 닮아있다.
결국 서머에 전성기만 못한 기량을 보여주는 시예에 완벽히 밀려서 토템 신세가 되었다.
6.16. ylj(와이엘제이, 위량제)
6.17. Fdy(에프디와이, 푸딩위안)
이니셜에서 아이디를 따온 듯한 서브 원딜러. 드레이븐 장인으로, 데마시아 챔피언십에 출전해서 로컨과 LvMao를 상대로 에이미를 잘 부려서 라인전에서 패시브를 터뜨리는 등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프로급 드레이븐 장인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뚜벅이로의 한타 포지셔닝에서는 다소 미흡한 모습을 보이며 다전제를 내주었다.
그러나 임프가 팀을 나갈 마음을 먹으면서 주전으로 올라왔다. 당연하지만 드레이븐 외 챔프가 별로라서 팀을 더 망하게 만들고 있다. 그런데 인트루더와 함께 유우키의 멱살을 잡고 끌고 가면서 팀이 반등했다.
18 서머 시즌 동안은 쓰로잉을 선보이다가 y4에게 완전히 주전 자리를 뺏겼다. 다시 나올 가능성은 없을듯.
6.18. L7(엘7, 거원제)
6.19. Alu(아루, 왕즈이)
6.20. Flora(플로라, 쉬후이)
99년생 정글러로 꾸준히 LGD 2군에서만 뛰어온 그리 특기할 점 없는 선수이며 2021년 5월 방출되었는데, 2021년에 1부 데뷔한 정글러가 쉰을 제외하면 마땅히 없었던 관계로 이미 무소속인데 졸지에 팔자에 없는 신인 올스타 매치에 출전하게 되었다. 사실 V5의 정글갓(요우신)과 pzx가 있긴 했는데 플로라가 더 잘생겨서 표를 많이 받은 모양...
6.21. peace[9](피스, 린샹렌)
로그 워리어스 시절 아이디인 판펑은 나관중의 역사소설 삼국지연의의 가상인물중 하나인 반봉의 중국식 발음이다.
2019년 12월 17일 Rogue Warriors Shark를 떠나 # JD Gaming으로 이적했다. #
6.22. Jay(제이, 천보)
TyLoo, Vici Gaming 등을 거친 미드라이너로 2021년 12월 LGD 게이밍에 입단했다.
6.22.1. 승부조작
그러나 LGD vs TES 경기에서 일부러 져줬다는 증거가 나오면서 승부조작 혐의를 받았다.이후 LPL 사무국의 조사 및 징계 관련 회의를 거쳐 2022년 4월 8일, 영구 선수 자격 박탈 및 LOL 관련 스트리밍 금지라는 징계가 내려졌다.
여담으로 조작 내용이 TES의 미드라이너 나이트에게 라인전 단위부터 열세를 보이라는 굳이 조작이 필요할까 싶은 내용인지라(...) 만인의 비웃음을 샀다.
6.23. Garvey(가베이, 팡자웨이)
2019년 7월 LDL의 VP에서 LGD로 이적했다.
이후 LDL 참가팀인 MAX로 이적했으며,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에서 1회 우승, 1회 준우승을 기록하는 등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다.
닉네임 발음은 가베이인데, 한국에서는 중국어 병음표기로 지은 닉네임을 보통 영어식 발음으로 읽는 경우가 대다수다보니 '갈비'라고 부른다.
6.24. Chance(찬스, 페이파오)
2019년 12월 20일 LDL 참가팀인 Scorpio Game을 떠나 LGD Gaming으로 이적했다. #한국에서 일베/대리 논란을 일으킨 전 kt 서포터 Chance 이찬동과는 아이디가 같은 것 말고는 상관 없는 인물이다.
유우키와 라이스의 경기력이 실로 처참한 가운데 RW 출신의 중견 서포터 키르아를 주전에서 밀어내고 조금씩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피넛빨이 좀 있어서 경기를 좀 더 오래 지켜봐야 할듯.
6.25. Kui(쿠이, 딩즈하오)
6.26. Eric(에릭, 허창)
전형적인 뇌지컬이 없는 피지컬 원딜러. 그렇다고 그리 압도적인 메카닉을 지닌 건 아니어서 중국의 히큐라고 보면 된다.
꾸준하게 포지션을 취해가며 딜을 하기보다 반짝 딜을하고 산화한다. 사람이 움직이는 슈퍼미니언이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듯하다. 정규 시즌에서 아마도 보기힘들 듯 하며 약점이 너무나 명확하고 크기때문에 팀차원에서 정리를 할듯 하다.
물론 시즌 초에 이러한 모습을 보여주다 놀라울 만큼 성장한 주멍의 사례를 보면 애쉬 잘쓰는 원딜러는 좀 기다려볼 가치가 있긴 한데, 주멍이 아니라 유럽 HeaQ가 될 수도 있는 만큼 단독 주전을 주기에는 많이 위험하다.
21년 서머 에이블이 영입되면서 주전에서 밀렸고 시즌 이후 LGD로 이적했다.
LGD에서의 데뷔전부터 LMS가 남긴 불세출의 원딜러 베티와의 반자이 어택 배틀에서 판정패를 당하며 암울한 시즌을 예고했다.
그러나 어쨌든 특유의 뇌없음에도 불구하고 베티의 살짝 하위호환에 가까운 대뇌 탈부착률을 올린 무력형 원딜러의 모습으로 분전했다. LPL이 워낙 이번 시즌 원딜러들이 상향평준화되어서 그렇지, WE에 에릭만 있었어도 트롤라인 탈출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그러나 서머에는 새 원딜러 어썸이 에릭을 박살낸 베티를 박살내면서 에릭이라는 존재가 깨끗하게 잊혀졌다.
6.27. fearness(피어네스, 천궈지)[10]
2019년 12월 18일 EDG Youth Team을 떠나 LGD Gaming으로 이적했다. #
탑 못키우는 EDG 출신답게 데뷔무대인 데마시아 컵에서는 유우키와 덤앤더머를 시전하며 피넛/크레이머 용병 듀오에게 고통을 끼얹었다. 사실상 유우키에게는 더 터질 포텐이 없다는 점에서 스프링의 LGD는 이 선수와 찬스에게 모든 것을 걸어야 한다.
2021년 서머에 잠깐 잘해서 이주의 탑솔을 한번 받았지만 이후 다시 평범하게 못하는 탑솔러로 돌아갔다.
2022년을 끝으로 LGD를 떠나 FPX로 이적했다. 스프링 시즌 샤오라오후와 돌림판을 도는 중.
2023 스프링 시즌 종료 후에는 다시 LGD로 돌아왔다.
6.28. Decade(디케이드, 장화신)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Oh My God ★ |
Positive Energy ★ |
Edward Gaming ★ ★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Edward Gaming ★ ★ ★ |
LGD Gaming ★ |
Royal Never Give Up ★ |
Edward Gaming ★ ★ ★ ★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Team WE ★ |
Edward Gaming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Invictus Gaming ★ |
FunPlus Phoenix ★ |
JD Gaming ★ |
Top Esports ★ |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Royal Never Give Up ★ ★ ★ ★ |
Edward Gaming ★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
Bilibili Gaming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 |
[1]
마오타이주가 생산되는
구이저우성랑 뜻이 동일하다.
[2]
라조장으로 고추기름의 일종이다. 과거에 표절 논란으로 시장에서 사라졌다가 다시 판매 중.
[3]
TBQ와 함께 팀의 구멍으로 유명했다. HYG가 어떻게 승격한 것인지 신기할 정도. HYG 코치였던 강퀴 썰에 의하면 이렐이 피즈의 카운터로 유용하다고 했더니 피즈로 이렐에게 지는 탑솔러가 병신이라고 답했다는 모양. 그리고 얼마 후
썸데이의 이렐리아가 롤챔스에서
소울의 피즈를 완파했다.
[4]
EDG의 iBoy나 I May의 Sks 등.
[5]
VG 2팀이 VG와의 연관성을 끊고 새 시드권을 사서 재창단된 팀
[6]
베트남 인들이 리바이, SofM, Yi Jin과 같은 뛰어난 정글러들을 많이 보유하여 눈높이가 높다고 볼 수도 있지만, 해당 베트남인은 영어로 에이미 저놈은
TBQ보다 못하다고 했고 커리어를 봐도 경기력을 봐도 그게 사실이라는게...
[7]
특히 TBQ의 부족한 소프트웨어와 에이콘의 부족한 초반 라인전을 다 커버한 것은 갓브이도 임프도 아닌 pyl이었다는 평이 다수.
[8]
중국과 영어 해설의 발음이 다르다. 중국 쪽은 리에스, 영어 쪽은 라이스
[9]
前 panfeng
[10]
前 C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