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기본 자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 ||||||||
자음(14개)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
모음(10개)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
기타 자모 | |||||||||
자음 | 겹자음(5개) | ㄲ · ㄸ · ㅃ · ㅆ · ㅉ | |||||||
겹받침(11개) | ㄳ · ㄵ · ㄶ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ㅄ | ||||||||
겹모음(11개)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 [ 옛한글 ]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기본 자모 ㅿ · ㆁ · ㆆ · ㆍ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
성각자
병서ㅥ · ᄴ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ㆀ · ㆅ · ꥼ 합용
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연서 ᄛ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ힱ · ᆃ · ㆉ · ᆍ · ㆌ · ᆜ(ᆖ) · ᆝ(ᆢ) · ㆎ 종성 ᇑ · ㅭ · ᇚ
ힱ | ||
<colbgcolor=#ddd,#222> 이름 | ᄋힱ | |
분류 | 삼중모음 | |
음성 | woj |
1. 개요
ힱ(U+D7B1, o-o-i)는 만주어를 표기하려고 만든 지금은 사라진 옛한글 삼중모음이다. ㅗ+ㅗ+ㅣ가 합자한 자모이다. 호환용은 존재하지 않는다.2. 발음
ㅗ의 장음+ㅣ가 아니다.[1] ᆂ가 [wo]라고 가정하면, ힱ는 [woj]발음이 나는 삼중모음이 된다. 즉, '우오이'를 빠르게 읽거나, '모이'를 입술을 붙이지 않고 빠르게 발음하면 된다.[2] 만약 현대까지 있었다면 ㅜ+ㅚ[wø̞]~[wø] 정도가 됐을 것이다.3. 생김새의 특이한 점
ힱ로, 모음 세 개가 세로로 합쳐져서 알아보기 힘들다. 훈민정음의 음절 형성 원리에 의하면 'ㅏ,ㅑ' 따위의 세로 모음은 다른 모음자의 밑에 쓰는 게 아니라 오른쪽에 써야 하는데(ᅟᆜ,ㅢ,ㆎ,ㅔ) 유니코드에 ' '같이 ㅣ가 오른쪽에 있는 게 아니라 'ힱ'로 등록된 이유는 불명.[3]4. 용례
'동문유해'라는 문헌 하권에서 이 자모가 사용되었다.34쪽에서 '나무 마디'에 해당하는 만주어를 'ᄆힱ 쟈란'이라고 했다.
5. 여담
옛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는 ힱ가 위아래로 얇아져서[이미지] 나오는데, 이때 밑의 ㅣ가 위로 붙어서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잘 알아보지 못할 수 있다.한컴오피스 한글에서 이 자모를 입력하려면 ㅗㅗㅣ가 아닌 ㅗㅗㅜ로 입력해야 하는 버그가 있다.
[1]
중세 국어에는 장음이 없었다.
[2]
훈민정음의 순경음을 쓰면 'ᄝᅬ'로도 표기할 수 있다. 참고로
중세 한국어에서는
ㅚ도 '오이'를 빨리 발음했었다.
[3]
ퟁ도 후행하는 ㅣ가 아래에 있다. 그렇지만 ퟁ는 ㅣ가 이미 앞에 있기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었을 수도 있다.
[이미지]
갤럭시 탭 S4에서 글꼴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ힱ. 밑에 살짝 튀어나온 게 ㅣ다.
처럼 일반 글씨 크기로 하면 잘 보이지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