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0:51:37

핸섬가이즈

<colbgcolor=#000><colcolor=#fff> 핸섬가이즈 (2024)
Handsome Guys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핸섬가이즈 개봉 확정메인 포스터.jpg }}} ||
장르 코미디, 스릴러, 공포, 가톨릭, 오컬트, 미스터리, 다크 판타지
감독 남동협
각본
원작 엘리 크레이그 - 《 터커 & 데일 Vs 이블
제작
출연 이성민, 이희준, 공승연, 박지환, 이규형
촬영
미술
편집
음악
의상
제작사 하이브미디어코프
배급사 NEW
개봉일 2024년 6월 26일
촬영 기간
화면비
상영 타입
상영 시간 101분 (1시간 41분 4초)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
손익분기점 110만 명 #
대한민국 총 관객수 87,024명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1]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
10.1. 대한민국
11. 기타12.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2024년 6월 26일 개봉한 한국 영화.

2. 개봉 전 정보

  • 원래는 2021년 개봉이 목표였지만 3년이나 미루어졌다. 크랭크 업 이후 보도되었었던 초기 기사 등에는 2021년 개봉으로 소개된 내용이 있었다.

3. 포스터

<nopad>파일:핸섬가이즈 로고 포스터.jpg 파일:핸섬가이즈 티저 포스터 재필.jpg 파일:핸섬가이즈 티저 포스터 상구.jpg
시나리오 표지 티저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핸섬가이즈 포스터 1.jpg 파일:핸섬가이즈 포스터 2.jpg
듀오 포스터 세계관 파괴 포스터[2]
파일:핸섬가이즈 웰컴 홈 포스터.jpg 파일:핸섬가이즈 커밍 홈 포스터.jpg
웰컴 홈 포스터 커밍 홈 포스터 }}}
파일:핸가 재필.jpg 파일:핸가 상구.jpg 파일:핸가 미나.jpg
파일:핸가 최 소장.jpg 파일:핸가 남 순경.jpg 파일:핸가 봉구.jpg
캐릭터 포스터

4. 예고편

1차 예고편
2차 예고편

5. 시놉시스

“우리가 뭐 빠지는 게 있노? 집도 있고 차도 있고 인물도 훤칠한데”

자칭 터프가이 ‘재필’(이성민)과 섹시가이 ‘상구’(이희준)
현실은 잊지 못할 첫인상으로 이사 첫날부터
동네 경찰 ‘최소장’(박지환)과 ‘남순경’(이규형)의 특별 감시 대상이 되지만,
꿈꾸던 유럽풍 드림하우스에서 새출발 한다는 것에 그저 행복하기만 하다.

그러나 행복도 잠시, 물에 빠질 뻔한 ‘미나’(공승연)를 구해주려다
오히려 납치범으로 오해받는 상황이 이어진다.
한편 ‘미나’를 찾으러 온 불청객들을 시작으로 지하실에 봉인되어 있던 악령이 깨어나며
어두운 기운이 집안을 둘러싸기 시작하는데…

“왜 다들 우리 집에 와서 죽고 난리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6. 등장인물

7.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10. 흥행

10.1. 대한민국

<colbgcolor=#000><colcolor=#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20,110명 20,110명 미집계 168,150,000원 168,150,000원
1주차 2024-06-26. 1일차(수) 66,914명 -명 4위 520,779,210원 -원
2024-06-27. 2일차(목) -명 -위 -원
2024-06-28. 3일차(금) -명 -위 -원
2024-06-29. 4일차(토) -명 -위 -원
2024-06-30. 5일차(일) -명 -위 -원
2024-07-01. 6일차(월) -명 -위 -원
2024-07-02.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24-07-03.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7-04. 9일차(목) -명 -위 -원
2024-07-05. 10일차(금) -명 -위 -원
2024-07-06. 11일차(토) -명 -위 -원
2024-07-07. 12일차(일) -명 -위 -원
2024-07-08. 13일차(월) -명 -위 -원
2024-07-09.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4-07-10.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7-11. 16일차(목) -명 -위 -원
2024-07-12. 17일차(금) -명 -위 -원
2024-07-13. 18일차(토) -명 -위 -원
2024-07-14. 19일차(일) -명 -위 -원
2024-07-15. 20일차(월) -명 -위 -원
2024-07-16.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4-07-17.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7-18. 23일차(목) -명 -위 -원
2024-07-19. 24일차(금) -명 -위 -원
2024-07-20. 25일차(토) -명 -위 -원
2024-07-21. 26일차(일) -명 -위 -원
2024-07-22. 27일차(월) -명 -위 -원
2024-07-23. 28일차(화) -명 -위 -원
합계 누적관객수 87,024명, 누적매출액 -원[3]


손익분기점은 100만 명이다.
  • 개봉 전
    • 인사이드 아웃 2〉, 〈 하이재킹〉 순의 1강 1중 박스오피스 체재가 형성된 때에 개봉한다.
      • 개봉 시기가 비슷한 네 주요 한국 작품 중 액션 등 서로 장르가 일부 겹쳐 목표 관객을 두고 경쟁을 벌여야 하는 〈 탈주〉, 〈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 하이재킹〉과 달리 공포/스릴러에 코미디가 섞인 차별화된 장르로 최소화한 이들과의 경쟁, 원작 〈 터커 & 데일 Vs 이블〉의 준수한 평 및 시체스 영화제/판타지아 영화제 등의 영화제 수상 전적, 준수한 축의 사전 평가 등이 흥행의 요소다.
      • 그러나 개봉일이 같은 〈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과 일부 관객층이 겹쳐 이와 예정된 경쟁, 경쟁작들보다 관객층이 다소 제한적인 와중 경쟁을 최소화했다지만 한국 영화와 같은 입지가 겹치는 전술한 경쟁작들 및 가볍게 보기 좋은 기존 작품 〈인사이드 아웃 2〉의 존재로 제한점이 있는 목표 관객 외의 일반 관객 확보의 가능성, 장편 영화의 감독 경험이 전무한 남동협 감독의 경력과 같은 위험 요소 또한 있다.
    • 개봉일인 6월 26일 수요일 자정을 기준으로 6만 7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14.6%의 예매율로 35.3%의 〈인사이드 아웃 2〉, 17.7%의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을 이어 예매율 3위를 기록했다.
  • 1주 차
    • 이 주 차의 타 주요 개봉작으로는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등이 있다.
    • 개봉일이 겹친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에게 예매율로 밀리면서 위험 요소가 더해진 가운데, 예매 관객 수로도 문화가 있는 날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그리 높지 않은 수치를 기록해 다수 경쟁작의 존재라는 위험 요소의 영향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전술한 네 한국 작품 중 손익분기점이 가장 낮아[4] 타 작품에 비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상영중인 〈 그녀가 죽었다〉의 선례로 보아[5] 손익분기점 돌파의 가능성이 전무하지는 않다. 물론 이것은 호평이 주된 관객 평이 뒷받침되어 장기적인 흥행을 그려나가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준수한 축의 사전 평가를 개봉 후에도 그대로 유지해 경쟁작들 사이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립해나가는 것이 이 주 차의 관건으로 여겨진다.
    • 개봉 첫날인 6월 26일 수요일, 6만 6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해 〈인사이드 아웃 2〉,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하이재킹〉에 이어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했다. 이날 겹친 문화가 있는 날로 인해 보다 관객 동원에 유리했던 점과 주요 작품들 중 가장 낮은 순위로 미루어 보아 개봉일 성적으로는 손익분기점 돌파에 긍정적인 상황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다만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이 신규 개봉 효과가 빠진 것과 더불어 저조한 평을 들은 결과 주요 작품 중 가장 높은 전일 대비 예매 관객 수 낙폭을 기록함에[6] 따라 상대적으로 이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기회가 주어졌으며, 그 외 두 주요 작품 〈인사이드 아웃 2〉, 〈하이재킹〉에 크게 밀릴 정도는 아닌 평을 받아낸 것으로 보아 어느 정도 입지를 확보해냈다고 볼 수 있다.

11. 기타

12. 외부 링크



[1] 등급분류 결정내용: 나뭇가지가 떨어져 사람 몸을 관통하고, 전기톱으로 몸을 가르는 등 유혈이 낭자한 폭력 장면, 악귀가 씐 채 공격하는 장면, 목이 돌아가는 장면, 욕설과 비속어 사용 등에서 폭력성 및 공포, 대사의 표현 수위가 다소 높은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 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 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 )
[2] 영화 남산의 부장들의 메인 포스터를 패러디하였다. [3] ~ 2024/06/26 기준 [4] 수치가 높은 순으로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 400만 명, 〈하이재킹〉 - 최저 230만 명, 〈탈주〉 - 약 200만 명, 〈핸섬가이즈〉 - 최저 100만 명. [5]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7만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했으며, 개봉일이 부처님오신날 공휴일과 겹친 영향을 받았다. 힘이 크게 빠졌더라도 고정된 입지를 갖고 있던 〈 범죄도시4〉가 기존 작품으로 있는 때에 개봉한 것과 더불어 경쟁작 〈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 설계자〉, 〈 원더랜드〉가 매주마다 차례로 개봉하는 일정, 그리고 중소 배급사 배급으로 인해 흥행 전망이 좋다기에는 거리가 있었다. 하지만 비록 선두는 기록하지 못했을지언정 박스오피스 10위권 중 중상위권을 대략 5주간 유지하는 등 좋은 평을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입지를 지켜낸 결과 손익분기점에 매우 근접한 120만 명대의 예상 성적을 받아낼 수 있었다. [6] 수치가 낮은 순으로 〈인사이드 아웃 2〉 - 약 6%, 〈하이재킹〉 - 약 26%, 〈핸섬가이즈〉 - 약 27%,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 약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