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00:08:14

30mm 쌍신자행자동고사포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조선인민군 (1948~현재)
朝鮮人民軍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T-34-76 개량형WPRG | OT-34 | T-34-85WPRG | OT-34-85
MBT 1세대 59식 전차 | T-54 | T-55
2세대 T-62 | 천마-(가/나/다/ 92/ 98/ 214) | T-72 우랄X
2.5세대 천마-( 215/ 216) | 선군-915
3세대 M-2020추정
경전차 공신호L/R | PT-76 | 82식 신흥 | 62식 전차 | 63식 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 | BTR-60PB | BTR-80A/Y | BRDM-2 | M-1992 WAPC | M-2010 WAPC | M-2020 WAPC
궤도장갑차 BTR-50(P/PK) | 63식 | VTT-323 신흥 | 준마-ㄹ
차량 소형 GAZ 보드닉 | GAZ-69 | UAZ-469/승리-415 | BZ-2020SJ | 갱생-(68/85) | 신형 장갑 4륜구동차
트럭 ZiL-(130/131/135/151/157) | MAZ-7310 | 우랄-4320 | KrAZ-255 | 로만 | 승리-(58(가)/61(나))WPRG | HEMTT 유사 신형 중트럭 | 2022년 등장 ATGM 탑재차량 | 기타 잡다 차량
자주포 자주곡사포 곡산포 | 주체포 | M-1977 | 덕천 |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
자주박격포 M-1992 120mm
대전차 자주포 SU-76MWPRG | SU-85WPRG | SU-100WPRG | M-1974 | M-1972 | 신형 기동포(2020년형, 2024년형)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 ZSU-23-4 | M-1985 | 30mm 쌍신자행자동고사포
단거리
대공미사일
화승총 | 번개-3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다연장로켓 63식, 75식 여맹호, M1977, M-1977/1985/1993 | BM-11 | BMD-20 | BM-24 | M-1989/1991 | KN-09 | KN-16 | 신형 방사포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WPRG: 준군사조직인 로농적위군 (Worker-Peasant Red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R: 퇴역 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개요2. 성능


파일:external/media.tumblr.com/tumblr_inline_ms5oxgxO071rznupj.jpg
파일:external/s12.postimg.org/Pyongyang_Military_Parade17.jpg
30mm 쌍신자행자동고사포

1. 개요

북한에서 제조된 자주대공포 VTT-323 차체를 이용했으며 ZSU-23-4 쉴카를 사용해본 조선인민군이 국산화의 필요성을 느껴 112호 연구소[1]에 개발명령[2]을 내려 만든 차량이다.

정식명칭이 공개되기 이전엔 다른 장비들처럼 명명하여 M-1992라고 불렀다.

2. 성능

30mm 쌍신자행자동고사포
중량 12.6t
전장 6.5m
전폭 3.1m
전고 3.6m
엔진 ??? V-6P1 디젤 엔진 (추정)
변속기 불명
현가장치 토션바
최대출력 280마력
최대속도 50km/h (추정)
톤당 마력 22.2hp/t
항속거리 500km (추정)
도섭 가능 심도 ~2m
주무장 AK-230 30mm 기관포 2문
분당 발사 속도 분당 800~ 1,000발
사거리 3~6km
탑재 레이더 RPK-2 Tobol
레이더 탐지 거리 ~20km
탐색기 탐지 거리 ?km
부무장 없음
탄약 적재량 불명
탑승인원 승무원 3~4명
방어력 7.62mm 소총탄 방호 (추정)
장갑 균질압연장갑, 용접장갑

쉴카를 모티브로 두고있지만 23mm 4연장을 채택한 쉴카와는 달리 30mm 2연장을 채택하였으며 기관포는 리볼버식 장탄 방식인 소련 해군의 대공용 기관포 AK-230을 사용한다. AK-230은 북한 해군 함정의 표준 대공포이라 부품과 탄약을 자체생산하므로 보급을 위해 이 포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탄약은 30×210mm로 고폭탄 철갑탄을 사용한다.


[1] 핵무기가 본격화되기 이전엔 북한의 무기개발사에서 제일 중요한 연구소였었다. [2] 112호 과제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