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ㅣ |
|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ㅣ | ||||||||||
창덕궁 | 춘당지 |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관리사무소 | 월근문 | ||||||||
함양문 |
|
|
|
ㅣ | |||||||||
|
|
|
|
|
|
|
ㅣ | ||||||
|
통명전 | 양화당 |
|
집복헌 | 영춘헌 | ㅣ | |||||||
|
|
|
|
|
|
|
|
|
|
||||
ㄴ | ㄱ |
|
|
ㅣ | |||||||||
ㅣ | 경춘전 | 환경전 |
|
|
|
ㅣ | |||||||
ㅣ |
|
함인정 |
|
|
|
|
ㅣ | ||||||
|
빈양문 | 명정전 | 명정문 | 옥천교 | 홍화문 | ||||||||
ㄴ | ㅡ | ㅡ |
|
|
숭문당 | 문정전 | 문정문 |
|
ㅣ | ||||
|
|
|
|
|
|
ㅣ | |||||||
|
|
|
ㅣ | ||||||||||
|
|
|
|
|
선인문 | ||||||||
|
|
|
ㅣ | ||||||||||
|
+ | ↓ | 종묘 | ㅡ |
|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창경궁 홍화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보물 | ||||||||||||||||||||||
383호 | ← | 384호 | → | 385호 | |||||||||||||||||||
창덕궁 돈화문 | 창경궁 홍화문 |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 |
대한민국 보물 제384호 | |
창경궁 홍화문 昌慶宮 弘化門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
수량 | 1동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1483년 창건, 1616년 중건 |
|
<colbgcolor=#bf1400> 홍화문 |
|
일제강점기 홍화문[1] |
1. 개요
창경궁의 정문. 조선 중기에 만든 문이나 조선 초기 양식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384호이다.고유의 아름다움이 일부 퇴색되기는 했지만, 17세기 초반 목조건축의 연구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건물이다.
2. 역사
|
<colbgcolor=#bf1400> 〈동궐도〉 홍화문 |
3.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처마는 겹처마이며 지붕은 앞쪽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이다. 아래층은 기둥 사이마다 2짝씩 문짝을 달아 사람이 드나들게 했으며 위층은 마루를 깔고 앞뒤 벽면에 조그만 널문들을 달아 여닫을 수 있게 만들었다. 지붕 꼭대기 양끝의 조각과 부드럽게 굽어 내린 내림마루 부분의 조각상이 건물의 위엄을 한층 더 돋우고 있다.
- 문의 서북쪽 모서리에 계단이 있어서 위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다. 위층 누간에 오르면 사면벽에 낸 판문을 통해 사방을 관망할 수 있다.
- 상층과 하층의 공포는 모두 다포 양식으로 내3출목, 외2출목이다. 공포는 기둥을 받치는 부분 외에 기둥 사이에도 두었다. 명정전 공포형식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명정전, 명정문과 함께 광해군 때 재건한 건물임을 알 수 있다.
- 동궐도에는 월대가 있지만 다른 궁궐의 정문들에 있는 월대와 달리 기단만 있는 형태이며 이마저도 현재는 일제강점기 이후 부터는 사라지고 없는 상태이다.
4. 특징
- 조선 후기 특히 영조와 정조 시기엔 대민소통의 장소로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균역법을 시행함에 앞서 영조는 이곳에서 요즘의 공청회, 토론회를 가졌고 정조는 수원화성행차를 전후해 빈민들에게 쌀을 하사하는 행사를 갖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