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7:15:02

포템킨

포템킨 마을에서 넘어옴

1. 러시아 제국의 귀족2. 러시아 제국의 전함3. "초라한 상태를 은폐하기 위해 꾸며낸 겉치레"라는 뜻을 가진 관용어4. 길티기어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1. 러시아 제국의 귀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리고리 포템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3, 4번 문단의 어원이다. 자세한 내용은 그리고리 포템킨 문서 참고.

2. 러시아 제국의 전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일전쟁 및 제1차 세계 대전의 러시아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fff,#191919> 어뢰정 페르노프
구축함 프로젝트 35노트형, 노빅급( 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 프로젝트 마트로소프 1917년형
잠수정 / 함 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경순양함 알마스급, 스베틀라나급
장갑순양함 게네랄 아드미랄, 미닌,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드미트리 돈스코이,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파먀티 아조노바, 로시야,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방호순양함 디아나급( 아브로라함), 바랴그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노빅급, 바가티르급, 이주므루드급
군수지원함/구난함 콤무나
순양전함 프로젝트 707형, 이즈마일급
전함
<colbgcolor=#ffffff,#191919> 전드레드노트급 예카테리나 2세급, 나바린,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아드미랄 우샤코프급 전함, 체자레비치, 보로디노급, 로스티슬라브,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레트비잔,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드레드노트급 프로젝트 스크벗소바 1907년형, 강구트급,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프로젝트 코스텐코 1917년형
취소선: 건조 취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attachment/포템킨/potemkin.jpg
《Князь Потёмкин-Таврический》
기공 1898년 10월 10일
진수 1900년 9월 14일
취역 1905년 5월 20일
퇴역 1925년 11월 21일
이전 함급 페레스베트급 전함
다음 함급 레트비잔
배수량 12,500톤
길이 115미터
너비 22.3미터
최고속도 16노트
주무장 12인치 연장포 2기(4문) / 6인치 단장포 16문
보통 '포템킨'이란 명칭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정식 함명은 '크냐지 포툠킨(파촘킨) 타브리체스키'.

1898년부터 건조가 시작되었으나 중간에 화재사고가 일어나는 등 여러 문제로 인해 1905년에야 흑해 함대에 배치되었다. 건조 시기부터 따져봐도 상당히 뒤늦게 만들어진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서 이미 영국에서는 드레드노트급이 건조되고 있을 무렵이었지만 러일전쟁으로 인해 발트 함대가 증발당한 러시아에는 그야말로 막 뽑혀나온 최신예 전함이었다.

현재 보레이급 전략원잠 10번함에 함명이 계승되었다.

2.1. 포템킨 반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템킨 반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영화 전함 포템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함 포템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초라한 상태를 은폐하기 위해 꾸며낸 겉치레"라는 뜻을 가진 관용어

포템킨 마을이라고 한다. 유래는 '포템킨'이란 명칭으로 잘 알려져 있는 1번 문단의 러시아 귀족 그리고리 포툠킨(포템킨)의 이야기다. 포템킨은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 치하의 궁정 인사였고 여제의 연인이기도 했으며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지 얼마 안 된 옛 크림 칸국의 통치를 맡기도 했다. 그에 관해서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어느 날 예카테리나 여제가 포템킨이 통치하고 있는 지역을 순방하겠다고 나서자 포템킨은 쾌히 응했다. 그러나 그가 통치하고 있던 지역은 러시아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들 중 하나였다. 그런데 만약 예카테리나에게 낙후되었던 영지가 자신 치하에서 크게 발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하게 만들면 자신의 궁정에서의 영향력은 물론이고 덤으로 러시아의 위상도(여제의 일행에는 외국 외교관들도 포함됐다)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짧은 기간에 대규모의 개발을 마칠 수는 없는 노릇. 그래서 포템킨은 예카테리나 여제가 그의 영지를 관통하는 드네프르 강에서 바지선을 타는 것이 유일한 순방 계획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러니까 여제는 실제로 마을에 들어가지는 않고 오로지 배에서 강 유역에 있는 마을과 도시를 바라볼 것이라는 사실! 그래서 포템킨은 한 가지 묘안을 떠올리는데 바로 가짜 마을을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는 여제가 배를 타고 바라볼 드네프르 강 유역의, 두꺼운 종이에 발전 되어 있는 마을의 모습을 그려넣은 뒤 마치 이곳이 부유하고 발전된 곳인 마냥 위장했다. 여제 일행이 이곳이 부유하다고 그에게 말하자 포템킨은 여제가 배를 타고 둥둥 떠나가면 그 그림을 철거하여 여제가 바라볼 다음 장소에 또 갖다 놓았다. 여제 일행은 역시 계속해서 속았고, 포템킨은 목표 달성에 성공하였다!
위 이야기는 당대 독일의 외교관이자 작가인 게오르크 폰 헬비히의 기록에 있는 데 실화일 가능성은 없다고 여겨진다. 실제로 저 순방에 참여했던 다른 외국 대표단들은 헬비히의 주장이 거짓이라고 주장했다.[1] 즉, 황제가 온다니까 미리 때빼고 광내놓고 일부러 좋은 것만 보여주긴 한 건 맞는데 아예 마을 단위로 없는 것을 창조하는 수준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후 그레고리 포템킨의 이름을 딴 '포템킨 마을'이라는 용어는 초라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를 은폐하기 위해 꾸며낸 겉치레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포템킨 마을 전략은 전쟁터에서 상대적으로 전력이 약한 군대가 전력을 실제보다 더 강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법이라는 뜻도 있다.

소련 냉전 시대에 이 수법을 사용하였다. 니키타 흐루쇼프 스푸트니크 쇼크를 이용해 미국에 비하면 얼마 되지도 않는 미사일과 핵무기를 가지고 미사일로 미국을 싸그리 지워 버릴 수 있을 것이라며 60년대 초에 수많은 공갈, 협박을 자행해 왔다.[2] 폭격기 갭 논란, 미사일 갭 논란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80년대에 들어서는 소련이 핵무기를 무진장 늘려 놔서 미국보다 더 많은 수의 핵무기를 가졌다. 그만큼 핵전쟁의 공포는 더 늘어났지만 상호확증파괴으로 인해서 다행히 핵전쟁은 일어나지 않았고 소련은 얌전히 붕괴했다. 다만 러시아 제국에서든 소련이든 현 러시아든 사전적인 뜻의 포템킨 마을도 잘만 쓰이기는 했는데 이건 러시아 제국 시절이나 소련 시절이나 현 러시아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예를 들어서 공장에서 생산하는 물건은 많지 않은데도 초과생산 목표를 낮게 유지해서 초과생산을 달성했다면서 예산을 타먹는 수법이 대표적이었고 현 러시아에서도 국방예산의 상당수가 이런 식으로 횡령되어서 사회 문제로 지적되곤 한다.

북한 김정은 시기에 와서 자신들이 '번영'하는 모습들을 외국인들에게 사진으로 공개하고 있지만 절대다수가 수도인 평양의 모습이다.[3] 실제로 겉보기에는 화려한 평양의 야경들과[4] 신축 건물들의 부실한 내실들[5]이 완벽히 대비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북한이 선전하는 평양의 모습은 포템킨 마을의 정의에 완벽히 부합한다. 평템킨(Pyongtemkin)

군대에서도 Potemkin training이라고 하면 미리 각본을 짜놓고 각본대로 하는 대규모 군사 동원 훈련이나 특수부대 부대원들이 강인함을 과시하기 위해 격파술 시범이나 격투술 등의 약속대련을 선보이는 등 대중들에게 과시할 목적으로 하는 훈련을 말한다. 현대 군사학에서는 전력강화 효과가 적은 겉치례 뿐인 보여주기식 훈련방식으로 까이고 있다.

창작물에서는 미스터 부에 나온다. 미스터 부의 집이 포템킨 하우스인데 미스터 부는 고층 빌딩 그림을 그럴싸하게 그린 판때기를 세워 놓은 뒤 그 뒤에서 텐트를 치고 살고 있다.

4. 길티기어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템킨(길티기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Simon Sebag Montefiore. Prince of Princes: the life of Potemkin. London: Weidenfeld & Nicolson. (4 October 2001) 참고. [2] 그리고 미국 정부는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인 것마냥 두려워하는 척 하였다. 왜냐면 우선 자기들이 저들의 패를 훤히 읽고 있다는 사실을 소련 측이 알기를 원치 않아서였고 소련에 대한 공포감을 조성해 더 많은 국방예산을 타기 위해서였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적도 아군도 철저히 속여먹은 셈이다. [3] 물론 원산시, 강계시 같은 지방들의 야경 모습을 보여줄 때도 있지만 평양과 비교하면 거의 없다시피한 수준이며 게다가 원산은 김정은의 고향이다. [4] 이것도 전력이 부족해서 평양 인근 도시들로 가야 할 전기들까지 억지로 끌어쓴 거라고 한다. [5] 상수도 시설이 부실해 단수가 잦고 가스 시설도 빈약해서 북한에서도 최고 엘리트들이 사는 경루동을 제외하면 부엌에 가스레인지 대신 휴대용 가스버너가 놓여 있는 데다(심지어 연탄 보일러를 직접 설치해서 난방을 때우는 경우도 흔하다) 전력난 때문에 전기가 자주 끊기기에 엘리베이터 작동도 제대로 안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