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2:07:43

칸 영화제/퀴어종려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파일:칸 영화제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역대 영화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fff,#666> 1990년대 43회, 44회, 45회, 46회, 47회,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
2000년대 53회, 54회, 55회, 56회, 57회, 58회, 59회, 60회, 61회, 62회
2010년대 63회, 64회, 65회, 66회, 67회, 68회, 69회, 70회, 71회, 72회
2020년대 73회, 74회, 75회, 76회, 77회
}}}}}}
[ 경쟁 부문 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0> 황금종려상 ||<width=25%>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width=25%> 심사위원상 ||<width=25%> 남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각본상 감독상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0> 역대 심사위원 ||<width=25%> 명예 황금종려상 ||<width=25%> 황금카메라상 ||<width=25%> 퀴어종려상 ||
}}} ||
퀴어종려상
Queer Palm
파일:Queer-Palm-logo.webp

1. 개요2. 수상작
2.1. 장편 영화2.2. 단편 영화
3. 역대 심사위원4.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칸 영화제의 독립 부문상으로, 2010년에 설립되었다.[1]

이 상은 공식 부문, 주목할 만한 시선, 비평가 주간, 감독 주간 및 ACID 섹션에 후보로 오르거나 출품된 영화 중에서 LGBT 주제를 다룬 뛰어난 퀴어 영화에게 상을 수여한다.

2. 수상작

2.1. 장편 영화

역대 시상식 수상작 감독(수상자) 국가
2010년 제63회 《카붐》 그렉 아라키
[[미국|]][[틀:국기|]][[틀:국기|]] /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1년 제64회 《뷰티》 올리버 헤르마누스
[[남아프리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2012년 제65회 로렌스 애니웨이 자비에 돌란
[[캐나다|]][[틀:국기|]][[틀:국기|]] /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3년 제66회 호수의 이방인 알랭 기로디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4년 제67회 런던 프라이드 매튜 워처스
[[영국|]][[틀:국기|]][[틀:국기|]]
2015년 제68회 캐롤 토드 헤인즈
[[영국|]][[틀:국기|]][[틀:국기|]] /
[[미국|]][[틀:국기|]][[틀:국기|]]
2016년 제69회 《테레즈의 삶》 세바스티앙 리프쉬츠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7년 제70회 120BPM 로빈 캉필로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8년 제71회 《걸》 루카스 돈트
[[프랑스|]][[틀:국기|]][[틀:국기|]] /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2019년 제72회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셀린 시아마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2021년 제74회 《균열》 카트린 코르시니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22년 제75회 《조이랜드》 사임 사디크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2023년 제76회 괴물 고레에다 히로카즈
[[일본|]][[틀:국기|]][[틀:국기|]]
2024년 제77회

2.2. 단편 영화

역대 시상식 수상작 감독(수상자) 국가
2010년 제63회 수상작 없음
2011년 제64회
2012년 제65회 《이것은 서부 영화가 아니다》 벤자민 파렌트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3년 제66회 수상작 없음
2014년 제67회
2015년 제68회 《로스트 퀸즈》 이그나시오 쥬리식 메릴란
[[칠레|]][[틀:국기|]][[틀:국기|]]
2016년 제69회 《개버 러버》 안나 카제나브 캄벳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7년 제70회 《아일런즈》 얀 곤잘레스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18년 제71회 《디 오펀》 카롤리나 마르코비치
[[브라질|]][[틀:국기|]][[틀:국기|]]
2019년 제72회 《우리와 하늘 사이의 거리》 바실리스 케카토스
[[프랑스|]][[틀:국기|]][[틀:국기|]] /
[[그리스|]][[틀:국기|]][[틀:국기|]]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2021년 제74회 《더 폴 오브 더 스위프트》 곤잘로 퀸코세스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프리다》 알렉산드라 오딕
[[독일|]][[틀:국기|]][[틀:국기|]]
2022년 제75회 《나를 바라봐》 황수립
[[중국|]][[틀:국기|]][[틀:국기|]]
2023년 제76회 《볼레로》 난스 라보르드-주르다
[[프랑스|]][[틀:국기|]][[틀:국기|]]
2024년 제77회

3. 역대 심사위원

역대 시상식 심사위원장 심사위원
2010년 제63회 없음 베네딕트 아르눌프, 플로렌스 벤, 로만 코알, 마이크 굿리지, 자비에 르허페르, 이반 미티피오트, 파스칼 우르비, 브라이언 로빈슨
2011년 제64회 엘리자베스 퀸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토마스 아벨트샤우저, 프레드 아렌즈, 에스더 쿠에노트, 제라르 르포르, 로베르토 쉬나르디
2012년 제65회 쥘리 가예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샘 애슈비, 짐 돕슨, 사라 닐, 프레데릭 니콜, 모이라 설리반
2013년 제66회 주앙 페드루 호드리게스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드레이푸스, 애니 모레트, 니콜라스 길슨, 미셸 릴락
2014년 제67회 브루스 라 브루스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안나 마르가리타 알벨로, 주앙 페레이라, 샬롯 리핀스카, 리키 마스트로
2015년 제68회 데지레 아카반[2]
[[미국|]][[틀:국기|]][[틀:국기|]]
아바 카헨, 레이티샤 에이도, 엘리 마스토루, 나디아 투린체프
2016년 제69회 올리비에 두카스텔 & 자크 마르티노[3]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밀리 브리사보이, 주앙 페데리치, 마리 소비옹
2017년 제70회 트레비스 매튜스
[[미국|]][[틀:국기|]][[틀:국기|]]
야이르 호흐너, 파즈 라자로, 리디아 르베르 테르키, 디디에 로스 베토니
2018년 제71회 실비 피알라
[[미국|]][[틀:국기|]][[틀:국기|]]
보이드 반 호에이, 두니아 시초프, 모건 사이먼, 페페 루일로바
2019년 제72회 비르지니 르두아앵
[[프랑스|]][[틀:국기|]][[틀:국기|]]
김기윤, 클레어 뒤게, 필리피 마트젬바케르, 마르시오 레오폴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2021년 제74회 니콜라스 모리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조자 안젬베, 록산느 메스키다, 바람 무라티안, 알로이즈 소바주
2022년 제75회 카트린 코르시니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다간스 부지안, 마릴루 뒤퐁첼, 스테파니 리에타우저, 폴 스트러더스
2023년 제76회 존 카메론 미첼[4]
[[미국|]][[틀:국기|]][[틀:국기|]]
줄리엣 체빌로트, 제노 그랜톤, 이자벨 산도발, 세드리치 수피발리
2024년 제77회 루카스 돈트
[[벨기에|]][[틀:국기|]][[틀:국기|]]
팔로마, 소피 레투르네르, 줄리아나 로자스, 제드 살피티

4. 외부 링크


[1] 세계 3대 영화제의 퀴어 영화상 중에서 가장 늦게 설립되었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퀴어 영화상인 '테디상'은 1987년에 설립되었다. [2] '카메론 포스트의 잘못된 교육'의 감독 [3] 이들은 커밍아웃한 게이이며, 실제로 연인 사이다. [4] 뮤지컬 ' 헤드윅'의 원작자이자 영화판 '헤드윅'의 감독 겸 배우이다.