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cbbe5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감포읍 | 건천읍 | 강동면 | 내남면 | 산내면 | 서면 | |
안강읍 | 외동읍 | 양남면 | 문무대왕면 | 천북면 | 현곡면 |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1959a6>
행정동 ||<-4>
법정동 ||
}}}}}}}}} ||<colbgcolor=#cbbe53> 동천동 |
시청
동천동
|
|||||||||
보덕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덕동 | 북군동 | 손곡동 | }}} | |||||
신평동 | 암곡동 | 천군동 | 황용동 | |||||||
불국동 | 구정동 | 마동 | 시동 | 시래동 | ||||||
조양동 | 진현동 | 평동 | 하동 | |||||||
선도동 | 광명동 | 서악동 | 충효동 | 효현동 | ||||||
성건동 | 성건동 | 석장동 | ||||||||
용강동 | 용강동 | |||||||||
월성동 | 교동 | 구황동 | 남산동 | 도지동 | ||||||
동방동 | 배반동 | 보문동 | 인왕동 | |||||||
중부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북부동
|
}}} | |||||||
황남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황성동 | 황성동 | |||||||||
황오동 | 성동동 | 황오동 |
경주시의
행정동 황성동 隍 城 洞 | Hwangseong-dong |
|||
<colbgcolor=#cbbe53><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050080 | ||
관할 법정동 | 황성동 | ||
하위 행정구역 | 54통 307반 | ||
면적 | 3.90㎢ | ||
인구 | 27,013명[1] | ||
인구밀도 | 6,926.4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경주시 | |
|
김석기 (3선) | ||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
배진석 (3선) | ||
경주시의원 | 가 선거구 | |||
|
김항규 (초선) | ||
|
이경희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갓뒤동녘길 37 | ||
황성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동.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옛 신라의 성터라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동명은 해자(황/隍)와 성(城)에서 따왔다.
형산강 건너편에 현곡면 금장리가 있으며, 금장교를 통해 왕래할 수 있다.
경주시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황성동의 남쪽은 황성공원[2], 중간이 아파트 지역, 북쪽은 용강공단이다. 중간 지역 역시 철로 남쪽이 먼저 개발되었고, 북쪽은 과수원, 농장 등이 존재했었지만 해당 부지에는 아파트가 건설되었다.
경주시에서 소득 수준이 비교적 높은 지역이다.[3] 경주에서 아파트가 가장 많으며, 소득이 높은 편이라 나름대로 깔끔한 이미지인 지역이다.
다만, 난개발이 극심한 곳이기도 하다. 철로가 중간에 끼여있는 데다 계획적으로 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도로망이 중구난방이다.
학교가 5개나 인접해 있고 비교적 인구가 많으며 소득이 높아, 경주시에서 학원이 가장 많은 곳이다.
황성동에는 주택가 한가운데에 공동묘지가 덩그러니 있었다.[4] 또한 이 공동묘지 자리와 100m도 채 안 되는 곳에는 진평왕의 충신 김후직의 묘인 간묘[5]가 있으며, 간묘 앞에는 계림중학교가 있다. 이외에 경주 황성동 고분이 있다.
2. 주요 시설
2.1. 기관
2.2. 문화
2.3. 교육
2.3.1. 초등학교
2.3.2. 중학교
2.3.3. 고등학교
2.4. 주거
- 공원 - 1985년 10월 입주.[6]
- 경주국민주택 경주 아파트 - 1987년 10월 입주.
- 우주주택 우주빌라 아파트 - 1988년 2월 입주.
- 우주주택 우주타운 - 1990년 7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황성 1차 주공아파트 - 1986년 11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황성 2차 주공아파트 - 1991년 10월 입주.
- HDC현대산업개발 황성 1차 현대아파트 - 1991년 11월 입주.
- HDC현대산업개발 황성 2차 현대아파트 - 1992년 2월 입주.
- HDC현대산업개발 황성 3차 현대아파트 - 1992년 8월 입주.
- HDC현대산업개발 황성 5차 현대아파트 - 1998년 11월 입주.
- 삼보주택 삼보타운1차 - 1991년 1월 입주.
- 삼보주택 삼보타운2차 - 1992년 5월 입주.
- 삼보주택 삼보타운3차 - 1993년 4월 입주.
- 삼보 삼보타운4차 - 1995년 4월 입주.
- 삼보 삼보타운5차 - 1995년 11월 입주.
- 청우건설 청우파크맨션(101동) - 1991년 10월 입주.
- 청우건설 청우파크맨션(102동) - 1992년 4월 입주.
- 청우종합건설 청우3차 - 1997년 6월 입주.
- 청우종합건설 청우(401동) - 1997년 6월 입주.
- 신흥주택 신흥로얄맨션1차 - 1994년 4월 입주.
- 신흥주택 신흥로얄맨션2차 - 1995년 10월 입주.
- 홍일 - 1990년 8월 입주.
- 송정건설 송정그랜져 - 1991년 10월 입주.
- 유원건설 유원아파트 - 1992년 04월 입주.
- 삼익세라믹 황성 삼익세라믹아파트 - 1992년 8월 입주.
- GS건설 황성 럭키아파트 - 1992년 12월 입주.
- 동보 - 1993년 5월 입주.
- 신안건설 신안그린파크 아파트 - 1993년 12월 입주.
- 진홍건설 진홍빌리지 - 1995년 11월 입주.
- 한신공영 황성 한신아파트 - 1997년 1월 입주.
- 제일건설 제일타운 - 1999년 10월 입주.
- 대흥주택 대흥그린파크 - 2001년 6월 입주.
- 한길주택건설 한길골든빌 - 2002년 5월 입주.
- 상림건설 세잔베르체(주상복합) - 2006년 3월 입주.
- 현진건설 황성 현진에버빌 - 2008년 12월 입주.
- 성호건설 성호마루한 - 2010년 11월 입주.
- 홍익 황성나라빌 - 2014년 1월 입주.
- 백상건설 경일리버뷰 - 2015년 12월 입주.
- DL E&C e편한세상 황성 - 2016년 2월 입주.
- KCC건설 경주 황성 KCC 스위첸 - 2018년 1월 입주.
- 협성건설 협성휴포레 경주 황성 - 2018년 2월 입주.
- 동부토건 경주 황성 베스티움 프레스티지 - 2024년 7월 입주예정.
- 두산건설 황성 두산위브 더 제니스 : 입주미정. (황성 주공 1차아파트 재건축)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황성 : 입주미정.
3. 교통
3.1. 버스
3.1.1. 일반
- 경주 버스 41
- 경주 버스 51
- 경주 버스 60, 61
- 경주 버스 210
- 경주 버스 230
- 경주 버스 231
- 경주 버스 232
- 경주 버스 234: 경주 333번 버스 통합 노선.
- 경주 버스 273
- 경주 버스 300
- 경주 버스 301
3.1.2. 좌석
- 경주 버스 200
- 경주 버스 300
- 경주 버스 300-1
- 경주 버스 603: 1일 1회 한정 운행.
4. 사건사고
5. 출신 인물
[1]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
[2]
면적이 무척 넓고
경주시민운동장,
경주시립도서관,
경주실내체육관, 소규모 축구장, 경주 예술의 전당 등을 낀 소나무숲이다. 과거에는 소규모 축구장과 경주 예술의 전당이 있던 절반 정도는 비닐 하우스와 미개발지였다.
[3]
황성동은 개발 초기부터 비교적 중형 이상 평형대의 아파트가 많이 개발되어, 경주에서 소득이 높은 편인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었다.
[4]
그 공동묘지는 무덤이 모두 이장되었고 그 자리에는 공영주차장이 들어섰다.
#
[5]
경상북도 기념물 제 31호.
[6]
현재 소규모 재건축 추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