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2:04

텡그리 신앙

텡그리교에서 넘어옴

동아시아의 종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한국
전통신앙 계통
· ·
삼교 계통
· ·
동학 계통
·
증산 계통
· · ·
중화권
삼교 계통
· ·
소수민족 계통
·
일본
신토 계통
·
교파신토 계통
· · ·
삼교 계통
·
몽골
베트남
·
}}}}}}}}} ||
파일:external/tengrism.wikispaces.com/logo.gif 파일:Tengrism.png
텡그리즘의 대표적인 상징인 맹금류 심볼과 유르트 심볼.
이외에도 다양한 상징이 많다.
1. 개요2. 특징3. 매체

1. 개요

Tengrism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유목민족들에게 있던 천신(天神) 신앙의 일종으로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이 섞인 종교이다. 주로 흉노, 훈족,[1] 몽골, 튀르크 등 중앙아시아계 유목민족이 믿었다고 추정된다.

2. 특징

역사적으로 텡그리교는 크게 튀르크계, 몽골계, 퉁구스계로 나눌 수 있다. 몽골과 튀르크계 민족들이 믿었던 종교이기에 몽골과 튀르크 계열의 신화, 문화의 요소가 많이 첨가되어 있다.

주신인 하늘의 텡그리,[2] 땅의 에제 또는 우마위가 있는 등 기본은 다신교 신앙이다. 링크. 여기서 예제는 투르크어권에서 사용하며, 우마위는 현재 몽골어에서, 그리고 돌궐 퀼 테킨 비문에서 사용한 전력이 드러난다.

지역에 따라서는 텡그리가 여러 위상을 지닌 다중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중앙아시아에서는 최고 천신인 호르무스타 텡그리가 99텡그리의 수장으로 일컬어진다. 이 호르무스타 텡그리는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아 16세기에 새로 생긴 개념의 텡그리로, 이전에는 텡그리가 하나의 위상을 갖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텝 텡그리라는 종교 지도자가 있으며, 칭기즈 칸 시기에 몽골 제국이 형성하는 과정에서 선전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한다. 하지만 사제나 성직자와 같은 포교와 교리 체계를 갖추지 못한 데다가 전파 노력도 그다지 진행되지 않았다. 카마그 몽골 칸국이 대몽골 제국으로 부흥하며 급속도로 영역이 확장되어 나가는 영향을 받아 대제국의 교황이 될 뻔했으나 텝 텡그리인 쿠쿠추가 수많은 추종자들을 모으면서 오만해져 칭기즈 칸을 우습게 보다가 끝내 처형당한 뒤부터 텡그리 신앙은 "위대한 하늘의 선택"을 받은 카안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카안들은 텐그리 신앙의 최고 지도자로 활동했다. [3]

텡그리 신앙은 몽골 제국의 전성기 동안 번성을 이루었으나, 정치적 필요로 인해 주치 울루스와 훌라구 울루스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 것과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었던 몽골 제국의 쇠퇴로 인해 크게 약화되었다. 중앙아시아에서는 모굴 칸국이 텐그리 신앙을 유지했으나, 종교 문제와 통치 문제, 초원의 유목민과 도시의 정주민 간의 갈등, 계승권 분쟁 끝에 텐그리 신앙을 포기하고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본토인 몽골 초원에서는 티베트 불교의 전파 이후, 불교의 공격적인 선교 활동으로 인해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되어 한때 텡그리의 성지인 부르한 할둔 지역을 제외하고는 소수 신앙으로 전락하기도 했으나, 끝까지 살아남는데 성공해 끝내 세력을 회복하여 티베트 불교 다음 가는 영향력을 확보했다.

민속으로서는 여전히 텡그리의 박수 무당격인 존재가 남아있으나 신앙으로서는 티베트 불교와 융합되거나 아예 그 지위를 잃은 채 전통 문화로서 보존되는 추세이다.

근현대에 와서 텡그리교를 민족주의와 결합하거나 재부흥시키기 위한 다양한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대표격으로 알타이인악 장(Ak Jang/Burkhanism), 추바시인밧티센 얄리(Vattisen Yaly), 키르기즈인텡기르 오르도(Tengir Ordo), 사하인아이위 신앙(Aiyy Faith) 등이 있다.

기록보다 구전을 중시하던 중앙아시아 부족들 특성상 여타 정주 민족들의 종교보다는 정보가 많이 부족한 면이 있다.

한서》(漢書)에 따르면[4] 흉노국의 우두머리를 일컫는 탱리고도선우(撑犂孤塗單于)의 "撑犂"는 '텡그리'(*tengri)의 음차이며, 흉노어로 ' 하늘'을 뜻한다. 탱리고도선우 자체는 ' 하늘의 아들, 우두머리'라는 뜻이 된다. 몽골 학자들 중 일부는 몽골어 '텡그린 후후두 초노'(하늘의 자손인 이리)를 음차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돌궐어로 텡그리는 𐰚𐰇𐰚:𐱅𐰭𐰼𐰃(kȫkteŋri, 쾩 텡리)라고 했다.

텡그리라는 말이 예니세이어 계통의 언어에 속한 단어 'tɨŋVr'에서 기원한 외래어라는 주장도 있다. 기사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의 세 나라 국경에 위치한 ' 한텡그리봉'(Khan Tengri)은 텡그리를 이름으로 사용하는 산인데, 이름 그대로 '하늘의 왕', '영혼의 왕'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해발 7,010m로, 톈산 산맥에서 두 번째로[5] 높은 산이며 카자흐스탄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한국사와도 관련이 있어서 단군의 원형이라고 보기도 한다. 발음의 유사성 뿐만 아니라 단군신화 자체가 북방에서 내려온 유목민들이 한반도의 원주민들과 융합하는 단계의 설화라서 정합성이 있기 때문이다.

3. 매체



[1] 다만 훈족이 텡그리를 믿었다는 사서는 없어서 그럴 가능성이 있다 정도로 보고 있는 수준이다. 일단 동북아시아에서 밀려나서 유럽까지 이주한 흉노족들이 현지의 스키타이계나 게르만계 부족들을 산하 부족으로 흡수하면서 형성된 민족이 훈족이니만큼, 이들의 토속 신앙이 텡그리와 깊게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2] 텡리가 원어민 발음에 가깝다. [3] 쿠쿠추가 처형당한 후에 칭기즈 칸이 새로운 텝 텡그리로 야수 노얀을 세우기는 했으나 그는 칭기즈칸이 세운 허수아비여서 아무런 권위가 없었다. [4] 匈奴謂天為「撐犁」,謂子為「孤塗」,單于者,廣大之貌也.(흉노인들은 하늘을 「撐犁」라고 불렀고 아들을 「孤塗」라고 불렀으며, 單于는 광대한(넓고 큰) 자태이다.) [5] 첫 번째는 포베다 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