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년부터 1944년까지 노선명이 함북선이었던 노선에 대한 내용은 무산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 ||||
평라선 | 강원선 | 금강산청년선 | 만포선 | 백두산청년선 | |
청년이천선 | 평남선 | 평덕선 | 평부선 | 평의선 | |
함북선 | 북부내륙선 | 황해청년선 | |||
제1지선 철도 | |||||
대건선 | 은산선 | 천성탄광선 | 고원탄광선 | 금야선 | |
신흥선 | 서호선 | 창흥선 | 북청선 | 두언선 | |
단풍선 | 금골선 | 일탄선 | 고참탄광선 | 대향선 | |
강덕선 | 청진항선 | 라진항선 | 천내선 | 문천항선 | |
송도원선 | 대각선 | 조양탄광선 | 봉천탄광선 | 개천탄광선 | |
청년팔원선 | 룡문탄광선 | 강계선 | 운하선 | 백무선 | |
오시천선 | 삼지연선 | 평양화전선 | 보산선 | 대안선 | |
룡강선 | 도지리선 | 서해갑문선 | 명당선 | 고비선 | |
덕산선 | 삼등탄광선 | 령대선 | 재동선 | 솔골탄광선 | |
관하선 | 득장선 | 잉포선 | 덕남선 | 장상선 | |
송림선 | 봉산선 | 룡성선 | 안주탄광선 | 개천선 | |
구봉산선 | 평북선 | 철산선 | 백마선 | 다사도선 | |
덕현선 | 무산선 | 세천선 | 고건원선 | 춘두선 | |
홍의선 | 두만강선 | 승리선 | 운봉선 | 은률선 | |
배천선 | 옹진선 | 금강산청년선 | 구성선 | 압록강선 | |
제2지선 철도 | |||||
직동탄광선 | 성산인입선 | 장진선 | 만덕선 | 신성선 | |
회둔탄광선 | 후산선 | 청남선 | 녕변선 | 삼공일선 | |
신온전용선 | 수풍선 | 장연선 | 정도선 | 부포선 | |
회령탄광선 | 안천전용선 | ||||
폐선된 철도 | |||||
최가령선 | 명학선 | 형봉선 | 보천선 | 청화력선 | |
잠진리선 | 마평선 | 석하리선 | 토해선 | 운산선 | |
과일선 | 토해선 | 태탄선 | 리원선 | 원산항선 | |
개천청년선 | 서해리선 | 서창선 | 룡암선 | 시정선 | |
남동선 | 박천선 | 강안선 | 홍군선 | 동포선 | |
성평선 | 회암선 | 안골선 | 금천탄광선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함북선 Hambuk Line 咸北線 |
|||
<nopad> | |||
노선 정보 | |||
분류 | 본선철도 | ||
기점 | 청진청년역 | ||
종점 | 라진역 | ||
역 수 | 51개 | ||
통행 방향 | 좌측통행 | ||
운영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
사용차량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325.1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단선 | ||
사용전류 |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 ||
표정속도 | 불명 |
[clearfix]
1. 개요
청진청년역에서 출발해서 함경북도를 휘감아 돌면서 우회해서 라진역에 이르는 철도. 총 연장길이 327.4km. 평균 역간거리는 약 6.3km.청진 북쪽에 있는 도시들을 연결시켜 주는 게 주 목적. 특히나 이 노선은 다른 노선에도 잘 없다는 외국과의 연계지점이 두 군데( 남양역, 홍의역 : 두만강선이 이 역에서 분기)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한 노선. 그나마도 이건 줄어든 거다. 예전에는 삼봉역과 훈융역에서도 분기했었다. 어쨌든 평의선 신의주청년역과 더불어 북한으로 들어가는 많은 수입물자가 이쪽으로 들어오게 된다.
더구나 이 일대에는 탄전이 많아서 광물 자원을 수송하는 데에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이다. 여러 모로 잘 쓰면 쓸모가 많은 노선. 거기에 혁명 사적지랍시고 당에서도 이쪽을 엄청 띄워주고 있기 때문에(대표적으로 경원역) 나름대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노선이다. 거기에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이 함북선 철도를 따라서 여기저기에 널린 것이 정치범수용소. 이렇게 중요한 점이 많으니 중요시하지 않을 수 있나. 심지어 무산선을 통해 연결되는 무산군의 철광석을 청진항까지 수송하는 목적으로 수성역 - 고무산역 구간은 복선전철화되어 있다.
원래는 협궤였다. 지금의 회령청년역 - 종성역 구간이 바로 그 구간으로, 이걸 표준궤로 1931년 다시 건설하면서 1933년 8월에 공사가 끝났다. 다른 구간도 비슷한 시기에 부설되었는데, 도문선이라 불리던 종성역 - 선봉역(당시는 웅기역) 구간이 1927년에 공사를 시작해서 남양역 - 강양역 구간이 1933년 8월에 공사가 마무리되는 것을 끝으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일단은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1970년 청진역 - 고무산역 - 무산역간 노선이 전철화되고, 1982년에는 고무산역 - 회령청년역간, 1983년에는 라진역 - 홍의역 - 두만강역간, 1987년에는 홍의역 - 학송역간, 1995년에는 나머지 구간이 모두 전철화되었다. 하지만 상태가 별로 좋지 않아서 일부 구간은 전철화가 제대로 되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
궤간은 상술했듯이 전 구간 표준궤이다. 다만 러시아 철도와의 연계성을 위해서 라진역 - 물골역 - 두만강역은 혼합궤로 부설되어 있다. 여담으로 이 혼합궤는 평라선 철도를 따라서 청진청년역까지 이어진다.
수성역 - 고무산역간 34.1km와 라진역 - 웅라역 2.8km는 복선 구간이다.
2018년 남북공동조사단에 다르면 안변역부터 두만강역까지는 철도가 다녀서 비교적 관리가 잘 되어있다고 한다. 공동조사단은 평라선, 함북선, 두만강선을 지난 것으로 추측된다. #
통일 이후에는 물골역부터 라진역까지는 동해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따라서 함북청년 - 물골까지로 단축되는 셈.
2. 역사
2.1. 청암 - 삼봉 구간 (함경선)
해당 철도 노선의 청암 - 삼봉 구간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함경선 문서
의
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북선선 및 웅라선
- 1922년 12월 1일: 상삼봉 - 종성 구간 도문철도 사철로 개통
- 1924년 11월 1일: 도문철도 종성 - 동관진 구간 연장
- 1929년 3월 28일: 도문철도의 국유화 및 서도문선으로 개칭[1]
- 1929년 11월 16일: 동도문선 신아산 - 웅기 구간 개통
- 1930년 10월 1일: 동도문선 훈융 - 신아산 구간 개통
- 1931년 10월 20일: 동도문선 온성 - 훈융 구간 개통
- 1932년 11월 1일: 동도문선 풍리 - 온성 구간 개통
- 1933년 8월 1일: 동도문선 동관진 - 남양 구간 개통 동·서도문선 연결되면서 도문선으로 개칭 및 동관진역이 동관역으로 개칭[2]
- 1933년 10월 1일: 청진 - 웅기 구간의 철도 관리가 남만주철도로 이관됨.
- 1935년 11월 1일: 웅기 - 나진 간 웅라선 준공 및 개통
2.3. 태평양 전쟁 말기 이후
그리나 태평양 전쟁 말기 소련의 진주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전쟁 이후에도 국경 지역의 긴장으로 인해 복구가 매우 더디게 진행되었다. 특히 국경을 건너 중국으로 향하던 두 개의 지선철도는 2020년 현재까지도 미복구 상태로 남아있다.그리고 한국 전쟁 정전 후 함경선, 북선선, 웅라선 3개 노선을 통합하여 현재의 함북선이 성립되었으며 이후 2008년에는 북한-러시아 국경에 인접한 구간에서 나진항까지의 화물 수송을 위해 듀얼게이지로의 전환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2020년 현재 기준으로는 완공되었다.
최근 구글 어스로 확인한 결과, 농포역에서 분기하는 지선 철도가 건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운행
이 문단의 대부분 내용은 영어 위키백과의 함북선 문단을 참조하였다.- 급행열차 7/8호 : 평양역~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역 구간 운행, 라진역~ 홍의역 구간 경유
- 급행열차 9/10호 : 평양역~ 무산역 구간 운행, 청진역~ 고무산역 구간 경유
- 준급행열차 113/114호 : 서평양역~ 온성역 구간 운행, 청진역~ 운성역 구간 경유
4.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함북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구 역명/비고 | 소재지 | |
청진청년 | 淸津靑年 | -3.1 | -3.1 | 327.4 | 청진항선 | 청진 (淸津) | 함북 청진시 |
청 암 | 靑 岩 | 기점 | 0.0 | 324.3 | 평라선 | ||
수 성 | 輸 城 | 4.7 | 7.7 | 319.7 | 강덕선 | ||
석 막 | 石 幕 | 5.3 | 13.0 | 314.4 | 함북 부령군 | ||
장 흥 | 章 興 | 8.0 | 21.0 | 306.4 | |||
형 제 | 兄 弟 | 6.0 | 27.0 | 300.4 | |||
부 령 | 富 寧 | 8.5 | 35.5 | 291.9 | |||
고무산 | 古茂山 | 6.3 | 41.8 | 285.6 | 무산선 | ||
석 봉 | 石 峰 | 5.8 | 47.6 | 278.8 | |||
창 평 | 蒼 坪 | 6.6 | 54.2 | 273.2 | |||
전거리 | 全巨里 | 7.3 | 61.5 | 265.9 | 함북 회령시 | ||
풍 산 | 豊 山 | 6.1 | 67.6 | 258.8 | |||
창 두 | 昌 斗 | 4.6 | 72.2 | 255.2 | |||
중 도 | 中 島 | 7.0 | 79.2 | 248.2 | |||
대 덕 | 大 德 | 6.1 | 85.3 | 242.1 | |||
회령청년 | 會寧靑年 | 6.9 | 92.2 | 235.2 | 회령탄광선 | 회령 (會寧) | |
금 생 | 金 生 | 3.8 | 96.0 | 231.4 | 궁심선 | [3] | |
고령진 | 高嶺鎭 | 5.7 | 101.7 | 225.7 | |||
신학포 | 新鶴浦 | 5.4 | 107.1 | 220.3 | 세천선 | ||
학 포 | 鶴 浦 | 2.8 | 109.9 | 217.5 | |||
신 전 | 新 田 | 9.5 | 119.4 | 208.0 | |||
간 평 | 間 坪 | 6.4 | 125.8 | 201.6 | |||
삼 봉 | 三 峰 | 6.8 | 132.6 | 194.8 | 상삼봉 (上三峰) | 함북 온성군 | |
종 성 | 鍾 城 | 9.1 | 141.7 | 185.7 | 동포선 | ||
강안리 | 江岸里 | 8.2 | 149.9 | 177.5 | 성평선 | 동관 (東關) | |
수구포 | 水口浦 | 5.9 | 155.8 | 171.6 | |||
강 양 | 江 陽 | 6.8 | 162.6 | 164.8 | |||
남 양 | 南 陽 | 5.8 | 168.4 | 159.0 | 남양국경선 | ||
풍 리 | 豊 利 | 4.2 | 172.6 | 154.8 | |||
세 선 | 世 仙 | 5.9 | 178.5 | 148.9 | [4] | ||
온 성 | 穩 城 | 4.4 | 182.9 | 144.5 | 주원선 | ||
풍 인 | 豊 仁 | 5.7 | 188.6 | 138.8 | |||
황 파 | 黃 坡 | 9.5 | 198.1 | 129.3 | |||
훈 융 | 訓 戎 | 9.5 | 207.6 | 118.8 | 함북 경원군 | ||
하 면 | 下 面 | 5.1 | 212.7 | 114.7 | |||
경 원 | 慶 源 | 4.8 | 217.5 | 109.9 | |||
농 포 | 農 圃 | 7.3 | 224.8 | 102.6 | |||
룡당리 | 龍堂里 | 3.6 | 228.4 | 99.0 | |||
신 건 | 新 乾 | 8.6 | 237.0 | 90.4 | 고건원선 | ||
신아산 | 新阿山 | 10.5 | 247.5 | 79.9 | 함북 은덕군 | ||
송 학 | 松 鶴 | 6.8 | 254.3 | 73.1 | 춘두선 | ||
학 송 | 鶴 松 | 6.1 | 260.4 | 67.0 | 회암선 | 아오지 (阿吾地) | |
청 학 | 靑 鶴 | 8.7 | 269.1 | 58.3 |
라선특급시 선봉군 |
||
사 회 | 四 會 | 9.7 | 278.8 | 48.6 | |||
홍 의 | 洪 儀 | 6.0 | 284.8 | 42.6 | 홍의선 | ||
물 골 | 1.0 | 285.8 | 41.6 | 두만강선 | |||
구룡평 | 九龍坪 | 6.1 | 291.9 | 35.5 | |||
웅 상 | 雄 尙 | 8.1 | 300.0 | 27.4 | |||
동선봉 | 東先鋒 | 7.4 | 307.4 | 20.0 | |||
선 봉 | 先 鋒 | 4.8 | 312.2 | 15.2 | 승리선 | ||
관 곡 | 寬 谷 | 6.3 | 318.5 | 8.9 |
라선특급시 라진구역 |
||
웅 라 | 雄 羅 | 6.1 | 324.6 | 2.8 | |||
라 진 | 羅 津 | 2.8 | 327.4 | 0.0 |
평라선 라진항선 |
[1]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669호, 1929년 3월 28일.
[2]
조선총독부관보 쇼와제1963호, 1933년 7월 26일.
[3]
궁심선에는 따로 역이 없다.
[4]
한반도 최북단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