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3:54:11

킥보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기로 구동되는 킥보드에 대한 내용은 전동 킥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Maxi_Micro_Deluxe_Foldable_LED.jpg
파일:png-Micro Speed Mint.png
어린이용 3륜 킥보드[1] 청소년/성인용 2륜 킥보드[2]

1. 개요2. 어형3. 역사4. 주행5. 자전거와의 비교6. 인식7. 종류8. 법적 지위9. 기타

[clearfix]

1. 개요

(Kick) scooter

알루미늄, 티타늄,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된 긴 판자 형태의 에 긴 손잡이가 달린 형태의 탈것. 2~3개가 달린 바퀴로 나아간다. 전동 킥보드는 이것에 전기 모터를 달아 개량한 물건이다.

2. 어형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킥보드
영어 (kick) scooter
일본어 キックスケーター(킥스케이터)
중국어 滑板車
프랑스어 Trottinette
독일어 Tretroller

영어로는 kickboard가 아닌 킥 스쿠터(kick scooter)라고 하며 푸시 스쿠터(push-scooter) 또는 짧게 scooter라고 부른다. 영어권(특히 북미)에서 킥보드는 수영장에서 수영을 배울 때 쓰는 고무판을 지칭한다.[3] 영어권에서는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오토바이 형식의 타고 다니는 스쿠터를 '모터 스쿠터'(moter scooter)라 하여 오히려 따로 구분하고[4] 이 킥 스쿠터는 그냥 스쿠터라 하는 경우가 많다. 간혹 스케이트 스쿠터(skate scooter)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skate는 skateboard를 의미한다.

한국에서 이 탈것을 지칭하는 단어인 '킥보드'는 초기에 개발한 마이크로모빌리티社(마이크로킥보드) 의 설립자 Wim Ouboter가 스포츠브랜드 K2(유통파트너)와 협력하여 개발한 상품명의 하나인데, 이것이 한국에서는 통칭적인 명칭으로 굳어졌다. 상표의 보통명사화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2020년대 경부터 한국에서는 전동 킥보드와 구분하기 위해서 수동 킥보드라는 표현도 많이 쓰인다. 드물게 위 '킥 스쿠터'라는 표현을 가져와 쓰기도 한다. 와전되어 퀵보드(quick board)로 잘못 아는 경우도 많다.

3. 역사

오늘날 익숙한 ㄴ자 형태의 킥보드는 등장한 지 얼마 안 됐지만 오늘날의 킥보드와 같은 방식으로 '발로 땅을 차서 추진력을 얻는 바퀴 달린 교통수단'은 매우 예전부터 있었다. 최초로 등장한 이런 물건은 1818년에 등장한 댄디 호스(dandy horse)라는 물건이다. 이 물건은 자전거의 조상이기도 하다. 즉 저 댄디 호스가 좀 더 간략하고 가벼운 구조로 만들어지도록 발전한 것이 스쿠터고, 저기에 페달을 달고 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한 것이 자전거라고 할 수 있다.

동력 킥보드도 가솔린 엔진이 개발된 시점에 비교적 일찍 등장하였다. 그러나 특유의 넙적한 구조로 인하여 내연기관을 부착하기는 어려운 구조였고, 자동차 오토바이가 발전하면서 사장되었다. 2010년대에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시 동력 킥보드가 부활하기 시작하였고 2020년 이후 급격히 개인형 이동장치의 지위로 복귀하였다.

현대적인 킥보드로의 정의가 정립된 것은 1990년대 말, 미국에서 개발/상품화됨에 따라 이루어졌다. 그 후 세계 각국에 퍼지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1980년대 초반, 한국에서 인기를 끈 스카이씽씽과 유사하다.

4. 주행

한쪽 발을 먼저 보드에 올린 뒤 다른 쪽 발로 땅을 박차면 앞으로 나아간다. 어느 쪽 발로 박차고 나갈 지는 편한 대로 하면 된다. 어느 정도 속도가 붙기 시작하면 차고 나간 발을 보드 위에 올리면서 가면 된다. 속도가 떨어질 때마다 한쪽 발로 가속을 해 주어야 한다.

멈출 때는 브레이크 레버를 잡거나 뒷바퀴의 풋 브레이크를 밟으면 된다. 발을 땅에 데어 멈출 수도 있지만 저속으로 달리거나 노면이 미끄럽지 않은 경우에나 하는 게 좋다. 고속 주행 시나 미끄러운 노면상에서는 위험한 행위이다.

속도는 최대 10~15 km/h 정도. 인력 탈것 중 가장 효율이 뛰어난 자전거에는 비할 바가 아니지만[5] 그래도 사람의 평균 보행 속도(4.8km/h)의 2배 이상이므로 무시할 수준은 아니다.

여타 개방형 탈것들과 마찬가지로 악천후 시에는 탑승을 권장하지 않는다.

5. 자전거와의 비교

속력이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자전거에 비해 뒤떨어진다. 바퀴가 자전거보다 작으니 넘어질 가능성이 높고, 페달과 기어의 보조를 받고 앉아서 주행하는 자전거에 비해 서서 온전히 다리 힘만으로 주행하는 특성상 자전거에 비해 체력 소모가 훨씬 큰 편이다.

짐 운반의 측면에서도 자전거에 비해 절대적인 약세다. 끽해야 바구니 정도나 달 수 있는 킥보드에 비해, 짐받이를 달 수 있는 자전거는 최소 십수kg에서 100kg 이상의 짐을 운반할 수 있다.-다리 힘만 된다면-

상당수 킥보드는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자전거와 달리 폴리우레탄 바퀴를 채용하고 있는데, 폴리우레탄 바퀴 킥보드의 경우 노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거의 완화하지 못한다. 때문에 매끄럽게 마감된 콘크리트나 에폭시, 우레탄 바닥에서는 승차감이 좋은 편이나, 울퉁불퉁한 보도블록에서는 엄청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런 점 때문에 킥보드는 자전거만큼 대중적인 인력 탈것이 되지 못했다.

한편 자전거보다 우위를 가지는 점도 있다. 자전거에 비해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탑승법도 단순한 편이라 제한된 공간 안에서 휴대하면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버스나 철도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에도 적재에 제약이 큰 자전거와 달리 부피가 작아 다른 짐들처럼 손쉽게 적재가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규모가 큰 공장, 서버실, 군부대, 대형 선박 등에서는 킥보드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운동치 입장에서는 자전거보다 주행하기 쉬운편인데 적어도 발로 땅을 짚을 수 있어서 자전거보다 넘어질 확률이 낮다.

6. 인식

한국에서는 거의 어린이용[6]으로 여겨진다. 초기의 형태는 브레이크가 달려 있지 않으나, 보통은 뒷바퀴를 덮는 흙받이에 스프링과 고무를 달아 밟아서 바퀴를 멈춰 세우는 브레이크를 달고 있다.

미국 등지에서는 청소년이나 청년층도 단거리를 이동할 때 많이 이용한다. 어린이용은 앞바퀴가 두 개인 것이나 뒷바퀴가 두 개, 합 삼륜으로 되어 안 쓰러지게 만든 것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이하는 대개 삼륜 킥보드를 탄다.[7][8]



스케이트파크(Skatepark)에서 어린이 무리가 부모와 함께 떼거지로 나타나 킥보드를 타면 스케이트보더를 비롯한 다른 사람들에게 민폐 취급을 받는다. 스케이트파크는 이름 그대로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스케이터(skater)들을 위한 공간이고 대기 순서에 따라 타는 등 기본적인 이용 규칙이나 매너를 지키는 것이 중요한데 어린이에게 스케이트보드가 아닌 마트에서 킥보드나 사주는 부모들이 그런 교육을 잘 하지도 않을 뿐더러 경험이나 인지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 특성상 마음 내키는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사고를 유발하거나 크게 다칠 수 있어서 미움을 받는다. 이외에도 트릭을 하기 위한 렛지(Ledge)와 같은 장애물에 앉아서 쉬는 등 킥보드를 타는 사람들의 민폐 행동은 셀 수 없이 많다.

전동 킥보드는 애초에 자동차 면허가 있어야 몰 수 있는 탈것이니 어린이용이라는 인식은 없지만 워낙 사고를 터뜨린 게 많다는 점 때문에 민폐덩어리 취급을 받을 정도로 인식이 나쁘다. 성인이 (수동) 킥보드를 타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의외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운동이 꽤나 된다는 점 때문에 운동용으로 각광받는 경우도 있고 사고가 난 적이 굉장히 적어 최소한 전동 킥보드보다는 그나마 인식이 낫다.

7. 종류

바퀴사이즈를 상당히 늘린 뒤 앉을 자리를 마련한 킥바이크[9]라는 것도 있고, 앞에 축이 있긴 한데 핸들이 없고 봉 끝을 잡고 중심을 이동해 방향을 바꾸는 것도 있다. 스케이트보드처럼 파크에서 타기 위한 2륜 형식의 묘기용/선수용 킥보드는 스턴트 스쿠터라고도 부르는데, 겉보기는 핸드 브레이크가 없다는 것 말고는 일반 스쿠터와 같다. 크레용팝이 자체 제작 동영상 크레용팝 TV에 타고 나온 적이 있다. 그 외에 다리 한쪽을 다친 사람을 위한 니스쿠터 등의 변종이 있다.

의외로 이것 역시 익스트림 스포츠로 사용하는 이들이 있는데, 점프, 하프파이프, 플립, 그라인드 등 못 하는 게 없다. 유튜브에 스턴트 스쿠터라고 치면 꽤 많이 나온다. 핸들바도 있고, 바퀴도 달린지라 BMX, 스케이트보드와 명칭을 공유하는 트릭도 많다. 이렇게 묘기용으로 따로 쓰는 스쿠터는 트릭용 스쿠터나 스턴트 스쿠터라고 부르는데, 이 스쿠터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과 , 튼튼한 바퀴를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국내 가격이 25만~50만 원은 하는 고가품이다.[10] 입문용으로는 대부분 360샵이나 블레이더에서 저가형으로 입문한다. 스케이트보드처럼 각 부품이 파손될 때를 대비해 따로 판매하기도 한다. 자세한 것은 스턴트 스쿠터 문서로.
더트 스쿠터라고 불리는 물건도 있다. 스턴트 스쿠터처럼 묘기용으로 만들되 비포장도로처럼 거친 곳에서도 주행을 할 수 있는 스쿠터다. 물론 포장도로에서도 주행할 수 있으며, 특성상 오히려 기존의 주행용 스쿠터보다 승차감이 부드럽기까지 하다. 다만 튼튼한 만큼 무게가 있기 때문에 주행용보다 속도가 많이 느리고 일반 스턴트 스쿠터만큼 다채로운 묘기를 구사하기도 힘들다. 묵직하기 때문에 거친 도로를 유일하게 자유자재로 다닐 수 있다.

8. 법적 지위

도로교통법 자전거와 묶여서 차마에 해당된다. 다만 어린이용 킥보드는 완구의 개념으로 보고 도로교통법상으로는 만13세 이하가 이용할 때 보행자로 취급된다.[11]

동력장치가 달린 킥보드는 원동기장치자전거로 일반 킥보드와는 아예 다른 취급이니 주의.

9. 기타

  • 미국 아미시 커뮤니티에서는 버기카와 함께 양대 교통수단이자 문화적 상징격으로 사용되는데, 이들은 17세기 이후의 기술을 거부하기에 체인 등의 기계부품을 꺼려 바퀴가 거대하고 짐바구니가 달린 자전거에 준하는 물건들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킥바이크라고 부르며 들여오기도 했지만 별로 흥하진 못했다. 구조나 원리적으로는 한국에서 흔히 보이는 킥보드들보다는 상술한 자전거의 원시적 조상 드라이지네와 더 가깝다. 페달이 없어도 보행속도를 2배 정도인 시속 15~20km까지 늘릴 수 있다고.
파일:external/1.bp.blogspot.com/DSC02035.jpg


[1] '킥보드' 상표의 원조인 스위스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스템즈(Micro Mobility Systems AG)의 맥시 마이크로 디럭스 폴더블 LED(Maxi Micro Deluxe Foldable LED) 모델로, 유아 어린이킥보드 원조, 프리미엄 킥보드 브랜드이다. [2] 스위스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스템즈(Micro Mobility Systems AG)의 스쿠터 스피드 킥보드이다. [3] 이때는 Flutterboard와 유의어이다. [4] 본 문서에서 다루는 킥보드에 모터를 단 전동 킥보드는 motorized scooter, electric scooter라고 한다. [5] 유틸리티 자전거같이 설계부터 고속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자전거도 10~15 km/h는 기본적으로 내며, 평균적인 자전거는 약 20~30 km/h, 고속에 특화된 로드바이크 종류는 40 km/h급 속도를 낸다. [6] 텔레토비가 이걸 타고 다닌다. 애칭은 붕붕이. 그 영향으로 어린이용 킥보드를 '붕붕'으로도 많이 불렀다. 그 외에 씽씽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씽씽카는 빨강, 파랑 등 원색으로 코팅된 좀 더 유아들이 이용할 만한 킥보드를 씽씽카라고 구분짓는 경향이 있다. [7] 초보인 경우를 기준으로 일반 이륜 자전거보다 삼륜 자전거가 더 안정적이듯, 이륜보다 삼륜 킥보드가 더 안정적이다. 이륜 킥보드의 경우 타는 사람의 균형 감각이 필요하지만 삼륜 킥보드에 비교해서 더 날카롭고 운동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전반적인 기동성이 더 좋다. [8] 보통 삼륜킥보드를 싱싱카라고 부른다. 유아용으로 여겨지는 편 [9] 바닥(데크) 부분이 180도 돌아서, 앉아서 타거나 내려서 발로 밟고 탈 수 있게 되어 있다. [10] 바퀴 하나에 25,000원 쯤. 한 대분 바퀴 값만으로 어린이용 킥보드 산다. [11] 인라인 스케이트도 13세 이하 이용 시는 보행자. 다만 인라인 스케이트는 성인이 이용할 때 자전거와 같이 취급받지 못하여 도로 주행시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