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일본 신화| 전승 ]]
|
|||
진무 후
|
스이제이 후
|
안네이 후
|
이토쿠 후
|
|
고쇼 후
|
고안 후
|
고레이 후
|
고겐 후
|
|
가이카 후
|
스진 후
|
스이닌 후
|
||
게이코 후
|
주아이 후
|
|||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
||||
오진 후
|
닌토쿠 후
|
리추 후
|
||
야타 황녀 | ||||
인교 후
|
안코 후
|
유랴쿠 후
|
겐조 후
|
|
나카시 황녀 | ||||
닌켄 후
|
부레쓰 후
|
게이타이 후
|
안칸 후
|
|
센카 후
|
긴메이 후
|
비다쓰 후
|
||
히로히메 | ||||
요메이 후
|
스슌 후
|
|||
고테코 |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
||||
스슌 후
|
조메이 후
|
고토쿠 후
|
덴지 후
|
|
고테코 | 하시히토 | |||
고분 후
|
덴무 후
|
몬무 후
|
||
토오치 | 미야코 | |||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
||||
쇼무 후
|
준닌 후
|
고닌 후
|
||
모로네 | 이노우에 내친왕 | |||
간무 후
|
||||
사카히토 내친왕 | 타비코 | |||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
||||
간무 후
|
헤이제이 후
|
|||
사카히토 내친왕 | 타비코 | 타라시코 | ||
사가 후
|
준나 후
|
닌묘 후
|
||
코시 내친왕 | 쇼시 내친왕 | 고조 후 | ||
닌묘 후
|
몬토쿠 후
|
세이와 후
|
고코 후
|
|
사와코 | 니조 후 | |||
우다 후
|
다이고 후
|
무라카미 후
|
||
타네코 | 야스코 | |||
레이제이 후
|
엔유 후
|
|||
치카코 | 토우코 | |||
엔유 후
|
이치조 후
|
|||
산조 후
|
고이치조 후
|
고스자쿠 후
|
||
고스자쿠 후
|
고레이제이 후
|
|||
고산조 후
|
시라카와 후
|
호리카와 후
|
||
사이인 황후 | 시게코 | 가타이코 | 도쿠시 내친왕 | |
호리카와 후
|
도바 후
|
|||
사네코 | 가야노인 | |||
스토쿠 후
|
고노에 후
|
고시라카와 후
|
||
고카몬인 | 마사루코 | 구조인 | ||
고시라카와 후
|
니조 후
|
|||
요시코 | 겐슌몬인 | 무네코 | ||
니조 후
|
다카쿠라 후
|
고토바 후
|
||
마사루코 | 시치조인 | 기쇼몬인 | ||
고토바 후
|
||||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
||||
고토바 후
|
쓰치미카도 후
|
|||
기쇼몬인 | ||||
쓰치미카도 후
|
준토쿠 후
|
고호리카와 후
|
||
토우시 | 타츠코 | 안키몬인 | ||
고호리카와 후
|
고사가 후
|
고후카쿠 후
|
||
다이쿠인 | 도니조인 | 겐키몬인 | ||
가메야마 후
|
고우다 후
|
|||
교고쿠인 | 단텐몬인 | |||
후시미 후
|
고후시미 후
|
|||
츠네코 | 겐신몬인 | 고기몬인 | ||
고니조 후
|
하나조노 후
|
고다이고 후
|
||
사네코 | ||||
고다이고 후
|
||||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
||||
고다이고 후
|
고무라카미 후
|
|||
가키몬인 | ||||
조케이 후
|
고카메야마 후
|
|||
노부코 | ||||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
||||
고코마쓰 후
|
쇼코 후
|
고하나조노 후
|
고쓰치미카도 후
|
|
고혼몬인 | 히카루코 | 아사코 | ||
고카시와바라 후
|
고나라 후
|
오기마치 후
|
||
세이코인 |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
||||
오기마치 후
|
고요제이 후
|
|||
세이코인 | 주카몬인 | |||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
||||
고요제이 후
|
고미즈노오 후
|
|||
고미즈노오 후
|
고코묘 후
|
고사이 후
|
레이겐 후
|
|
아사코 여왕 | ||||
레이겐 후
|
히가시야마 후
|
나카미카도 후
|
||
사쿠라마치 후
|
모모조노 후
|
고모모조노 후
|
||
고카쿠 후
|
닌코 후
|
|||
고메이 후
|
메이지 후
|
|||
근현대
|
||||
메이지 후
|
다이쇼 후
|
쇼와 후
|
아키히토 후
|
|
미치코 | ||||
나루히토 후
|
||||
마사코 | ||||
}}}}}}}}}}}} |
1. 개요
藤原得子(1117년 ~ 1160년)
도바 덴노의 제2황후. 得子는 읽는 방법에(음독, 훈독) 따라 '도쿠시' 또는 '나리코'로 읽을 수 있다. 막후 권력자로, 스토쿠 덴노의 최대 원수.
중국에서 포사나 달기로 변신해 악행을 저지르던 구미호가 일본으로 건너와 도바 상황의 곁에서 일본삼대악귀로도 꼽히는 타마모노마에(玉藻前)라는 애첩으로 있었다는 이야기가 <하쿠메넨콘모우큐비노키츠네>(白面金毛九尾狐)에 전해지는데, 그 모델이 이 도쿠시라는 이야기가 있다. 타마모노마에가 하는 행보를 보면 도쿠시와 빼다박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생애
2.1. 출생과 중궁이 되기까지
1117년 후지와라노 나가자네의 딸로 태어났다. 나가자네는 그의 어머니가 시라카와 법황의 유모였기 때문에 시라카와 법황기에 꽤 출세한 인물이었다. 워낙 예뻤던지 나가자네는 도쿠시를 매우 예뻐했다고 한다. 그래서 "도쿠시는 평범한 남자에겐 시집보내지 않겠다"라고 했을 정도였다고.나가자네가 사망한 후에 도바 상황의 눈에 들게 되었고, 마침내는 도바 상황의 제2중궁이 되어 나리히토 친왕( 고노에 덴노)을 덜컥 낳게 된다. 일설에 의하면 도바 상황의 제1중궁 후지와라노 쇼시(타마코)가 시라카와 법황과 불미스런 관계에 있어 도바 상황이 쇼시를 미워했는데 시라카와 법황이 세상을 떠나자 쇼시와 그녀의 아들이었던 스토쿠 덴노의 입지는 매우 좁아지게 되었다.
그러던 차에 고노에 덴노의 즉위 직후 황궁에서 도바 상황의 황후 후지와라노 타이시를 저주하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사건의 배후가 쇼시라는 소문이 돌면서 결국 그녀는 권세를 잃고 출가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 틈을 타서 도쿠시가 사실상 막후의 권력을 쥐게 된다. 일부에선 이 저주사건의 배후가 쇼시라는 소문과 스토쿠 덴노가 도바 법황의 아들이 아닌 시라카와 법황의 아들이라는 소문의 배후를 그녀로 추측하고 있다. 사실 후일의 행보를 보면 그러고도 남을 것 같지만.
2.2. 스토쿠 상황을 밀어내다
사실상 도바 법황을 휘어잡은 그녀는 황후로 높여져 제2황후로 불리게 되었으며, 틈만 나면 도바와 스토쿠 부자 사이를 갈라놓는데 힘썼다. 그녀 덕분에 스토쿠는 도바에게 아들 취급도 받지 못하고 우울한 나날을 보내게 되었다. 물론 스토쿠도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도쿠시와 정치적 타협을 해 자신의 맏아들 시게히토 친왕을 도쿠시의 양아들로 삼게 했다. 시게히토 친왕의 친모가 중궁이 아닌 후궁이었던지라 차후 덴노위를 계승해도 정통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한편으로 그녀도 미래에 보험을 들어둔다는 생각으로 시게히토를 양자로 들인 듯하다.시게히토를 양자로 삼으면서 그녀와 스토쿠 상황 사이의 관계가 개선되나 싶었으나... 1155년 고노에 덴노가 급사하면서 후계 구도를 놓고 논란이 일게 되었다. 고노에 덴노에게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덴노 계승에 가장 정통성이 있는 쪽은 스토쿠 상황의 맏아들인 시게히토 친왕이었다. 그러나 도쿠시는 시게히토가 황위를 계승하게 되면 자신의 입지가 줄어들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그러던 차에 도쿠시에게 접근한 이가 마사히토 친왕(도바 상황의 제4황자)의 유부 신제이였다. 신제이는 자신이 권력을 잡기 위해 마사히토 친왕을 덴노로 세우려는 야심을 품고 있었고, 둘은 결국 결탁해 시게히토의 황위 계승을 막기로 결심한다. 여기에 스토쿠 상황의 장인이었지만 중궁 대신 후궁을 총애하고 후궁 소생인 시게히토를 황위에 올리려는데 불만을 품은 후지와라노 타다미치까지 끌어들였다.
이들은 고노에 덴노가 죽은 이유는 스토쿠 상황이 저주의 주술을 건 탓이라는 소문을 퍼뜨렸고, 이 소문을 들은 도바 법황은 격노해 시게히토의 덴노 계승을 취소하고 마사히토의 아들 모리히토에게 황위를 계승하게 하려 했다. 그러나 조정 중신들은 친아버지가 버젓이 살아있고 아직 모리히토의 나이가 어리니 모리히토가 장성할 때까지 징검다리로 마사히토가 덴노가 되는게 낫겠다라고 주장해 결국 마사히토가 덴노를 계승하게 된다. 그가 바로 고시라카와 덴노다. 문제는 마사히토는 도바 법황의 친아들이긴 했으나 황태자 책봉도 안받은 황족에 불과했다. 그런데도 도바 법황은 스토쿠 상황에 대한 분노에 파행적인 조치를 단행했던 것. 이로써 도쿠시는 자신의 뜻대로 권세를 유지하게 되었다.
1156년, 도바 법황이 병사하자 도쿠시와 신제이, 타다미치는 완벽하게 후환을 없애기 위해 스토쿠 상황 일파를 제거하기로 결심한다. 이들은 스토쿠 상황과 상황의 측근인 후지와라노 요리나가가 모반을 꾸민다고 모함했고, 격노한 고시라카와 덴노는 요리나가의 영지에서 모병을 금지하는 칙서를 내렸다. 궁지에 몰린 요리나가는 반격에 나섰으나 병력의 열세로 결국 패배하고 만다.( 호겐의 난) 스토쿠 상황은 사누키로 유배되었다. 완벽한 도쿠시의 승리였다.
2.3. 사망까지
호겐의 난 진압 후 고시라카와 덴노의 위상은 공고해진 것으로 보였으나, 실상 고시라카와는 실권이 없었고 실권은 신제이와 도쿠시에게 있었다. 도쿠시는 도바 법황이 사망했기 때문에 출가하여 '비후쿠몬인(美福門院)'이란 칭호를 얻었으나, 더한 권세를 누리기 위해 황태자 모리히토 친왕의 덴노 등극을 염원했다. 결국 1158년 3월, 소위 부처와 부처의 타협이란 평가를 받으며 고시라카와 덴노는 결국 황태자 모리히토에게 양위할 수밖에 없었다. 그가 바로 니조 덴노다. 원래대로라면 고시라카와가 인세이를 행해야 했으나 실권은 신제이에게 있었고, 니조 덴노도 친정에 의욕을 보인 탓에 고시라카와는 니조 덴노와 연정을 하는 형태로 국사에 참여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조정은 니조 덴노를 지지하는 친정파, 고시라카와 상황을 지지하는 인세이파로 나뉘었고, 인세이파 또한 실권자인 신제이의 주류파와 후지와라노 노부요리의 비주류파로 갈라졌다.이런 상황에서 그녀는 되려 과거같은 권세는 누리지 못하고 비구니로서 지내다가 1159년 일어난 헤이지의 난의 평정을 지켜본 후 1160년 4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그녀는 죽은 후에도 논란을 일으켰는데 여인이 묻힐수 없는 고야산에 묻힌 탓에 도쿠시의 권세빨이라는 비난이 일기도 했다.
3. 평가
권력욕으로 나라를 뒤흔든 여성이라 평가할 수 있다. 사실상 권력욕 때문에 스토쿠 상황과 후지와라노 쇼시를 밀어냈으며, 덴노의 등극과 퇴위까지도 좌지우지할 정도로 막후에서 막강한 권력을 누렸다. 이런 탓에 타마모노마에가 그녀를 모델로 했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다. 황실과 조정의 정권 다툼의 배후에 그녀가 있다는 세간의 인식이 타마모노마에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을듯.도바 법황은 자신의 개인 영지를 대부분 그녀에게 상속시켰는데 그녀는 물려받은 영지들을 모두 자신의 딸 하치조인에게 물려주었다. 하치조인이 물려받은 영지는 하치조인령으로 불리며 가마쿠라 시대에 황실의 수입원으로 정치, 경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